• 제목/요약/키워드: eigenvector decomposi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운전패턴 인식기법 (Recognition of Driving Patterns Using Accelerometers)

  • 허근섭;배기만;이상룡;이춘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17-523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gorithm to detect aggressive driving status by analysing six kinds of driving patterns, which was achieved by comparing for the feature vectors using mahalanobis distance. The first step is to construct feature matrix of $6{\times}2$ size using frequency response of the time-series accelerometer data.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makes it possible to find the dominant eigenvalue and its corresponding eigenvector. We use the eigenvector as the feature vector of the driving pattern. We conducted real experiments using three drivers to see the effects of recognition. Although there exists differences from individual drivers, we showed that driving patterns can be recognized with about 80% accuracy. Further research topics will include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driving warning system by improving the proposed technique and combining with post-processing of accelerometer signals.

A TYPE OF WEAKLY SYMMETRIC STRUCTURE ON A RIEMANNIAN MANIFOLD

  • Kim, Jaema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30권1호
    • /
    • pp.61-66
    • /
    • 2022
  • A new type of Riemannian manifold called semirecurrent manifold has been defined and some of its geometric properties are studied. Among others we show that the scalar curvature of semirecurrent manifold is constant and hence semirecurrent manifold is also concircularly recurrent.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associated 1-form (resp. the associated vector field) of semirecurrent manifold is closed (resp. an eigenvector of its Ricci tensor). Furthermore, we prove that if a Riemannian product manifold is semirecurrent, then either one decomposition manifold is locally symmetric or the other decomposition manifold is a space of constant curvature.

정준형 상관 분석을 이용한 적응 시간 지연 추정에 관한 연구 (An Adaptive Time Delay Estimation Method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 임준석;홍우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48-555
    • /
    • 2013
  • 음원 위치 추정은 여러 방면에서 쓰임이 있는 응용 기술이다.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기본 기법 중에는 시간 지연 추정 기법이 있다. 이 기법에선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에 들어오는 신호간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알아내야 한다. 시간 지연 추정 기법에는 GCC (Generalized Cross-Correlation) 대표적이지만, 최소 고유치에 대응하는 고유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많이 쓰인다. 이 방법은 최소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벡터를 이용한다. 최소 고유치에 대응하는 고유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낮은 신호 대 잡음비 환경에서나 상관도가 있는 잡음환경에서, 최소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를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성능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정준형 상관 분석 (CCA)를 이용한 새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일반 고유치 분해 중에서 최대 고유치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추정에 사용하는 고유벡터는 시간 지연 추정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들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서로 다른 신호 대 잡음비 환경 하에서 상관도가 없는 경우와 상관도가 있는 경우의 잡음 에 대해 비교 모의실험을 하였고, 이 비교 실험을 통하여 얻는 데이터를 통해서 제안한 CCA 기반 알고리즘이 기존 최소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벡터를 사용하는 시간 지연 추정법의 성능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인다.

MIMO 시스템에서 최적 검출 기법을 위한 궤환 Semi-Definite Relaxation 검출기 (Feedback Semi-Definite Relaxation for near-Maximum Likelihood Detection in MIMO Systems)

  • 박수빈;이동진;변윤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2C호
    • /
    • pp.1082-1087
    • /
    • 2008
  • MIMO 시스템에서 ML 검출 기법은 많은 다른 검출기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ML 검출기법은 NP-hard 문제로 인해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polynomial-time 안에 최적의 해 (optimal solution)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ML problem을 적용한 SDR (Semi-Definite Relaxation)에 궤환기법을 통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SDR에 의해 구한 최적의 해를 spectral decomposition을 이용해 우세한 eigenvector를 찾아 송신 신호의 확률 분포를 구하고, 이를 수신 신호에 궤환 시킨다. 이는 또 다른 ML problem으로써 다시 SDR를 통해 최적의 해를 구하고 우세한 eigenvector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 확률을 구한다. 이 확률은 ML problem에 해당하는 최적의 값으로 추정 송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최적 성능을 갖는 ML 검출 기법의 성능에 보다 더 가깝게 접근하였다.

축소모델에서 강체모드 분리와 급수전개를 통한 준해석적 민감도 계산 방법 (A REFINED SEMI-ANALYTIC DESIGN SENSITIVITIES BASED ON MODE DECOMPOSITION AND NEUMANN SERIES IN REDUCED SYSTEM)

  • 김현기;조맹효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1-496
    • /
    • 2003
  • In sensitivity analysis, semi-analytical method(SAM) reveals severe inaccuracy problem when relatively large rigid body motions are identified for individual elements. Recently such errors of SAM resulted by the finite difference scheme have been improved by the separation of rigid body mode. But the eigenvalue should be obtained first before the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and it takes much time in the case that large system is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by constructing a reduced one from the original system, iterative method combined with mode decomposi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compute reliable semi-analytical design sensitivities. The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eigenvector acquired from the reduced system. The error of SAM caused by difference scheme is alleviated by Von Neumann series approximation.

  • PDF

A Note on Eigenstructure of a Spatial Design Matrix In R1

  • Kim Hyoung-Moon;Tarazaga Pabl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2권3호
    • /
    • pp.653-657
    • /
    • 2005
  • Eigenstructure of a spatial design matrix of Matheron's variogram estimator in $R^1$ is derived. It is shown that the spatial design matrix in $R^1$ with n/2$\le$h < n has a nice spectral decomposition. The mean, variance, and covariance of this estimator are obtained using the eigenvalues of a spatial design matrix. We also found that the lower bound and the upper bound of the normalized Matheron's variogram estimator.

Adaptive Eigenvalue Decomposition Approach to Blind Channel Identification

  • Byun, Eul-Chool;Ahn, Kyung-Seung;Baik, Heung-K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317-320
    • /
    • 2001
  • Blind adaptive channel identific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is a problem of important cur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erns. Recently proposed solutions for this problem exploit the diversity induced by antenna array or time oversampling leading to the so-called, second order statistics techniques. And adaptive blind channel identification techniques based on a off-line least-squares approach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is proposed that is based on eigenvalue decomposition. And the eigenvecto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eigenvalue of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received signals contains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And we present a adaptive algorithm to solve this proble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evaluated over real measured channel and is compared to existing algorithms.

  • PDF

정합장 기반 표적 위치추정 시 모드공간 분석을 통한 간섭 신호 제거 기법 (Matched Field Source Localization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Using Mode Space Estimation)

  • 김경섭;성우제;표상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0-46
    • /
    • 2008
  • 천해 영역에서 선박과 같은 수상 소음원의 간섭 신호는 정합장처리를 이용한 수중 표적 탐지 및 위치추정 기법 적용에 있어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정지 음원의 경우 수신기공간의 음장에 대한 고유벡터분해를 통해 각 음원 성분을 분리하고 간섭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이동 음원 환경에서는 각 신호 성분의 에너지가 수신 음장의 부분공간에 퍼지게 되므로, 고유값 분포 비교만으로 각 신호 성분을 구별하기 어렵게 되거나 하나의 고유벡터에 각 신호성분이 섞이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상 음원과 수중 음원 신호의 물리적 특성 차이를 이용한 모드공간 간섭 신호 제거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모드-공분산행렬에 대한 고유벡터분해를 통해 간섭 신호 성분을 판별하며, 이 성분들을 부분공간에서 제거함으로써 차폐되었던 표적 신호를 복원하고 위치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잡음이 있는 두 음향 센서를 이용한 시간 지연 추정을 위한 향상된 적응 고유벡터 추정 기반 알고리즘 (Improved time delay estimation by adaptive eigenvector decomposition for two noisy acoustic sensors)

  • 임준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9-505
    • /
    • 2018
  • 서로 떨어져 설치된 두 개의 음향 센서에 도달하는 신호의 상호 지연 시간을 추정하는 것은 실내 음향과 소나 등에서 목표물 위치 추정 문제나 추적 및 동기화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쓰이고 있다. 시간 지연을 구하는 방법에서는 두 수신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이용한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신 음향 센서에 잡음이 부과 되는 것에 충분한 고려가 없었다. 본 논문은 수신 음향 센서에 모두 잡음이 부과된 경우를 고려한 새로운 시간 지연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일반 상호 상관법과 적응 고유치 분석법과 비교를 통해서 새로 제안한 알고리즘이 유색 신호에 부가된 가우시안 잡음환경에서 우수성이 있음을 확인한다.

신호 부공간 기법을 이용한 영상화질 향상 (Image quality enhancement using signal subspace method)

  • 이기승;도원;윤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3B권11호
    • /
    • pp.72-82
    • /
    • 1996
  • In this paper, newly developed algorithm for enhancing images corrupted by white gaussian noise is proposed. In the method proposed here, image is subdivided into a number of subblocks, and each block is separated into cimponents corresponding to signal and noise subspaces, respectively through the signal subspace method. A clean signal is then estimated form the signal subspace by the adaptive wiener filtering. The decomposition of noisy signal into noise and signal subspaces in is implemented by eigendecomposition of covariance matrix for noisy image, and by performing blockwise KLT (karhunen loeve transformation) using eigenvector. To reduce the perceptual noise level and distortion, wiener filtering is implementd by adaptively adjusting noise level according to activity characteristics of given block.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In particular, edge bluring effects are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