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 number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28초

대용량 부화기를 이용한 대구 Gadus macrocephalus 수정란부화율 (Hatching Rate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a Large Volume Hatching Rate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a Large Volume of the Hatching Jar)

  • 곽우석;한동훈;이소광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200
    • /
    • 2010
  • 대구 부화자어 대량방류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용량 부화기를 이용한 대구 수정란 부화 방법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용량 15L와 시험용 42L인 부화기에 수정란을 수용한 결과 9일째 생존율이 48.3%와 50.4%로 나타나 부화기 용량차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작한 실험 부화기와 기존의 원형수조에서 수정란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40.0~71.2%로 부화기에서 높아 대구 수정란 부화에 실험 부화기가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42 L 부화기에 수정란 5,000 mL (약 825만 개)를 수용하여도 높은 부화율을 유지하였다. 결과적으로 대구 수정란 부화 시 대용량 부화기를 이용할 경우, 고밀도로 수용하여도 높은 수정란 생존율 유지가 가능하고 사육 공간과 인력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원형수조에 비하여 사육수 절약 (6,700 mL/min)과 수정란 그룹별 수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간질(肝蛭)의 중간숙주인 Lymnaea viridis의 실험실 사육 및 생태에 관한 연구 (The life - history of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이정길;김상기;이채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77-283
    • /
    • 1993
  • In the present study,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life-history of Lymnaea viridi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involving incubation period of the eggs and their hatching rate, shell length of the newly hatched snails, sexual maturity, size of the snails when the snail produced the first egg-mass, the number of eggs in each egg-mass, egg-laying, ovipostion, growth rate of the snails, and longevity of the snail. At temperatures between $19.8^{\circ}C$ to $22.5^{\circ}C$, incubation period of the eggs occupied 10~12 days, and after beginning of hatching, all young snails emerged completely from the egg-mass within 5 days. The hatching rate was 88%. The average shell length of the newly hatched snails was about 0.064cm. The rate of growth was extraordinarily rapid under good laboratory conditions. When two snails were reared in one culture vessel($20{\times}15{\times}5cm$) with blue-green algae at about $22^{\circ}C$, snail growth was optimal, taking 37 days to reach 1.2cm in shell length. Sexual maturity reached in about 19 days. The size of the snails at sexual maturity was $0.78{\pm}0.05cm$ in length and $0.47{\pm}0.04cm$ in width. The first egg-masses produced were $0.59{\pm}0.22cm$ in length and $0.34{\pm}0.08cm$ in width, and contained 7~38 eggs. The eggs are usually laid in water. The egg-laying was affected by food and temperature. Snails fed with blue-green algae at about $22^{\circ}C$ produced larger egg-masses than the snails fed with fish food at about $26^{\circ}C$. Under conditions of continuous activity and growth, the maximum expectation of life appears to be 109~350(mean 230) days. And the shell length of snails at death were 1.39~1.64cm.

  • PD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부화 및 자어성장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Growth o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

  • 김숙리;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47
    • /
    • 2007
  • 관상가치와 교재생물로서 교육적인 이용도가 높은 흰동가리속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인공종묘생산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실적인 규모에서 친어를 사육하여 산란과 부화를 조사하였다. 한마리의 암컷이 2004년 4월 19일 부터 2007년 4월 16일 까지 총 48번의 산란을 하였으며, 산란 직후의 수정란의 장경은 $2.6{\sim}2.15\;mm$ (평균$2.32{\pm}0.11\;mm$, n=50), 단경은 $0.94{\sim}0.96\;mm$ ($0.94{\pm}0.001\;mm$, n=50)로 타원형이다. 수정란은 유백색으로 유구를 많이 가진 상태로 난막에 쌓여 배체의 동물극 쪽이 부착사에 의해 산란기질에 부착되어 있었다. 산란상에 대한 선택성은 red clay pot > ceramic pot > volcanic scoria > live rock으로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red clay pot에서 66%로 live rock 3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먹이종류에 대한 산란량은 Tetra bits+바지락육질+진주담치육질+astaxanthin을 혼합하여 먹인 실험구에서 $638{\pm}16.04$개로 Tetra bits만 공급한 구간 $477{\pm}28.96$ 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부화를 위한 배발생의 최적 환경요인은 수온 $28^{\circ}C$, 염분 33 psu, 광주기 6L:18D로 나타났다. 갓 부화한 자어의 전장은 $3.7{\sim}4.8\;mm$ (평균 $4.6{\pm}0.14\;mm$, n=50)로 7일째 까지는 $7.5{\pm}0.60\;mm$, 14일까지는 $11.0{\pm}0.77\;mm$, 20일에는 $12.4{\pm}0.85\;mm$, 30일에는 $18.8{\pm}0.82\;mm$, 70일에는 $37.9{\pm}2.26\;mm$로 성장하였다.

한국의 인체기대 이형흡충류 및 간흡충 충란의 비교형태학적 검토 (Comparative Morphology of Eggs of Heterophyids and Clonorchis sinensis Causing Human Infections in Korea)

  • 이순형;황순욱채종일서병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71-180
    • /
    • 1984
  • 우리 나라의 인체기생 이형흡충류(요꼬가와흡충, Heterophyes heterophyes nocens, Stellantchasmus falcatus, Heterophyopsis continua, Pygidiopsis summa) 및 간흡충 충란의.비교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함으로써 대편검사에 의한 이들의 진단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충란은 감염자를 치료하여 얻은 각 충체의 자궁말단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전체적인 외형 및 형태는 물론 길이, 폭 및 길이1폭의 비를 구하여 종별로 비교검토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흡충 충란은 전단부가 오목한 약간 긴 난원형이며, 길이 $25.3-33.2{\mu}m$(평균 $28.3{\mu}m$), 폭 14.2-17.4 (15.9)${\mu}m$, 길이1폭의 비가 1.60~2.00(1.78)이었다. 이들은 난각에 주름(wrinkling)이 뚜렷한 점에서 관찰한 모든 이형흡충류 충란과 구별되었다. 2. P. summa의 충란은 난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관찰한 충란중 가장 작은 점이 특징이었고, 길이 $19.8~22.9(21.6){\;}{\mu}m$, 폭 $11.1~13.4(12.1){\mu}m$, 3 비는 1.63~1.99(1.78)이었다. 3. S. falcatus의 충란은 장란소형이며 가장 길쭉한 형태인 것이 특징이었고, 길이 $25.3~29.2(27,2){\;}{\mu}m$, 폭 $11.1~13.4(12.5){\mu}m$, 비는 2.00~2.57(2.17)이었다. 요꼬가와흡충 충란은 유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양단이 둥근 편이었고, 길이 $26.9~31.6(28.5){\mu}m$, 폭 $14.2~18.2(16.8){\mu}m$, 비는 1.48~2.11 (1.70)이 었다. 5. H. continua 충란은 난형이었고 요꼬가와흡충란이나 H. h. nocens 충란과 비슷한 경우도 많으나 충란의 길이에 비해서 폭이 가장 크고 최대폭이 충란 후반부에 있는 점이 특징적이었으며, 길이 $23.7~27.7(25.0){\mu}m$, 폭 $15.8~15.9(16.4){\mu}m$, 비는 1.33~1.75(1.53)이었다. 6. H. h. nocens의 충란은 유타도형 또는 난원형이나 요꼬가와흡충보다는 다소 덜 팽대되어 있고 양단이 다소 뾰족한 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며, 길이 $23.7~29.2(25.7){\mu}m$, 폭 $14.2~15.8(15.4)){\mu}m$, 비는 1.50~2.06(1.67)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5종 이형흡충류 및 간흡충 충란은 형태학적으로 서로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많은 수의 충란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계측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왕귀뚜라미(Teleogryiius emma)알의 실내 인공 채란 및 저장 (Egg-forming and Preservation Methods of the Emma Field Cricket Eggs, Teleogrylius emma (Orthoptera: Gryllidae))

  • 김남정;홍성진;설광열;권오석;김성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5
    • /
    • 2005
  • 왕귀뚜라미 대량 사육시 요구되는 실내 채란법 개발을 위하여 인공산란매트 선발과 알 저장조건을 조사하였다. 인공산란매트로서 수분 유지능력이 우수한 원예용 오아시스$^{\circledR}$가 천연의 매트인 흙에 비해 산란선호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한편 인공산란매트로서 원예용 오아시스$^{\circledR}$는 흙에 비해 총산란수 및 부화율이 다소 저조하였으나 산란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용 산란기간(성충화 후 50일이내)의 산란수 및 부화율은 오히려 흙에 비해 우수하였다. 알의 저장조건은 산란 후 14일째, $10^{\circ}C$에 40일간 냉장한 구가 부화율 $62.1\%$로 세대단축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저장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산란 후 14일째, $7.5^{\circ}C$에 90일 냉장했을 때 부화율 $65.1\%$로 장기저장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치가자미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Eggs Development and Larvae of the Right-eye Flounder, Limanda yokohamae Gunther)

  • 김용억;명정구;박지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9-394
    • /
    • 1983
  • 1983년 2월 3일 부산어시장에서 성숙된 문치가자미를 채집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인공수정에 의한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은 구형이며 침성점착난으로 난경은 $0.71{\sim}0.80mm$ 이고 유구는 없다. 2. 사육시 수온은 $5.5{\sim}17.0^{\circ}C$, 염분농도는 $30.8{\sim}32\%$의 범위에서 수정후 120시간만에 첫 부화가 나타났다. 3.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2.64{\sim}2.72mm$ 이며 눈은 완전히 착색되지 않았던 근절수는 $9{\sim}10+30{\sim}32=39{sim}42$. 몸에는 황갈색소포가 나타난다. 4. 부화후 3일째의 전장 3.3mm의 자어는 입이 열리며 아가미뚜껑 위에 황색소포가 나타난다. 5. 부화후 7일째의 전장 3.70mm의 자어에서는 난황은 거의 흡수되고 흔적만 남는다.

  • PDF

계란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살균기술의 이용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Egg)

  • 최구희;이경행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8-203
    • /
    • 2012
  • 계란의 위생화와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S. Typhimurium을 부착시킨 계란에 냉온살균기술의 하나인 오존가스를 처리하고 저장하면서 계란에 오염된 위해 미생물의 제어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난각에 부착된 S. Typhimurium 균수는 6.18 log CFU/g 으로 나타났으나 10-30분 오존 처리군의 경우에는 4.22-5.25 log CFU/g 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균수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30분 오존 처리군은 약 2 log cycle 정도의 낮은 균수를 보여 오존 처리에 의하여 균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존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균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대조군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으나 오존 처리군은 처리 직후와 비교할 때 저장 14일 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란의 품질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인 Haugh unit, 난황색, 난백 및 난황의 pH, 거품 형성능, 거품 안정성 및 지질 산패도 측정에서는 대조군 및 오존 처리군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동안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오존 처리에 의한 계란의 품질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계란의 위생화에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식물체 추출물이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부화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Egg Hatching by Herbal Extracts)

  • ;이동운;박정찬;추호렬;김형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1
    • /
    • 2008
  • 수단과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12 가지 식물체 추출물(메탄올 추출 9종, 헥산추출 3종)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00 ppm, 1,000 ppm, 100 ppm 농도의 식물체 추출물에 뿌리혹선충 알을 넣고, 3일과 7일, 21일 후 부화 된 알의 수를 조사하였다 모든 식물체 추출물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뿌리혹선충 난의 부화억제 활성이 있었다. 농도가 높을수록 부화억제 활성이 높았는데, 10,000 ppm 농도에서는 Quisqalis indica 처리를 제외하고 소수의 개체만이 부화하였다 그리고 Q. indica 처리에서만 7일과 21일째 84.4%와 54.4%가 부화하였고, 대부분의 처리에서는 7일째 이후에 부화되는 알이 없었다. 1,000 ppm농도에서는 10,000 ppm 농도에 비해 부화율이 높았는데, Cucumis mello var agrestis 처리에서 부화율이 가장 낮아 3, 7, 21일 후에 각각 2%와 8%, 3% 만이 부화하였다. 100 ppm 처리에서는 Desmodium caudatum 처리에서 처리 3일과 7일째 부화되는 알의 수가 가장 적었다.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NeemAzal-T/S의 독성 (Relative Toxicity of NeemAzal-T/S to the Predacious Mite, Amblyseius womersleyi(Acari: Phytoseiidae)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Acari: Tetranychidae))

  • 김도익;백채훈;박종대;김상수;김선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3-58
    • /
    • 2000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에 대한 NeemAzal-T/S의 농도별 독성을 leaf disk법으로 시험하였다.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의 성충살비율은 100ppm에서 각각 97.7%, 20.0%로 나타났다. 점박이응애의 산란수는 100ppm에서 0.0개, 무처리 18.5개 였으며 긴털이리응애는 100ppm과 무처리에서 각각 1.6개, 2.9개였다. 부화율은 50ppm에서 점박이응애 52.8%, 긴털이응애는 100%였으며, 100ppm에서는 각각 2.5%, 91.3%로 점박이응애가 긴털이리응애보다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약제처리유무에 따른 영향은 choice, no-choice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choice조건에서 점박이응애는 약제가 처리된 잎에 전혀 산란하지 않고 약제가 처리되지 않은 잎에만 암컷당 13.8~18.2개 산란하였다. 긴털이응애는 먹이(점박이응애 알)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산란하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포식력에서 choice 조건의 200ppm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다른 농도에서는 먹이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비슷하게 포식하였다.

  • PDF

밤나무품종에 따른 밤나무혹벌의 산란 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s of the Oriental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n Various Chestnut Varieties)

  • 김철수;박일권;김종국;박영석;신상철;정영진;최광식;전문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7-159
    • /
    • 2005
  • 밤나무혹벌 산란동아수의 품종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석추 및 다압에서 가장 적었고 전체적으로 신초의 하부로 갈수록 산란동아수가 많았으며 특히, 옥광, 축파, 유마 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였다. 대부분의 품종에서 동아당 평균 1.0개 이상 다중 산란되었으며 신초하부의 경우 산란수가 재래종, 축파, 옥광, 평기에서는 3.0개 이상이었으며 석추와 다압은 1.0개 미만이었다. 산란동아별 난수는 모든 품종에서 상부의 동아에 산란된 난수가 가장 적었고, 하부의 동아에 많은 경향을 보였다. 신초하부의 경우 축파는 산란된 알이 평균 15개 이상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다압은 한개 이하로 가장 적었다. 품종별 산란비율은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이 산란한 동아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재래종이 $83.8\%$로 가장 높았고, 축파와 유마에서는 각각 78.5와 $75.9\%$ 이상의 산란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