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positiv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3초

생쥐의 정자 추출물이 정자-난자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rm Extracts on Sperm - Egg Binding in Mouse)

  • 김문규;계명찬;최규완;윤현수;김종흡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23-34
    • /
    • 1991
  • In order to study the sperm-egg interaction during fertilization process in mouse, the effects of sperm concentration, the duration of capacitation and insemination, the stages of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eggs, and sperm extracts and BSA on sperm binding to egg were examined. Sperm-egg binding was increased depending on sperm concentration within the range of $10^3-10^6$ sperm/ml. It showed the most numbers of sperm-egg binding at 60min from the beginning of preincubation(capacitation) and insemination, respectively. During sperm capacitation, sperm-egg binding inhibitor was released from sperm into the incubation medium. Sperm extracts containing trypsin-like enzyme which is secreted through the acrosome reaction increased the binding. BSA in the culture mediu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binding. It is suggested that physicochemical alterations of zona pellucida in the process of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eggs leaded to inhibition of sperm-egg binding.

  • PDF

국민학교(國民學校) 및 집단주거시설(集團住居施設) 아동(兒童)의 요충감염현황(蟯蟲感染現況) (Present Status of E. vermicularis Infestation in Primary Schools and Orphanages)

  • 김종성;이준상;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3권1호
    • /
    • pp.26-31
    • /
    • 1988
  • 본 조사에서는 서로 다른 주거환경에서 생활하는 집단군에 대해 셀로판테이프항문주위도말법으로 요충감염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국민학교 및 집단시설거주아동 2,966명을 조사하여 484명이 요충란 양성자로 나타나 16.3%의 양성률을 보였다. 2) 지역별 조사에서 대도시지역의 경우 총 1,144명을 조사하여 79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6.9%의 양성률을 보였고, 농촌지역에서는 총 1,268명을 조사하여 193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15.2%의 양성률을 보여 대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에서 터 높은 감염양상을 보였다. 3) 남, 여별 조사에서는 남자, 1,528명을 조사하여 240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15.7%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여자의 경우 1,438명을 조사하여 244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16.9%의 양성률을 보여 남, 여별 감염률은 큰 차이를 타나내지 않았다. 4) 국민학교 아동의 학년별 조사성적을 보면 대도시지역 국민학교 아동의 경우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감염률이 저하되었으나 농촌지역 국민학교 아동의 경우 감염률에 있어서 학년별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주거환경별 조사에서는 국민학교 아동 2,412명을 조사하여 272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11.3%의 양성률을 보였고, 고아원(영아원, 육아원) 아동 416명을 조사하여 136명을 조사하여 76명이 양성자로 나타나 55.1%의 높은 양성률을 보여 국민학교보다 집단거주시설 아동에서 더 높은 감염양상을 보였다.

  • PDF

일부 도서지역 주민의 장흡충 감염실태 및 인식 (The Infection Status and Perception toward Intestinal Trematodes in an Island Inhabitants)

  • 박은미;김석일;박향;김기순;류소연;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03-314
    • /
    • 2000
  • 신안군 일부 섬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224명에 대하여 장흡충 감염실태와 감염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대변에서의 장흡충 충란검사를 실시히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대변검사상 장흡충란양성률은 21.0%이었다. 2. 조사대상자의 장흡충란 양성률은 70세 이상에서 다른 연령군보다, 내륙지역보다 해안 지역에서, 농 수산에 종사하는자가 다른직업에 종사자보다 통계적요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연구대상자중 과거 음주자가 비음주자보다 장흡충 충란 양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현재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놓았다(P<0.05). 4. 장흡충 감염흡충은 장흡충의 중간 숙주인 숭어 생식자들에게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연구대상자중 장흡충의 양성자 중에서 잦은 복통과 잦은 설사증상들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전남 일부 섬지역의 장흡충 감염율은 여전히 높아 이에대한 진단 및 치료사업의 필요성이 충분하며, 해안지역 거주자, 고연령자, 음주, 흡연 그리고 생선회의 생식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들 관련인자에 대한 우선적 접근이 필요하며 계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토종닭 12계통 난질의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 (Egg Quality Traits and Their Correlations in 12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 김기곤;권일;추효준;박병호;차재범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에서 보존 및 개량 중인 토종닭 순계 5품종 12계통의 난질에 대한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일반능력 분석결과, 난중은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62.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고, 한국재래계 W계통이 47.5 g으로 가장 가볍게 나타났다.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및 난각 무게는 난중에 따라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한국코니시 S, H계통은 다른 계통에 비해 난황 무게가 무겁게 나타났다. 난황색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8로 가장 진하게 나타났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5.7로 가장 연한 색을 보였으며,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차이를 보였다. 난각색은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계통이 7.7로 진하였고, 한국코니시 S와 H계통은 6.2와 3.3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호우유닛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4.2로 가장 높았고, 토종닭 전체의 호우유닛은 79.9로 나타났다. 호우유닛은 품종에 상관없이 계통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난백높이는 호우유닛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난각두께는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와 D계통이 0.342 mm로 가장 얇았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과 K계통의 난각두께는 0.384 mm, 0.393 mm로 두꺼웠으나, 난각강도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대부분 난질형질에서 한국코니시 품종과 한국재래계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유의한 능력 차이를 보였고,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종닭의 난질 형질 간 상관 분석 결과, 난중과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난각 무게는 0.92, 0.52, 0.6으로 정의상관을 보였다. 난백 무게 비율, 난황 무게 비율 및 난각 무게비율 간의 상관은 모두 부의 상관을 보였다. 색에 대한 형질은 대부분의 형질과 상관이 없거나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난형 지수는 대부분의 난질 형질과 상관이 없었다. 난백높이와 호우유닛은 난백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백높이와 0.97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각두께와 난각강도는 난각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and non-fermented brown algae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rofile in laying hens

  • Choi, Yongjun;Lee, Eun Chae;Na, Youngjun;Lee, Sang R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654-165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and non-fermented brown algae by-products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relative organ weight, and blood profile of laying hens. Methods: Hy-Line Brown chickens (n = 180; 70-week-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with 4 replicates per group (3 hens per cage, 4 cages per replicate), and fed with 5 experimental diets, namely the basal control diet (CON) or the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0.5% brown seaweed (BS), 0.5% seaweed fusiforme (SF), 0.5% fermented brown seaweed (FBS), or 0.5% fermented seaweed fusiforme (FSF), for 4 weeks. Results: Egg production rate and egg mass were greater in the BS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nd the SF and FSF groups had greater egg pro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p<0.05). Egg weight was higher in the BS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ggshell color, egg yolk color, eggshell strength, or eggshell thickness among th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Haugh units among th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FSF group, which ha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p<0.05). The non-fermented groups had greater relative organ weights, particularly the liver and cecum, than the other groups (p<0.05). Regarding blood profile, the supplemented-diet groups had higher albumin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FBS group had high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BS and FBS groups had higher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p<0.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ietary brown algae supplementation can improve egg-laying performance;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seaweeds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egg-laying performance of hens.

Fatty Acid Modified Eggs as a Delivery System for Functional Lipids

  • Cherian, Git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94-300
    • /
    • 2003
  • The chicken egg provides a perfectly packaged, portion controlled, highly nutritious food containing vital nutrients essential for maintaining human health. However, concern by health professionals over the possible association of diets high in fat and cholesterol to chronic diseases has led to a decrease in egg consumption. Several different strategies have been adopted by the poultry food industry to enhance the nutritional value of eggs. The major emphasis has been focused on the modific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and fat soluble vitamins. This review briefly describes the composition, lipid nutrient content and the positive health effects of egg lipid nutrients.

한국재래오골계(韓國在來烏骨鷄)의 경제형질(經濟形質)과 체형(體刑)에 대한 유전모수(遺傳母數)의 추정(推定)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Economic Traits and Body Conformations in Korean Native Ogol Fowl)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6-33
    • /
    • 1990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재래오골계(韓國在來烏骨鷄)의 효율적(效率的)인 선발(選拔) 및 육종계획(育種計劃)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유전력(遺傳力)과 유전상관(遺傳相關)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1987년(年) 6월(月) 18일(日)부터 1989년(年) 2월(月) 6일(日)까지 부가계(父家系) 20수(首) 모가계(母家系) 150수(首)에서 생산(生産)된 자손 450수(首)의 검정성적(檢定成績)을 분석(分析)한 것이다. 유전력(遺傳力)에 있어서 체중(體重), 난중(卵重) 및 정강이 길이의 유전력(遺傳力) 추정치(推定値)는 0.415~0.558의 범위로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초산일령(初産日令), 산란수(産卵數) 및 흉위(胸圍)에 대한 유전력(遺傳力)은 0.301~0.334로 중등도(中等度)의 추정치(推定値)이었다. 유전상관(遺傳相關)에 있어서는 체중(體重)과 산란수간(産卵數間)에 -0.552~-0.309로 부(負)의 계수(係數)이었으나, 체중(體重)과 난중간(卵重間)에는 0.285~0.380으로 다소 낮은 정(正)의 계수(係數)이었고, 산란수(産卵數)와 난중간(卵重間)에는 -0.383~-0.381의 부(負)의 계수(係數)로 추정(推定)되었다. 한편, 정강이 길이와 체중(體重) 및 초산일령간의(初産日令間) 유전상관(遺傳相關)은 0.328~0.843의 다소 높은 정(正)의 계수(係數)로 정강이 길이의 개량(改良)은 체중(體重)과 초산일령(初産日令)을 자동적으로 증대(增大)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Complexation of Amphotericin B With Egg Phosphatidylcholine Liposomes

  • Kim, Jin-Chul;Lee, Eun-Ok;Yang, Ji-Won;Choe, Tae-Boo;Kim, Jong-Du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84-89
    • /
    • 1995
  • The complex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gg phosphatidylcholine (PC) liposome containing amphotericin B(AmB) were investigated through circular dichrosim(CD) spectra, the size distribution, the turbidity change, and the calcein release. CD spectra of AmB-containing egg PC mxture exhibited a positive peak around 330 nm indicative of complexation of AmB and four negative peaks. The positive peak increased up to $2.2{\;}millidegree/{\mu}g$ AmB as AmB contents increased up to 12% (w/w), suggesting that AmB-phospholipid complexation was promoted by the antibiotics. The effective diameter of liposomesa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ecreased from 450 nm to 220 nm as the amount of AmB in liposomes increased from o to 30% (w/w). The complexation may be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in size. On the other hand, at around 1 mN deoxycholate (DOC), the reltive turbidities of 5 and 10% (w/w) AmB-containing liposome suspension were less than 1 probably due to the soblubilization of the complex, while those of pure PC liposome suspension were larger than 1 at the same concentration. Deoxycholate-induced release of liposomes, indicating the intercalation of the drug into the bilayer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 AmB/eggPC/water system, AmB-phospholipid complexcoexists with AmB-containing liposomes.

  • PDF

산란계 농장 계란 이송라인의 누적충격강도와 파각발생율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Egg Breakage and Cumulative External Forces on Eggs during Egg Collection in Laying Hen Farms)

  • 조동해;권병연;김다혜;김다혜;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농장 내 계란 이송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충격 정도를 파악하고 파란 발생률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창계사 12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여 무선 전자계란(Wireless Egg Node II)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충격 크기는 세척기와 건조기 연결 부분, 컨베이어 연결부분, 트랜스퍼, 정렬기, 집란 엘리베이터, 팩커, 계란 이송 연결부분, 알받이 순으로 나타났으나 농장에 따라 충격정도 및 충격발생 지점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계란의 충격강도와 파란 발생률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회성 충격보다는 누적된 충격의 양에 따라 파각발생이 높았고, 조사 지점에 따라 5~38 G까지 다양하며 총 파각란 발생률도 3.2%~14.5%로 나타났다. 파각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난각 품질이 높은 계란을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난각강도가 우수해도 최종제품에 난각이 파손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실금란 발생을 초래하는 계란이송라인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종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es of Egg Mass during Laying Period)

  • 오봉국;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86
  • 산란종계의 능력개량을 위해 산란수와 란중의 종합개념의 형질인 산란량을 계산하고 이를 선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산란기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보였다. 1. 계통의 능력 평균치를 조사한 바, 초산일령은 143.24일이었으며, 초산일령부터 60주령 까지의 산란수는 222.44개, 같은 기간중의 평균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54.31g과 12.065.19g으로 나타났다. 2. 부, 모, 전자매 분산성분을 이용한 유전력 추정치에서 초산일령은 0.404-0.570으로 나타났고 60주령까지의 산란수는 0.132-0.346, 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0.378-0.413과 0.204-0.27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유전력 추정치는 란중보다는 산란수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3. 초산일령과 유전상관에 있어서 산란수는 -0.280, 란중은 0.524로 나타나 산란수와 란중간의 부의 상관에 의한 이들 형질의 동시개량의 어려움을 보여 주었으나 산란량과는 0.13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육종에의 이용 가능성을 추측케 하였다. 또한 산란량과 산란수와는 0.711, 란중과는 0.431의 상관계수가 나타나 산란수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형질임을 보여 주었다. 4. 단기선발면을 고려하여 각 산란기간과 전체기간과의 유전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란량의 경우 산란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산란수의 단기검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