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stal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볼락 (Sebastes inermis) 난병 유사구조의 전자현미경적 기재 (Electron Microscopical Description on the Egg Stalk-like Structure of the Rockfish, Sebastes inermis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0-134
    • /
    • 2002
  • 볼락의 난소는 낭상형이며, 다수의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황축적 이전의 난모세포들은 난소소엽의 결체성 조직에 매몰되어 관찰되었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강으로 돌출되어 난병 유사구조를 가지고 포도송이와 같은 구조를 나타냈다 난소 소엽내에 매몰되어있는 직경 약 20$\mu$m 크기의 초기 난모세포에서 난황과립과 방사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직경 약 80$\mu$m의 초기 난모세포의 난병 유사구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난황과려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나, 방사대의 pore canal system에서 음세포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시기에 난병 유사구조에서는 미세섬유, 발달된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상 물질 그리고 활성화된 multivesicular body들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볼락의 난병 유사구조는 난모세포의 부착과 초기 난모세포의 외재적 난황축적에 관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암컷의 난소발달 및 생식주기 (Ovarian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Female Red Tongue Sole, Cynoglossus joyneri (Teleostei: Cynoglossidae))

  • 이정식;김성연;마경화;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54-558
    • /
    • 2000
  • 참서대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6월에 가장 높았다. 난모세포의 발달양식은 난군동시발달형이며, 초기 성장기 난모세포에서 난병과 난황핵이 관찰되었다. 생식주기는 성장기 (2${\~}$5월), 성숙기 (5${\~}$6월), 완숙 및 산란기 ($6{\~}8$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8{\~}2$월)로 구분된다 전장 $TL 28.1{\~}30.8 cm$의 개체당 절대포란수는 2,197 개였으며, 체중 g당 상대포란수는 10.0개였다.

  • PDF

볼락 (Sebastes inermis) 난병의 미세구조

  • 이정식;장영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91-392
    • /
    • 2000
  • 수서동물 난소의 해부학적인 구조는 종 특이성, 각각의 생식생태 및 계통에 따라 다르다. 보통 난모세포의 난병 (egg stalk)은 이매패류 (Beams and Sekhon, 1966)와 전복류 (Lee, 1974)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들 난모세포의 난황축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골어류에서 난병구조는 불볼락, Sebastes thompsoni에서 보고된 적이 있으나 (Lee et al., 1998), 이들의 세부적인 구조는 언급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볼락에서 관찰된 난병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기재하였다. (중략)

  • PDF

북방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난모세포의 미세구조적 분화 (Micro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the Oocyte i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혜진;김현진;김영숙;이정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0-9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exual maturity and reproductive biology for the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i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The nucleus of the oogonium occupied about 42% of the cytoplasm, and had a distinctive basophilic chromatin. The cytoplasm of previtellogenic oocytes was homogeneous and the size of nuclear pores increased. Fine granular and vacuolar yolk granule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he initial vitellogenic oocyte. In this stage, the egg stalk and jelly membrane began to develop. The nucleus of the active vitellogenic oocyte was located near the animal pole. Yolk granules were strongly acidophilic. Lampbrush chromosomes were observed in the nucle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nulate lamellae developed in the cytoplasm. The shape of the ripe oocyte was rounded polygonal. The size of ripe oocytes was 202.9±21.40×142.1±18.82 ㎛ and the thickness of the jelly membrane was 10.1±1.52 ㎛. These results show that yolk accumulation in H. discus hannai is based on two methods: exogenous accumulation, through the egg stalk, and endogenous accumulation, through intracellular organelles.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will be necessary when oocytes predominate after the active vitellogenic stage.

쭈굴감펭 (Scorpaena miosfoma)의 생식소 구조 및 생식주기 (Gonad Structure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Smallmouth Scorpionfish, Scorpaena miostoma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강주찬;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27-633
    • /
    • 1997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부산 수영만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쭈굴감펭, Scorpaena miestoma의 생식소 구조, 생식세포의 발달 및 생식주기 등이 광학현미경 조직표본을 기초로 연구되었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곡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곡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 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 부터 시작된 여러장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원세포는 난소박판의 내부상피에서 유래하며, 난모세포로 성장하면서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생물학적최소형은 암${\cdot}$수 모두 전장 12.5cm로 조사 되었다. 생식소숙도지수는 암 (3.81)${\cdot}$수(0.23) 모두 10월에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5\~8$월), 성숙기 ($9\~10$월), 완숙 및 산란기 ($11\~12$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1\~4$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6\~8$월), 성숙기 ($9\~10$월), 완숙 및 방정기 ($11\~l$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2\~5$월)로 나눌 수 있다.

  • PDF

소라, Batillus cornutus의 난소구조 및 난자형성과정 (Ovarian Structure and Oogenesis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Lightfoot, 1786)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주선미;진영국;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6
    • /
    • 2007
  • 소라, Batillus cornutus의 난소구조와 난모세포 발달단계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 (TEM) 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전라남도 완도군 연안에서 다이버에 의해 채집된 소라는 자웅이체로서 난소는 소화맹낭부에서 꼬리돌기 끝까지 간췌장의 외측을 싸고 발달되어 있었으며, 성숙 시기에 난소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의 내부 구조는 다수의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난소소엽은 상피세포와 간충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원세포는 큰 핵과 전자밀도가 높은 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난황형성 전기의 난모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낮았고, 작은 구형의 난황 과립이 산재해 있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난병에 의해 난소소엽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골지체, 조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소기관과 전자밀도와 크기가 다양한 난황과립이 다수 존재하였다. 이들 난황과립의 전자밀도와 크기는 전단계의 난모세포보다 증가하였다. 후기 난황형성활성기의 난모세포의 난막 두께는 약 4.4 ${\mu}m$였다. 성숙한 난모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과 전자밀도가 낮은 지질성의 난황과립으로 가득 차 있었으며 두께 약 6.5 ${\mu}m$인 난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기재 (Ultrastructural Description on Oogenesis of the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Gastropoda: Pleuroceridae))

  • 김은경;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1
    • /
    • 2009
  • 담수 복족류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소는 나탑 후방부의 간췌장의 표면에 위치하며, 성숙시기에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는 다수의 난자형성소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자형성과정은 5단계로, 난원세포기, 난황형성전기, 난황형성개시기, 난황형성활성기,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난원세포는 직경 $4-6\;{\mu}m$의 원형으로 커다란 핵을 가진다. 난황형성전기의 난모세포는 직경이 약 $20\;{\mu}m$이며, H-E 염색에서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60-80\;{\mu}m$ 내외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난황과립들을 가지며, 난병에 의하여 난자형성소낭에 연결되어 있었다. 난황형성 활성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100-120\;{\mu}m$로 난황과립의 전자밀도, 크기, 양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들이 발달하였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세포질 대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들로 채워져 있었으며, 난막에서는 길이 약 $1.1\;{\mu}m$의 미세융모가 관찰되었다.

  • PDF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의 형태 및 계측형질 변화 (Changes of Morphology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Oocyte during Oogenesis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16
  • 북방전복에서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는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난원세포 (oogonium), 난황형성전기 난모세포(pre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개시기 난모세포 (initial 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초기활성기 난모세포 (early active 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후기활성기 난모세포(late active vitellogenic oocyte) 및 완숙기 난모세포 (ripe oocyte)로 구분할 수 있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 핵 및 인의 크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핵에 대한 인의 크기 비율은 감소하였다. 난모세포 세포질의 염색성은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에서 호산성으로 변하였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에서 난병과 젤리층의 외막이 발달되었다. 이러한 조직학적 변화는 난모세포의 난황축적 및 산란준비과정으로 판단된다.

생이가래속(Salvinia) 부유엽 모용의 분화발달 (Development of the Trichomes in Floating Leaves of Salvinia Species)

  • 서애리;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117-124
    • /
    • 2008
  • 생이가래는 수생 양치식물로 한 쌍의 부유엽은 식물체 부유 및 광합성의 기능을 하며, 수중의 침수엽은 가늘고 길게 세분되어 뿌리의 형태 및 기능을 수행한다. 많은 수생식물에서는 표피 조직에 엽침이나 모용 등의 이형세포를 형성하는데, 생이가래는 모용이 엽육 표피조직에 밀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이가래속 Salvinia natans 및 S. molesta 2종의 부유엽 상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의 분화발달 양상을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연구 하고자 한다. 연구된 2종의 생이가래 부유엽 상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은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S. natans의 모용은 중맥을 중심으로 엽신 양면에 일정하게 20${\sim}$25열로 발달한다. 각각의 열에는 8${\sim}$10개 세포로 구성된 $200{\sim}290{\mu}m$ 크기의 타원형 세포들이 나선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들 모용 4개가 모여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 지만 정단부위가 융합되지 않는 'knuckle-crane' 형태로 발달한다. 반면, S. molesta에서는 독특한 유형의 모용으로 분화한다. 분화초기 부유엽 상피조직에서 모용들이 돌기형태로 돌출되고 8${\sim}$10개의 원통형 세포들이 $400{\sim}600{\mu}m$으로 신장한 후 이들 모용4개가 하나의 단위를 이룬다. 이들 단위체내 각 모용들의 정단부위가 융합되어 'egg-beater' 형태로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후 $300{\sim}600{\mu}m$의 다세포성 병세포들이 모용 기저부위에서 상피표면 위로 신장하여 돌출한다. 성숙한 'egg-beater' 형태의 모용은 0.6${\sim}$1.2mm로 발달하고 'knuckle-crane' 형태에 비해 3${\sim}$4배 길게 신장한다. 연구된 생이가래 2종 모용세포 내 액포는 분화초기에는 세포용적의 극히 일부를 차지하나 분화후기에는 세포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세포질의 밀도를 매우 낮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생이가래속 식물체내 모용의 구조적 특성은 생이가래가 수중에서 부유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엽육조직 내통기조직과 함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다래를 가해하는 해충과 우점종인 열매꼭지나방의 가해특성 (Investigation of Insect Pests and Injury Characteristics of Stathmopoda auriferella (Walker) on Kiwi Fruit Tree)

  • 박종대;박인진;한규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8-152
    • /
    • 1994
  • 1991~1993년에 참다래 집단 재배지역인 전남 남부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참다래를 가해하는 해충과 우점종인 열매꼭지나방의 가해특성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해충은 총 12과 13종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열매꼭지나방과 뽕나무깍지벌레가 우점종이었다. 열매꼭지나방 의 태별크기는 난이 0.12mm, 종령유충이 9.8mm, 용이 5.9mm 그리고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12.3mm이었다. 열매꼭지나방에 의한 피해과율은 평균 45.9%이었으며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성충은 연 2회발생하며 1회는 5월하순~7월중순 , 2회는 8월중순~9월상순으로 최성기는 각각 6월상중순, 8월하순이었다. 시기별 유충과 용의 비율은 7월상순에서 100:0이었다. 중순은 96.1:3.9, 하순은 64.9:35.1 이었고 8월 상순에는 19.8:80.2, 중순은 0:100이었다. 또한 피해과는 7월상순에 4.6%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7월중순 이후에는 40%이상으로서 이 시기의 피해가 당년의 피해정도를 결정하였고 가해하는 부위는 과정부가 70%, 과경부가 11.1%이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내 주 지배품종인 헤이워드 32.2%, 몬티 22.2% 향록 13.9%, 아보트 9.3%. 브로노 6.0%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