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gras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 잘피 ($Zostera$ $marina$ L.)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 변화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 Variations of the Epiphytic Community and Biomass Related to the Host Plant ($Zostera$ $marina$ (eelgrass))

  • 정미희;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62-372
    • /
    • 2011
  • 본 논문은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과의 관계, 그리고 부착생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실시된 연구로서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에서 1998년 7월에서 1999년 7월까지 총 13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잘피 잎의 면적과 부착 생물의 현존량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가능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부착생물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해초의 외적인 성장이 증가할수록 부착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시간적 가능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착이 가능한 면적이 확대되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2) 부착생물의 건중량에 대한 무기물량 및 유기물량의 비율과 엽록소 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부착조류의 경우 석회홍조류나 규조류와 같이 무기물의 비율이 높은 조류의 현존량이 녹조류나 갈조류와 같은 조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독립영양지수 (AI, Autotrophic Index)를 통해 살펴본 부착생물의 군집은 약 2개월의 종속영양군집이후 1개월의 독립영양군집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으나, 독립영양생물을 위주로 한 군집의 유지기간이 짧고 지수의 값이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유기물질 또는 미생물 등을 위주로 한 종속영양생물의 군집이 우점한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7
    • /
    • 2011
  • 경남 거제시 저구리 명사 연안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1종, 1,387개체, 4,776.5 g 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으로는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가 378개체(27.3%)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점망둑(Chaenogobius annular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일곱동갈망둑(Pterogobius elapoides) 순으로 채집되었고, 전체 개체수의 89.3%를 차지하였다. 잘피 건중량은 2009년 8월 154 g/$m^2$에서 11월 31 g/$m^2$, 2010년 2월에는 41 g/$m^2$로 낮아졌고, 그 이후 증가하여 5월부터 78 g/$m^2$로 높아졌다. 살망둑,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그물코쥐치 그리고 돌팍망둑은 잘피가 무성해지는 5~9월에 주로 채집되었고, 실고기, 풀해마(Urocampus nanus) 그리고 실비늘치는 잘피의 성쇠와 상관없이 연중 출현하였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단각류의 계절변동과 식성 (Seasonal Variation and Feeding Habits of Amphipods Inhabiting Zostera marina Beds in Gwangyang Bay, Korea)

  • 정승진;유옥환;서해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2-128
    • /
    • 2004
  • On the basis of monthly samples,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 and feeding habits of amphipods inhabiting Zostera marina beds in Gwangyang Bay. Dominant species $(>1\%$ of the total number of amphipods) consist of 5 gammarids (Gammaropsis japonicus, Jassa slatteryi, Pontogenia rostrata, Atylus collingi and Ceinina japonica) and 1 caprellid (Caprella tsugarensis). Mean densities of amphipods varied from the highest of $63,148\;ind.\;m^{-2}$ in-May to the lowest of $1,247\;ind.\;m^{-2}$ in September. G. japonicus and J. slatteryi dominated in summer whereas C. japonica in autumn and winter. C. japonica was found to be a carnivorous feeder consuming mainly harpacticoid copepods and unidentified crustaceans, whereas G. japonicus, J. slatteryi, and C. tsugarensis consumed both phytoplankton and detritus. Seasonal densities of amphipod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hoot standing crop of the eelgrass and its epiphyte. Also densities of amphipod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ed with the shoot density of the eelgrass among sampling st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eelgrass and amphipods as well as between the carnivorous and the herbivorous amphipods may be important in the seasonal variation of amphipods inhabiting Z. marine beds.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산호해마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mohnikei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곽석남;허성회;성봉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16
    • /
    • 2008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동대만의 잘피밭에서 채집된 산호해마(4.1~10.4 cm SL)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산호해마의 주요 먹이는 옆새우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곤쟁이류 및 잘피 등을 소량 섭식하였다. 산호해마는 모든 체장에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작은 크기(<4.5 cm SL)에서는 요각류도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섭식하는 먹이생물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dietary breadth는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가막만과 여자만의 잘피밭에 서식하는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유어의 성장 및 환경과의 관계 (Growth of Young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Eelgrass Beds of Gamak and Yeoja Bay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 김진구;유정화;김정배;이원찬;김형철;문성용;김희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20-92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f young sea bas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 two adjacent eelgrass beds. Fishes were collected from Gamak Bay (GB) and Yeoja Bay (YB)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February 2006 to February 2007 using a dragnet (15 m in length and 3 m in width).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67 individuals of young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were collected from GB (171 inds.) and YB (196 ind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occurrence periods and growth patterns of young sea bass, as well as in environmental variables between GB and YB. Young sea bass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December in GB, but from April to July in YB. These differences may be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eelgrass density, leaf width, and zooplankton density between GB and YB.

통영 장평리 잘피밭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 최희찬;박종혁;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8-285
    • /
    • 2018
  •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from a seine net from May 2016 to April 2017. A total of 32 species, 2,042 individuals and 3,991.1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Takifugu niphobles, Rudarius ercodes, Gymnogobius heptacanthus, Zoarchias glaber, Pholis nebulosi and Leucopsarion petersii. These species accounted for 79.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fish assemblages in the eelgrass bed showed clear seasonal changes: the number of fish species increased in March and was highest in October,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in December and was highest in July.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Ulva pertusa (Chlorophyta) from an eelgrass bed

  • Choi, Tae-Seob;Kang, Eun-Ju;Kim, Ju-Hyoung;Kim, Kwang-Young
    • ALGAE
    • /
    • 제25권1호
    • /
    • pp.17-26
    • /
    • 2010
  • The effects of salinity on various ecophysiological parameters of Ulva pertusa such as growth, nutrient uptake, photosynthetic performance and internal nutrient composition were tested. U. pertusa was collected from an eelgrass bed in a semi-protected embayment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Under salinity regimes from 5 to 40 psu, the specific growth rates $(\mu)$ of U. pertusa ranged from 0.019 to $0.032\;d^{-1}$. Maximum growth rate was observed at 20 psu, and minimum at 40 psu. This species showed various uptake rates for nitrate and phosphate. Nutrient uptake was noticeably higher at intermediate salinity levels, and lower at both extremes. Salinity significantly influenced chlorophyll-$\alpha$ content and effective quantum yield. Tissue nitrogen content ranged from 1.5 to 2.9% N (dry weight), whereas tissue phosphorus ranged from 0.1 to 0.14% P (dry weight). The N : P ratio in the tissue of U. pertusa was considerably higher, ranging from 30 to 50. Increased growth at lower salinity suggests that the initial growth rate of U. pertusa is greater during the rainy season (i.e.,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than any other season during the year. The appearance of an Ulva bloom in eelgrass beds may be triggered by salinity more than by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동해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의 생육지 분포에 따른 형태 분석 (Morphometric Analysis of Zostera marina L. Found in Various Habitat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 권천중;이상용;최청일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66-72
    • /
    • 2002
  • 한반도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의 종 내 형태적 변이의 한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6월부터 8월까지 (동해 중부 화진포에서부터 남부 대변까지) 식물체를 채집 비교 분석하였다. 거머리말은 연안의 석호, 항구와 만의 다양한 생육지에서 출현하였다. 생체를 대상으로 형태학적 주요 형질은 직접 측정되었으며, 이들 자료로 형질의 상관관계,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였다. 외부형질의 특징에 따라 거머리말은 단협엽형, 장광엽형의 두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엽두 형태는 원두, 둔두, 미요두, 소요두, 유두, 예두와 미철두로 각 생육지와 집단 내에서도 변이가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동해연안에 생육하는 거머리말의 군집들은 생육환경에 따라 식물체 크기와 외부형질 변이 폭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an Eelgrass Bed in Myoungjuri of Jindong Bay)

  • 백근욱;곽석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8
    • /
    • 2005
  •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기 위해서 2001년 8월 부터 2003년 7월까지 소형 비임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33종이 채집되었다. 쥐노래미, 흰베도라치, 실양태, 가시망둑,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조피볼락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채집된 총 개체수의 79.5%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평균 15 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잘피밭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아주 높았으나, 생체량은 2001년과 2002년 9월에 각각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서는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은 잘피의현존량 및 먹이생물의 양적변동과 관계가 있었다.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잘피 및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I.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Epiphytes)

  • 정미희;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72-279
    • /
    • 2012
  • 이 연구는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두 번째 연구로서 해초가 서식하는 연안 환경의 물리화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부착조류를 포함한 부착생물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1) 잘피는 수주의 온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잘피의 성장이 온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 부착생물은 수온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주의 염분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염분 25 이하 범위에서 서식이 용이한 미세규조 종들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양염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는데, 3) 잘피의 성장과 총질산염 (TN)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수주에 총질산염이 낮을 때 잘피의 성장이 좋았으며, 4) 부착생물의 현존량과 인산염과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주의 질산염, 아질산염 그리고 총질산염과는 정상관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생물의 성장에 질산염 계열의 영양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과 잘피의 성장, 그리고 부착생물의 현존량과의 상관관계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부착생물의 현존량 증가는 영양염의 증가로 인한 것이며, 이는 잘피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원인-영향 과정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