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welfare worker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미혼모 보모 시설 종사자들을 통해 본 10대 미혼모의 교육 요구도와 시설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Institutionalized Unmarried Teenage Mothers - Focused on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s -)

  • 송현애;전길양;천혜정;배선희;송말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63-7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of institutionalized unmarried teenage mothers and difficulties of runn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structured interviews with 4 social workers are conducted. At first,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with teenage mothers tol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ized teenage mothers. Secondly, they presented their ideas about teenage mothers' educational needs, especially for preventing their repeated pregnancy. Thirdly, they pleaded their own sorry situation for running facilities such as depending on volunteers too much, financial problems, and limitations for running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for Educational Welfare Workers: Mediative Effect of Job Stress)

  • 최경일;송경순;서동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97-504
    • /
    • 2020
  • 본 연구는 취약계층의 학생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복지사가 인식하는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복지사 117명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 21.0 version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은 소진과 직무 스트레스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의 측면에서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족지지 자원인 요양보호사 양성과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와 직무수행준비에 관한 연구: SERVQUAL 모델의 적용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Occupational Readiness among the Home-health-care Workers Licensing Program Participants: An Applica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RVQUAL) Model)

  • 어성연;백선아;김양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3호
    • /
    • pp.69-8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me-health-care workers licensing education course in Seoul, Korea.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 conceptual model was suggested explaining the dynamics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RVQUAL),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occupational readiness. The data set for this study drawn from the 297 self-administered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uggested conceptual model by utilizing AMOS program. The measurement models and conceptual model fit well with the collected data set. As results of this study, 5 domains of SERVQUAL were produced including accountability, trustiness, responsiveness, sympathy, and assurance.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ing with latent variables confirmed that SERVQUAL were influenced perceived educa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occupational readiness. Among the SERVQUAL domains, accountability, trustiness,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hile accountability, trustiness and responsiven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The trustines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via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Henc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the significant impa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to intense the educational program or curricular focusing on the SERVQUAL elements. Those changes will enhance self-confidence among the prospective home-health-care workers as well as public trustiness on the national long-term care program.

  • PDF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과 직무수준인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ers'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Recognition of Job Performance Level on their Job Satisfaction)

  • 홍성희;곽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2호
    • /
    • pp.73-9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ers'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ir recognition of human resource on-the-job satisfaction. A sample of 4,727 workers that was selected from Korea Labor Panel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d was tested by causal effects among relat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recognition of their job performance level vs. educational attainment was affected by their annual income, job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gender, and experienc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cond,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gender, age, educational attainment, health status, job status, annual income, experienc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cognition of their job performance level vs. educational attainment, and recognition for their job availability. Third, the factors that had a causal effect on workers' job satisfaction were educational attainment, gender, age, health status, annual income, and experienc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bove all, workers' educational attainment had a strong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nnual income had a strong indirect effect on it.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workers' effort and trial for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human resour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 PDF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Cultural Welfare Worker on Empowerment)

  • 최종혁;유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13-136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복지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유형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역량강화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 실천가들은 우선 문화복지를 불안정한 휴먼서지스직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복지 실천가의 활동 유형을 크게 전문적 참여활동가와 기능적 참여활동가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양극단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전략은 이들의 실천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의 역량강화전략과 관련하여서는 이를 순기능적으로 진작시켜주는 촉진요소가 있는가 하면,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천가들은 역량강화를 위해서 그들이 전문직군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식적인 요건 마련과 그들에게 맞는 다양한 교육스펙트럼을 높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복지 실천가들의 역량강화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이들에 대한 교육과 슈퍼비전, 인력양성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수행도, 교육요구도 및 전문직업성 인식 (Job Performance,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송민선;김진학;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6-17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and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are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9 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1 to June 7, 2019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performance aspects of the job were as follows: care for safety and infection-related, communication and leisure support, and excretion. The most demanded educational needs were in first-aid. Care workers had more than average professional recogni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veral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areas with low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were high. First-aid is low in frequency, but it is important to cope with emergencie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on. 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career.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care workers.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in Korea : Focusing on Educational Mismatch, Discrimination and Empowerment)

  • 김안나;최승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31-357
    • /
    • 2017
  •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통합연구소에서 수행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양적 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외국인근로자의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현재 일자리에서 요구되는 학력과 본인의 학력이 일치하는 경우, 차별경험이 없는 경우,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외국인근로자들의 일자리 연계 시 학력의 미스매치 방지 및 차별 금지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 등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임파워먼트와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학력 미스매치 문항을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한 선도적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교육요구 조사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황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겪고 있는 요구 중에서 지식, 기술, 태도의 결핍과 관련된 교육요구를 밝히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교육체계의 수립 및 향후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교육요구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상위 10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위기(응급)상황 대처기술의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실천(특성, 인권, 안전, 건강 등), 사례관리(심화), 상담기법(기본), 사례관리(기본), 상담기법(심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민원대응 및 감정노동 관리, 의사소통 능력향상(직원 간, 클라이언트 등), 사업성과(사업 계획, 실행, 관리 및 평가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직무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도내 직무교육의 다양성과 체계적 훈련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체계적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교육의 질적 성장,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확대, 전문성 있는 우수한 강사진의 확보 등 다양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s and Assignments of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 홍봉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253-282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와 교육복지와의 관계를 정립한 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교육을 사회적 평등장치로 인식하고 인적자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행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가가 배치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교육복지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관련법이 미비하고 행 재정적 지원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련 조직간의 연계, 협력이 부족하고 복지, 교육, 문화가 연계된 통합적, 전문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는 교육복지체제의 구축을 위한 국가의 기능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하며 권리, 투자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법의 제정 및 행, 재정적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복지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되 교육취약계층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그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의 기회에서부터 교육의 과정, 결과까지의 평등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복지, 노동이 연계된 다차원적 접근과 관련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평생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 PDF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Healing Action Mechanism of Senior Dance's Educational Effect)

  • 유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4-121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