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perspective

검색결과 671건 처리시간 0.018초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방향과 성공적인 정착방안 탐색 (The Study of Basic Direction and Successful Fixation Way for Enhanc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 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3
    • /
    • 2014
  •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일반고가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진단하여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의 일반고 육성방안을 다각적으로 마련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박근혜정부의 교육정책기조와 경상북도 교육정책 방향, 경북지역 일반고 교육현황,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교육부의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에 기초하여 제시된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의 주요 추진과제로는 (1) 진로별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확대, (2) 일반고 학생을 위한 진로직업 교육 확대, (3) 위기학생 지원 프로그램 강화, (4) 일반고 High-up 프로그램 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 추진과제들이 학교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는 개별 일반고의 지역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의 정착, 학교경영에 있어 총체적 질 관리 적용, 그리고 협동적 학교조직문화 형성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민주시민 양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그리고 경상북도교육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즉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전략들도 제시하였다.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 교육분야 사용자 참여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ning Process Model for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Practices -)

  • 홍선주;임지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0
    • /
    • 2024
  •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미래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육공간 혁신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설계 방법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공간 혁신, 교육기획 절차, 사용자 참여 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실천사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1개교의 개축 프로젝트의 교육기획 과정에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그 결과를 모형의 개선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사용자 참여 설계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은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사용자 참여를 위한 초기 탐색 단계로, 교육기획가와 사용자가 미래교육을 위한 공유된 관점을 형성하고, 교육기획가는 학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초점을 둔다. 2단계는 미래교육으로 전환을 위한 구성원간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로,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성을 큰 틀에서 설정하고 중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 발산을 시작하는 데 초점을 둔다. 3단계는 미래학교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로, 학교의 교육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결정하며, 특색 교육공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한다. 4단계는 교육기획을 마무리하는 단계이자 공간기획을 시작하는 단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기획가와 공간기획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기획 절차의 이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지식에 대한 구조주의적 관점과 수학에서의 '지식의 구조' (Structural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Mathematics)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65-380
    • /
    • 1998
  • Structualist view distinguishes structure(reality) from phenomenon(appearance). Phenomenon is the outside aspect of structure and structure is the inside aspect of phenomenon. From the structualist view, the knowledge could e divided into two parts, the appearance of knowledge(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the inside aspect of knowledge). Structualist view advices teachers to understand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and not to teach mere the one aspect of knowledge, especially 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 that is, the written expressions in textbook, but to teach the inside and outside aspects fo knowledge total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attemp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re flourishing in the period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New Math movement' represents the attempts. The advocators of New Math, however, did not succeed sufficiently to understand the inside-outside view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and failed to make mathematics teachers to understand the view well. Their attention was put on to introduce the modern mathematics to school math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mathematics teacher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Especially, s/he should not regard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written in textbook as the totality of knowledge, but inquire into the in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from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 PDF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웹 기반 협동학습의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daption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to Strengthen Learner's Interaction)

  • 서원석;김현철;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8
    • /
    • 2002
  • 인터넷기술의 발달과 네트워크 환경의 구축 및 확산은 웹을 통한 교육적 적용과 활용을 더욱 증가시켰다. 학습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습자는 경쟁적, 개별적, 협동적 학습구조에 따라 교육을 진행한다. 이중 경쟁적, 개별적 학습구조가 갖고 있는 지나친 경쟁의 유발이나 학습자간 협력도의 결여라는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협동적 학습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장점과 모형을 웹에 적용하여 기존의 웹 기반 교육사이트의 질적 향상을 기한 웹 기반 협동학습 사이트를 설계 및 구현하고, 실시된 웹 기반 협동학습에 대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동기-태도를 향상시키고 있음을 보인다.

  • PDF

열린수학과 모델링 (Open mathematics education and Modelling)

  • 조완영;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663-677
    • /
    • 1998
  •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ocial change require new paradigm in Education. In a traditional paradigm, learners have been regarded as a passive being and knowledge could be transmitted to learner. But within this paradigm, it is difficult to confront the social change and to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in various context. This results in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Constructive paradigm.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ettings, Constructive paradigm emphasizes th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e reform m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NCTM's standards revolves around this paradigm and the open education movement in our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it. Open education values learner's interest, autonomy and internal motivation in learning. However, open education has been misunderstood by most of the teachers.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hange of paradigm. In this study, as a way of helping students connect mathematics to their everyday lives and construct meaningful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ncept, mathematical modelling is suggested. It consists of posing and specifying the real problem, formulation and constructing a mathematical model, analyzing and solving a mathematical problem. interpreting the solution and comparing with reality and communicating results. In this process, technology like computer can be a powerful tool. It can help students explore various problems more easily and concretely.

  • PDF

학교 급식관리 및 영양교육에 대한 행정담당자 및 영양사의 의식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Consciousness of Administrator and Dietitian for School Food - 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al Education)

  • 김경미;이심열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2호
    • /
    • pp.129-137
    • /
    • 2001
  • School food service must be operated as the part of the education. But it seems that it is not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effective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51 administrators and 85 dieticians of primary schools in Incheon area from Aug 7th to Aug 31st 2000. Drawbacks of school food service system cited from the survey results were insufficient support from the authorities both in policy and in budget and shortage of specialists for food service administration. Both dieticians and administrators acknowledged that available facilities required for the school food service were insufficient. 85.9% of dietition and 51.0% of administrators thought dietition of school food service to be suitable for nutrition education. For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they suggest to have teachers taking in charge of nutrition education, to have teaching system related with school food service and to develope visual auditorial teaching material.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chool food service, it is necessary to acquire sufficient budget and politic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o have specialists for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regulations promoting dieticians to be teachers of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 PDF

데이터 기반 학교 운영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환경 설계 (Designing a data based school with Internet of Things)

  • 계보경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32
    • /
    • 2021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학습에 활용한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현장 교사, 기술 전문가 대상 FGI를 통해 IoT가 학습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학습환경 데이터와 유형별 활용 시나리오 모델을 정의하였다.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토타입을 실제 학습환경에 시범 적용하여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과 활용 관점에서 검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IoT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학교현장의 제약사항을 고려한 IoT를 활용한 학습 및 학습환경을 실제 구축하고 적용한 선험적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상관개념의 발달과 교수학적 중재에 관한 소고 (The Development and Didactic Mediation of the Correlation Concept)

  • 남주현;이영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315-334
    • /
    • 2005
  • 이 논문의 목적은 심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처음으로 연구된 상관개념의 발달 시기와 방법을 통계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교수학적 중재의 시기와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 심리학적 접근의 근간이 되는 Inhelder & Piaget의 1958년 연구를 심층 분석하였다. 심리학적으로 먼저 발달시기가 연구된 상관개념은 비례, 확률개념을 선결조건으로 가지며 상관계수 공식에 초점을 맞춘 형식 논리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상관개념은 분포개념의 일부로써, 조건부 분포의 비교를 통하여 상관개념을 파악하는 수준으로부터 비례개념과 확률개념까지 적용된 조건부 확률 분포에 이르는 수준으로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문헌연구에서도 11세${\~}$12세 정도의 형식적 조작기 초반에 이르는 학습자들에게서도 조건부 분포의 비교를 통한 상관에 대한 추론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상관개념의 교수학적 중재의 시기를 앞당기는 것에 대한 고려와 상관개념을 분포개념의 일부로써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PDF

학교 수학 기하 용어의 의미론적 탐색 - 기하 용어의 역사적 변천 및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 (A Semantic Investigation of Geometric Terminology in School Mathematics)

  • 박경미;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565-586
    • /
    • 1998
  • Like many other school subjects, terminology is a starting point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plays a key role in mathematics learning. Among several areas in mathematics, geometry is the area in which students usually have the difficulty of learning, and the new terms are frequently appeared. This is why we started to investigate geometric term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ometric terminology in school mathematics. To do this, we traced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geometric terminology from the first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o the 7th revised one, and compared the geometric terminology of korean, english, Japanese, and North Korean.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could find and structuralize the following four issues. The first issue i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perspectives regarding the definitions of geometric terminology: inclusion perspective and partition perspective. For example, a trapezoid is usually defined in terms of inclusion perspective in asian countries while the definition of trapezoid in western countries are mostly based on partition perspective. This is also the case of the relation of congruent figures and similar figures. The second issue is that sometimes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the definitions of geometric figures and what the name of geometric figures itself implies. For instance, a isosceles trapezoid itself means the trapezoid with congruent legs, however the definition of isosceles trapezoid is the trapezoid with two congruent angles. Thus the definition of the geometric figure and what the term of the geometric figure itself implies are not consistent. We also found this kind of discrepancy in triangle. The third issue is that geometric terms which borrow the name of things are not desirable. For example, Ma-Rum-Mo(rhombus) in Korean borrows the name from plants, and Sa-Da-Ri-Gol(trapezoid) in Korean implies the figure which resembles ladder. These terms have the chance of causing students' misconception. The fourth issue is that whether we should Koreanize geometric terminology or use Chinese expression. In fact, many geometric terms are made of Chinese characters. It's very hard for students to perceive the ideas existing in terms which are made of chines characters.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Koreanize geometric terms. However, Koreanized terms always work. Therefore, we should find the optimal point between Chines expression and Korean expression. In conclusion, when we name geometric figures, we should consider the ideas behind geometric figures. The names of geometric figures which can reveal the key ideas related to those geometric figures are the most desirable terms.

  • PDF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Study on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s of Big Data)

  • 이영석;조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16-722
    • /
    • 2016
  • 급격한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 시대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와 관련 기술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도는 학생, 교사, 학부모 등의 입장에서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적 활용 시나리오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빅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용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분석하고,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교육용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이 제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 시범적으로 업무과 교육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에서 동작하는 테스트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이를 교사들이 직접 사용해 보고 나서, 업무와 교육에서의 흥미도, 즐거움, 도구 사용 느낌, 긴장감이나 걱정, 자신감 등을 토대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용 빅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