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levels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7초

사회$\cdot$경제적 요인별 차별 사망력의 변화: 1970 ~ 1986 (The Changes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Determinats(1970~86) : Based on Death Registration Data)

  • 윤덕중;김태헌
    • 한국인구학
    • /
    • 제12권2호
    • /
    • pp.1-21
    • /
    • 1989
  • For the analysis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factors based on death registration data, we have considered four variables : place of residence,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The age range adopted were 5 to 64 years of age for place of residence, and 25 to 64 years of age for the other factor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variables were clear and in the expected direction: mortality levels among urban residents, better educated groups, and non- agricultural workers were lower than among the other sub- groups. The average mortality level in rural areas is much higher than in urban areas : the rural mortality levels were at least double the urban levels at ages below 40 years, but became smaller after age 40, and no clear differentials by urban I rural residence increased until 1974~76 for the both sexes, but since the then differentials have declined slowley for both sexes. This changing pattern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place of residence can be explained by histori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 the development generally started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followed : in the cours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ath rates in the two areas became smaller and finally the mortality levels in the two areas became nearly the same, as is found in the developed countries nowadays. The inverse relationships between mortality and educational level became stronger between the periods 1970~72 and 1984~86, but showed the same atterns of mortality differentials in both period : larger differences among the younger age groups, and for males, than among the older age groups, and for females. The increasing mortality differentials in the fourteen-year period between 1970~72 and 1984~86 were caused by inadequate living standards of the non- educated, whose proportion in the total population, however, dropped sharply during that period. Also, the much lower proportions of low - educated groups or of persons with no formal education among males than females helped to establish the clearly pronounced differential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marital status in Korea showed the usual pattern : the mortality rates of the married in each age and sex group were clearly lower than those of others during the fourteen-year period between 1970~72 and 1984~86. In Korean society which remotes universal marriage, the never married recorded especially high death rates, presumably mainly because of ill - health, but also possibly because of the stigma attached to celibacy. However,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marital status changed with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ate distribution by marital status during the period :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ath rates of the married and never married groups became smaller, the proportion of the never married group increased : in contrast, the differences between mortalities of the married and widowed / divorced / separated groups widened, with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later group ; this tendency was perticularly marked for females. Occupational groups also showed clear mortality differences : among four occupational groups mortality of males was highest among agricultural workers and lowest among 'professional, admi-nistrative and clerical workers, However, when the death rates were standardized by educational level, the death rates by occupation in age group 45~64 years were nearly the same (excet for the mixed group consisting of unemployed, students, military servicemen and unknown). Therefore, the clear mortality dfferentials by occupation in Korea resulted mainly from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between different occupation groups. Sinc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net effect of each variable was examined. Each of the three variables - 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urban / rural residence affected significantly Korean adult mortality when the effects of the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mong the three variables educational leve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dult mortality level. When male's occupation was added to the above three variables, the effects of occupation on adult mortality were notably smaller after control for the effects of the other three variables while the net effects of these three variables were nearly the same irrespectively whether occupation was included or not. Thus,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mainly), place of residence and marital status bring out the clear differences in observed mortality levels by occupation.

  • PDF

중학생들의 수학적 언어 수준 (Mathematical languag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3-141
    • /
    • 2003
  • 본 연구는 Freudenthal의 언어 수준을 토대로 중학생들의 수학적 언어의 이해 수준과 사용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하 개념에 대한 언어 이해 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이었으며, 이 검사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언어를 이해하는 것에 수준의 위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학생들이 수학 개념을 설명하면서 사용하는 언어의 수준은 수학적 언어를 이해하는 수준과 상관이 없었으며. 과제에 따라 정답에 기여하는 언어 사용 수준이 달랐다. 마지막으로 중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쉬운 언어는 수학적 대상에 이름을 붙인 지표를 일상언어의 관계로 설명되는 3 수준이었으며 이것은 언어 이해 수준, 언어 사용 수준과 상관이 없었다. 본 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사용 수준이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그에 맞게 수학 학습 지도를 해야 할 것이며, 수학적 언어를 자신 있게 사용 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과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 PDF

음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 우정호;최병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음수개념의 내재적 본질이 외형화되는 점진적 형식화의 과정을 역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음수의 개념장을 가법구조와 승법구조에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역사적 심리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음수개념의 형식성을 이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음수개념의 발달 수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음수개념의 형식적 본질에 비추어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음수 지도 내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의 음수의 이해 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점진적 수학화 과정, 기호화 과정을 통하여 음수개념의 형식성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형 학습을 위한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dventure-Game style Program for Figure Learning)

  • 이재무;김민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3-42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에서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 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로 고려하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수준차가 심한 다인수 학급체제에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을 실시하여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van Hiele 이론을 적용한 수준별 게임 학습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심화 보충학습이 필요한 학습자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공간 지각 능력이 필요한 도형 학습에서 다양한 조작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공간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곱셈적 사고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 분석 (An Analysis on Third Graders' Multiplicative Thinking and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y)

  • 김정원;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6
    • /
    • 2013
  • 본 논문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곱셈적 사고 수준을 조사하고, 이러한 사고가 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곱셈 문제 해결과정에서 어떠한 사고를 보이는지, 각각의 사고 수준에 있는 학생들의 비례 해결 전략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덧셈에서 곱셈으로 가는 과도기적 사고 수준의 학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사고 수준에 따라 비례문제 해결 과정에서 문제 해결 전략 및 오류 유형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례 추론의 기반이 되는 곱셈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곱셈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드러낸다.

  • PDF

그래프 유형에 따른 두 공변 추론 수준 이론의 적용 및 비교 (Analyzing Students' Work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aphs Using Two Frameworks of Covariational Reasoning)

  • 박종희;신재홍;이수진;마민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23-49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공변 추론 수준에 관련된 두 이론(Carlson et al.(2002), Thompson, & Carlson(2017))을 그래프 유형(양적 그래프, 질적 그래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양적 그래프 과제에서 Thompson과 Carlson(2017)은 Carlson 외(2002)보다 학생의 수준을 세분화하였으며, 질적 그래프 과제에서 Thompson과 Carlson(2017)은 학생 수준을 범주화하기 어려웠지만, Carlson 외(2002)는 학생의 수준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공변 추론을 파악하는 데 있어 양에 따른 수치적 접근의 분석뿐만 아니라 두 양의 공변 양상을 비수치적으로 파악하는 질적 접근의 분석도 중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Thompson과 Carlson(2017)이 양에 따른 수치적 접근을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방법이며 Carlson외(2002)가 비수치적으로 파악하는 질적 접근을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농촌지역 성인들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치 및 관련요인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a Rural Adult Population)

  • 안순기;감신;진대구;김종연;천병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55-262
    • /
    • 2002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fetal cholesterol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a rural adult population. Methods : 3,207 adults(1,272 men and 1,935 women) were examined in 1997 Their heights, weights, and fasting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measured, and their body mass indices were calculated. A questionnaire interview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risk factor data. Results : The mean value of total cholesterol were 190.5 mg/dl, and 198.8 mg/dl, and the age-adjusted prevalence rates for hypercholesterolemia (above 240 mg/dl) were 13.7% and 10.2%,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From simple analyses, age, educational level, coffee intake, amount of meat and food intake,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circumference ratio(WHR), and body mass index(BMI)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in men (p<0.05) relating to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In women, age, educational level, hypertension history, diabetes history, herbal drug history, amount of feed intake, alcohol consumption, waist circumference, WHR, BMI, and menopausal status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p<0.05).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aist circumference (p<0.01), BMI (p<0.01), and coffee intake (p<0.05) pro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in men. Whereas, menopausal status (p<0.01), BMI (p<0.01), herbal drug history (p<0.01), amount of food intake (p<0.05), waist circumference (p<0.05), and alcohol consumption (p<0.05)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in women. Conclusions :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both men and women, relating to the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waist circumference and BMI. Thus, for the reduction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it is recommended that health education for the control of obesity should be implemented.

교육기관 종사자 대상의 정보보호교육센터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Assessment Criteria of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Centers for Personnel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 전효정;김태성;김연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455-462
    • /
    • 2013
  • 교육기관에서 개인정보의 보호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현재의 교육부)는 2012년 9월 교육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보보호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센터를 4개(사이버센터 1개 포함) 개소하였다. 정보보호교육센터의 취지를 잘 살리기 위해서는 교육수요자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장기적인 교육이수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정보보호교육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기술교육과정을 편성함은 물론 자질있는 강의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정보보호교육센터의 개소가 국내 교육기관 및 교육종사자들의 정보보호 수준향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의 운영 효율성' 평가 관점에서 교육내용 및 교육운영을 중심으로 교육기관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f Learning Using Educational Contents)

  • 박혜영;고대곤;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293-300
    • /
    • 2005
  •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여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도입한 7차 교육과정에서도 모든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 수준을 10%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활용한 수업안을 설계해 적용함으로써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동영상 자료 등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수업은 실험집단의 의미 있는 흥미도 증가를 가져왔으며, 학업성취도 향상에 따른 수업의 효과 증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주요요인과 교육만족도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Educational Assessments)

  • 권도희;정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43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improve future-orient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their curriculum and major courses and proposing their basic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in Busan (5 junior colleges and 1 four-year univers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questionnaire items on the curriculum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curriculum development', 'facility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s', 'instructor/teacher activities', 'educational evaluation activitie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nd 'output evalu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ll positive relations. Seco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output factors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utput factor levels were high a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ge', 'teacher/instructor activities', curriculum requirement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high. In overall, relatively good results (69.0%) were observed. A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urriculum in educating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by applying their educational evaluation to optimum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