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mplication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규방공예에 대한 실태조사 및 활용 방안 모색 (A Study on the Current Trend and Implication for Development of Gyubang Craft)

  • 이연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1-126
    • /
    • 2008
  •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current status and appropriate way to research Gyubang craft, expecting its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and elevating it to Korea's unique artistic textile culture. It also searches improved methods for Gyubang craft as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avoid confusions about Gyubang craft, appropriat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Gyubang craft must be settled through a discussion among experts. Second, by activating economic activities at lower ratio, among purposes of Gyubang craft, achievements must be elevated. Third, in order to settle down the difficulties of Gyubang craft,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effective sewing machin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as well as providing materials at a reasonable price, considering practical ways through diversifying products, elevating the economy of crafts, exploring sales routes, improving educational contents, and expanding educational places must be facilitated. Fourth, for nurturing talented and excellent human resources in the area of Gyubang craft,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diversifying contents of education, developing textbooks, improving instructors' quality, providing reasonable cost of education, educating on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Gyubang craft, introducing efficient teaching methods through textbooks and multimedia, awarding 'certificates' to trainees, and permitting certificate holders' to instruct Gyubang craft. Finally, it is convinced that the achievement of production, pride of preserving tradition, pleasure of procedural work, economic activities as experts, and sales of products will be reinforced, and the population for Gyubang craf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By elevating Gyubang craft into Korea's traditional textile art, Korea's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area of textile should be strengthened.

  • PDF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 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95-313
    • /
    • 2006
  •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sought for ways of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supply mathematics teachers with practical theor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mathematics programs and the ways of how to develop the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site for learning to teach based on the inquiry into student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who had taught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seminal meetings with the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es, that is, what and how they had learned as teachers,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teaching and supports that they expect to improve their learning through teach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as future mathematics teachers. Specifically,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the site for learning through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the students teachers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peripherally in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Through the participation, the student teacher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career and became to have more solid ideas about how to teach mathemat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 teachers to participate into the practice of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eac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eaching at peripheral and legitimate posi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entoring networks to support student teachers to move from a peripheral position toward a center of teaching practice.

  • PDF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 정용재;장명덕;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55-27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For the study, the views about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surveyed from 227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gender, intensive majors and school science test scor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internal values of doing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of it.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science experiments is 'to get the evidences for the theories and arguments'. On the other hand, the views from the women and social studies major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the man and science major pre-service teachers. Second,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excessively considered that the internal value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In particular, only few pre-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social and personal aspects of the experiments, though they considered well that the experiments are useful tools for the school science study. Third, there were quite different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views between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For example, the views about the scientist's experiments were relatively broad concerning the nature of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just regard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the science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science education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직관에 관한 연구 역사와 수학교육적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of Intuition Research and its Mathematics Educational Implication)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63-376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창의적 능력의 한 요소로 간주되어 온 직관에 관한 이해와 관심을 새롭게 하고, 수학 교수 학습에서 직관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직관의 본질과 직관에 관한 연구의 역사, 사고의 발현 과정을 선형적인 측면에서 몇 개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는 정보치리 접근 방법에 의한 직관 연구를 살펴보았다. 오래 전부터 직관은 신비스러운 속성을 지닌 대상으로 간주되었고, 따라서 직관을 탐구하기 위한 논의 자제가 어려됐다. 그렇지만 20세기에 들어와 심리학 관점에서 직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직관에 대한 연구는 역사정보처리 관점에 의한 직관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병렬분산처리 모델 관점에 의한 직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직관에 관한 연구들은 직관의 속성을 완벽하게 규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한편 수학교육 분야에서 직관에 관한 연구는 몇 및 학자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수학 교수 학습 상황과 관련하여 실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미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직관 탐구의 역사에 대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 직관 탐구의 의미와 직관을 중심으로 한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양(量)의 계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y Calculu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정은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445-458
    • /
    • 2010
  • 이 연구는 양 개념의 발달 과정을 알아보고 초등학교에서 양의 계산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산량과 연속량의 이원론에 근거한 유클리드의 수와 양의 구분은 이후 수학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다가 스테빈에 의해 극복되었다. 양의 덧셈과 뺄셈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왔지만, 양의 곱셈과 나눗셈은 수학계에서 될 수 있는 대로 피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자연과학계에서는 전부터 물리량의 계산을 허용하여왔고, 물리량 체계를 모델화한 대수 구조를 만들어 양의 곱셈이나 나눗셈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조사해 본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에서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양의 계산 지도를 등한시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앞으로 이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도 양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현재 삭제된 내포량도 수학과에서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문장제도 실생활 관련 문제를 많이 제시하여 자연스럽게 양의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문장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로 된 식만 쓸 것이 아니라 단위를 붙인 식을 써서 양적인 추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

  • PDF

표준화 교육 실태 및 표준화 교육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Standardization Level and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on Performance of the Firm)

  • 노용휘;정원호;최동현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1호
    • /
    • pp.37-60
    • /
    • 2015
  • 글로벌 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가 진척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국가 간 무역에서도 표준화를 통한 호환성 확보는 수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교육 실태와 표준화 교육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기업을 샘플로 하여 표준화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표준 및 표준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의 특성, 업종, 업력, 그리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특성과 표준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에 따라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수준이 양적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실시 수준이 기업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교육의 횟수 및 교육 인원은 기업의 R&D 수행과 생산 및 품질 개선으로 대표되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표준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가진다.

싱가포르와 우리나라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한 분수 개념 지도 방안 탐색 (An Comparative Analysis of Fraction Concept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 정은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43
    • /
    • 2009
  • 이 연구는 분수 개념의 여러 가지 의미에 대해 우리나라 교과서와 싱가포르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보고, 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논의의 결과, 등분할 활동을 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활동 위주로 구성하는 것이 교사나 학생들에 혼란을 주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분할분수의 정의도 두 나라 모두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 수로서의 분수를 드러내도록 다듬어야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또한 몫분수나 비율분수를 도입하는 상황이 우리나라가 싱가포르보다 자연스럽지 못하다. 양분수를 좀 더 비중 있게 다루는 것이 실생활과의 관련성 뿐 아니라, 가분수를 도입할 때에 이해를 쉽게 해주며, 분수를 절대적인 크기를 갖는 수로 받아들이도록 하는데도 무리가 없음을 알았다. 그 뿐 아니라 두 나라 교육과정을 비교해본 결과 이산량의 등분할을 통한 분수 도입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지도 순서가 우리나라보다 싱가포르가 더 빨리 도입되지만, 단계를 더 세분하여 지도할 뿐 아니라 다루는 분수에 대한 제한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불필요한 계산에 시간을 소비하지 않도록 이와 같은 제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 PDF

수학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연구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s)

  • 김래영;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33-551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가 서술형평가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문항을 개발하는지, 서술형평가의 목표와 효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같은 서술형평가 전반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실제 학교현장에서 서술형평가문항의 채점방법과 활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총 189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있어 알고리즘적 문제해결과 정답을 강조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실제 문항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형 평가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채점 방식을 조사한 결과 분석적 채점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교사들 간의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서술형평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시사점 및 함의점을 제공하였다.

  • PDF

영문학 기반 키네틱 교육 콘텐츠의 교육적 유의미성과 현장 활용 방안 탐구 (A study of kinetic narrativ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English literature: A convergent approach)

  • 김은정;신동일;김금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3-53
    • /
    • 2016
  • 키네틱 교육(Kinetic education)은 모션을 인식하는 디지털 기기인 체감형 게임기(motion based game device)를 사용하여 교육행위에 운동성을 접목하는 융합형 교육방안이다. 본 논문은 키네틱 교육의 필요성과 의미를 탐색하고, 영미문학 서사 교육, 전신반응 활동에 기반을 둔 스토리텔링(Total Physical Response-Storytelling) 교수법의 특성을 상보적으로 결합시켜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교육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영문학 기반 키네틱 교육 콘텐츠' 기획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예시는 '아기돼지 삼형제'(The Story of the Three Little Pigs) 동화를 활용하여 1) 어린이 영문학 작품 선정 및 분석, 2) 콘텐츠 프로토타입 설계 및 개발, 3) 동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사문화 교육과 스토리텔링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새로운 융합적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학 서사 기반의 키네틱 콘텐츠의 교육적 연계성과 인문학적 가치를 부연하였다.

초등기하 학습에서의 구체물과 반구체물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Concrete Object and Semi-Concrete Object in Elementary Geometry Learning)

  • 임영빈;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441-455
    • /
    • 2016
  • 수학 학습이 구체물이나 친숙한 상황을 다양하게 제시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장은 CSA(Concrete-Semiconcrete-Abstract)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최근 Kaminski 등의 연구는, 다양한 맥락을 가진 구체물로 수학적 개념을 학습하는 것보다 추상적인 개념을 먼저 학습하는 것이 지식의 전이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관점을 고려하여, 구체물, 반구체물, 추상적 개념의 지도순서를 다르게 적용한 수업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구체물로 시작하여 개념을 도입한 수업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한 것으로 보였으나 그 효과가 지속적이지는 않았으며, 성취도 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구체물이 가지는 과도한 구체성으로 인해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오류는 반구체물로 개념을 도입한 수업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비본질적 요소가 사상된 반구체물이 추상적인 개념 학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