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diplomac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중국 공공외교 전략과 수행방식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Chinese Public Diplomacy Strategy and Performance)

  • 안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69-184
    • /
    • 2020
  • 본 논문은 중국 공공외교 전략 하에 추진되는 국제교육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중국 공공외교 수행방식 변화와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시진핑 지도부는 중국은 지난 40여 년간의 경제적 성장으로 토대로, 이제는 G2에서 세계최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그에 대한 비전으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공공외교 차원에서 추진되는 국제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수동적이고 대응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국가 전략 속에서 능동적이고, 중장기적으로 구체화되어 운영된다. 즉 과거의 중국의 국제교육 프로그램이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기 위한 소극적 모델이었다면, 현재 중국의 국제교육 프로그램은 세계 속에 '중국식' 질서를 학습, 확산시킬 수 있는 능동적인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APEC 국제교육협력사업에 대한 성과평가 연구: 국제교육활동 참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n Evaluation Study for APEC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 장덕호;차중찬;이정연;백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9-1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가 추진해온 APEC 교육협력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국제적 평가를 살펴보고, 향후 동 사업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기 위한 전략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PEC 학생 교류 프로그램, 알콥 협력 프로젝트, 알콥 스쿨 네트워크, 국제 알콥 컨퍼런스, 국제교육협력봉사단 파견, 이러닝 연수 프로그램, 미래교육 포럼, 알콥 워크숍의 8개 사업들을 중점적인 평가 대상 사업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를 통해 각 사업별 참여자들의 사업들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및 공헌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개국의 283명의 전문가들과 사업 참여 유경험자들의 응답을 얻어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 측면에서는 알콥 협력 프로젝트가, 참여도와 공헌도 측면에서는 국제협력봉사단파견이 가장 양호한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APEC 교육협력사업의 실행을 위한 향후 전략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Вступление Китая в новую фазу развития на фоне "торговой войны" с США: взгляд из России (A New Phase of China's Development Against the Background of "Trade War" with the US: View from Russia)

  • Lukonin, Sergey;Ignatev, Sergei
    • 분석과 대안
    • /
    • 제2권2호
    • /
    • pp.111-141
    • /
    • 2018
  • By the middle of 2018 there are signs of China's entry into a new period of development, characterized by a change in the old model: "market reforms-inner-party democratization - moderate foreign policy" to another: "market reforms - Xi Jinping personality cult - offensive foreign policy." This model contains the risks of arising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economic freedom and political-ideological rigidity which can lead to destabilization of the political life. However, in the current positive economic dynamics, these risks may come out, rather,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oday,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ina remains stable - despite growing dissatisfaction in scientific expert and educational circles due to increased control over the intellectual sphere by the authorities. The need for a new re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central and provincial authorities could potentially disrupt political stability in the medium term, but, at the moment, is not a critical negative factor. The economic situation is positive-stable. Forecasts indicate a possible increase in China's GDP in 2018 at 6.5%. At the same time, there are negative expect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Sino-US and potentially Sino-European "trade war". In the Chinese foreign policy, as a response to Western pressure, China increasingly uses the Russian direction of its diplomacy in the expanded version of Russia + SCO. The nuance here is seen in China's adjusted approach to the SCO: first of all, not as a mechanism for cooperation with Russia, but as an organization that allows using Russia's potential for pressure on the US in the Sino-US strategic rivalry. In the second half of 2018, the Chinese economy will continue to develop steadily, albeit with unresolved traditional problems (debts of provinces and state-owned enterprises, ineffective state sector, risks on the financial and real estate market). In politics, discontent with the cult of Xi will accumulate, but without real threats to its power. Weakening in economic opposi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s possible due to Beijing's search for compromises on tariffs, intellectual property, trade deficit. To find such trade-offs, Xi will use the so-called. "Personal diplomacy" of direct contacts with Trump.

  • PDF

관제기(1894-1906) 관립 외국어학교 연구 (Official Foreign Language Schools in Korea, 1894-1906)

  • 한용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57-81
    • /
    • 2017
  • 본 연구는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육사적 의미를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시기 설립 운영된 6개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사진 특성과 학생수 변화를 통해 당시 외국어교육 정책과 외국어학교간 비교우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과거제와 신분제를 폐지한 조선에서 외국어 교육은 근대적 문물 습득과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문화자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제기의 외국어학교는 당대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이었다. 입학연령은 15세 이상 23세 이하였지만 실제 입학생들 대부분은 20세 이상이었다. 둘째, 관제기 외국어학교의 몇몇 교사 중에는 군사와 외교, 기술 분야 전문가도 있었다. 특히 법어학교 교사 마르텔은 대한제국 시기 중립외교 정책을 전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외국어학교의 학생 모집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넷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입학생 통계를 보면 한어학교, 법어학교, 영어학교의 순으로 비중이 높으며, 이는 당시 재학생 통계상 영어학교와 일어학교에 학생들이 집중된다는 일반적인 주장과는 다른 결과이다. 다섯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는 역관통사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경세가가 될 수 있는 문무 관료를 양성하였다.

삼국시대 서적 유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ok Distributio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송일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7-259
    • /
    • 2013
  • 이 연구는 삼국이 통일을 이룬 7세기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서적과 내국인이 편찬하여 유통된 서적을 대상으로 그 전모를 조사하여 주요한 특징을 밝힌 글이다. 삼국은 5세기부터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고대국가의 정착을 위해 법령의 제정, 교육제도의 도입, 학문의 진흥, 국제 외교, 국사의 편찬 등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4세기 후반 한반도에 전래한 불교는 초기에는 단순히 불경을 전수하는데 불과하였으나, 대장경이 도입된 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종파를 형성할 수준으로 교학이 발전하여 우리 자체의 장소문헌의 찬술이 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삼국이 통일된 7세기까지 서적의 유통 현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 서적은 주로 유교와 불교 문헌에 집중된 현상을 보이고, 내국인에 의한 자체적으로 편찬한 서적은 삼국의 역사서와 불교의 장소문헌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초학습에 필요한 소학서와 과학분야의 전문서적이 수입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삼국에서 유통된 서적의 경우 대부분 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필사본 형태로 보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삼국에서 5세기 이전에 편찬되었던 "유기(留記)"와 "서기(書記)" 등 역사서적은 죽간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