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of environmental ethics in high schoo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Author's Ethical Behavior for Cond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Research

  • WOO, Hyein
    • 연구윤리
    • /
    • 제3권2호
    • /
    • pp.13-17
    • /
    • 2022
  • Purpose: Environmental education-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elaborating on the various ethical behaviors crucial in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research. The study utilized a literature review of initial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as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has selected the literature content analysis as a research design because this analysis tool provided the present author numerous and tremendous previous works in the realm of authors' ethical issues within environmental education area and prior research already confirmed the high quality of an instrument.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analysis, the findings emphasize that, while making any choice regarding environmental studies and research, authors and researchers must consider how ethical behavior might be applied to the particular circumstance. There are three ethical behaviors for authors and they can be founded in the section 3 of this study. Conclusion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ree major subfields of environmental ethics-resource ethics, animal ethics, and ethics of nature protection-serve as the foundation for ethical behavior in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thical treatment of scarce resources, deployable resources, and environmental media.

고등학교 도덕 교육과 환경 윤리 (Moral Education & Environmental Ethics in High School)

  • 황광욱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155-182
    • /
    • 2010
  • 환경 윤리에 대한 윤리학적 의견이 분분하기는 하지만 인간과 자연에 관한 관계의 재정립, 인간의 자연에 대한 의식 및 인식의 전환, 도덕적 의무와 책임의 확대 등이 도덕·윤리과에서 담당해야 할 환경 윤리 교육의 공통된 주제로 모아진다. 곧 '환경 교육'은 전 교과에서 시행될 수 있지만, '환경 윤리 교육'은 도덕·윤리과의 정체성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도덕』 교과서에서 환경 문제에 관한 단원은 외형적인 틀은 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모순되는 관점의 병렬적 진술, 문명과 자연의 이분구도, 동양 사상에 대한 비주류적 접근 혹은 개인적 태도에 초점을 맞춘 진술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윤리와 사상에서도 생태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대결구도, 인간을 환경 혹은 생태계의 암적인 존재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서 윤리 교육은 '지정행(知情行)'의 통합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환경 문제의 근원적인 원인을 '인식'에 둔다면, 고등학교 환경 윤리 교육의 교수-학습의 중요도는 '인지>정의, 행동'으로 되어야 한다. 고등학생은 환경 윤리학에 대한 고차의 지식과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준이 되기 때문이다. 동양 사상의 자연관도 기왕의 환경 윤리학의 '관점'의 틀을 통해 동일차이를 설명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또 유학, 도가, 불교를 묶어서 '동양'이라는 틀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사상이 갖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이 비교되어야 한다. 즉 환경 윤리학의 관점과의 동일-차이/ 유, 불, 도의 동일-차이가 종횡으로 설명된다면 기왕의 환경 윤리학을 보완 내지는 제3의 방식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의 구성과 과제 (The Organization and Tasks of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이선경;최석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26-39
    • /
    • 1998
  • The ‘Ecosystem St Environment’ subject is included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 Korea, which ‘Environmental Science’ subject in the 6th curriculum was changed to. The 6th curriculum was announced in 1992 and has been applied till now, and the 7th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in the late of 1997 and will start to be applied in school education from 2001. The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is an integrated subject for liberal arts and science, which deals with environmental problems with approaches of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Its significance lies in understanding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t is aimed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 subject in middle schools, which is one of the three optional subjects. This subject consists of six domains: human being and environment, ecosystem and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 their measures, environment and socie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mpared with ‘Environmental Science’ in the 6th curriculum, in this subject less emphasis is put on environmental technological approach and more emphasis is put on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social approach. On the contrary, one unsatisfactory point is as the following: locally integrated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omitted: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is more or less sporadical and sometimes overlapping; practical solutions are not concrete in writing the textbook and teaching it. The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which has been organized with new content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s will be successful in achieving the given goal only when a lot of high schools select this subject and are taught effectively.

  • PDF

영재학생들의 사회과 학습의 역동성을 지원하는 협력교수 체제의 구안 (Construction of cooperative teaching system to support dynamics in gifted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 박해진;백순화;남율수;노경현;이수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36
    • /
    • 2005
  •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지도 방법에 협력교수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살펴보고, 사회과의 교수-학습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교수 방안과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것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여러 교육현장에서 이 개념에 근거한 방법적 적용들이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둘째,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 교과의 교수-학습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주어진 여러 물리적.인적 여건을 고려하여 사회과의 협력교수 방안을 탐색하였다. 넷째, 협력교수의 한 방안으로 제시된 '세미나 수업'의 일부분을 시행하였다. 세미나의 대주제는 시사성이 있는 통합적 주제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였으며, 지리, 역사, 일반사회, 윤리 및 사상을 담당하는 교사와 희망한 학생들이 영역별 소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와 협력학습이 진행되었다. 다섯째, 세미나 준비와 발표등의 과정에서 교사-교사, 학생-학생,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있었고, 특히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은 협력교수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사회과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사회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을 익히고 동시에 사회현상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안목을 넓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