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tion typ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고려주자판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중조본에 대하여 (On the Recarved Edition of priest Nanmingchuan's Chengtao-ko, printed with Metal Type in the Koryo Dynasty)

  • 천혜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267-280
    • /
    • 1988
  • After the Koryo government moved to Kanghwado Island to escape the invading Mongols, Ch'oe I who was the government irstman ordered in 1239 the recarving of Nanmingchuan Huoshangsung Chengtao-ko (남명천화상송증도가) widely used by an adherent of Son Buddhism to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Son principles. Ch'oe I's postscript indicate that the original edition printed with metal type was no longer available and woodblocks were carved to produce facsimiles of that e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pies of the original edition were limited in number due to the primitiveness of printing skills and had either not been taken to Kanghwado Island in the flurry of evacuation or were almost all used up. Demand for the book seemed to have surged sharply due to need for spiritual solace during the period of invasion. It is believed that the original edition of Chengtao-ko was published with metal type in Kaegyong(개경), the capitial, before the government took refuge on Kanghwado Island. Two copies of the recarved woodblocks were recently found in the collectiion of Kim Chong-gyu(김종규). and Park Tong-sop (박동섭). It is presumed that one of the copies was recarved again the other one some time, But the carving of the woodblocks were very sophisticated and faithfully reprodu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metal type edition; first, there were many slanted characters; second, the lines of the main text were not straight but wavy; third, no bottom stroke of any character overlaps the upper stroke of the following character; and fourth, the characters are relatively uniform in size and shape. The printing techniques reflected in the woodblock reproduction were much better than that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Yi dynasty. It can be assumed that printing with official type had reached a high level of skill before the transfer to Kanghwado Island.

  • PDF

서지기술에 있어 판사항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dition Statement in Bibliographic Description)

  • 김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49-16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목록규칙 제4판을 중심으로 일본목록규칙, 영미목록규칙, 국제표준서지기술법의 판사항에 대한 규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규칙들간에 미묘한 차이는 있지만 판사항에 대한 특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서지기술에 있어 판과 쇄의 개념을 구별하면서 판의 개념을 매우 포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즉, 대체로 내용의 변화가 있거나. 내용의 변화는 없더라도 크기나 활자를 달리하면 새로운 판으로 표시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새로이 발행하더라도 쇄로 표시한다. (2) 판사항의 기술요소는 크게 판표시, 특정 판의 책임표시 부차적 판표시, 그리고 부차적 판의 책임표시와 같이 4개요소로 규정하고 있으며, 대등 판표시는 대개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다. (3) 전자자료의 경우, 전자자료의 내용과 기능에 대한 특정 버전을 나타내는 표시는 판으로 표시하는 반면 전자자료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환경은 판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4) 판에 대한 대등책임표시, 부차적 대등판표시 및 책임표시는 임의규정으로 하거나 판사항에 표시하지 않는다.

ISBD 통합판의 서지기술 특징 및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ISBD Consolidated edition 2011)

  • 이미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69-188
    • /
    • 2012
  • 본고는 2011년 출판된 ISBD 통합판의 서지기술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목록환경에서 고려할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ISBD 통합판(2011)을 기술영역과 데이터요소, 자원유형기술, 구두점, 기술순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ISBD 통합판의 특징은 첫째, 기술영역에 '0 내용형식, 매체유형 사항'을 추가하였고, FRBR과 일치하도록 데이터요소의 필수 여부를 규정하였다. 둘째, GMD를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에서 삭제하고 자원유형을 기술하기 위해 내용형식, 내용한정어, 매체유형의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구두점 기술시 중복기술을 허용하였고, 동일 영역내 데이터요소에 각괄호 기술시 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각괄호 대신 개별적인 각괄호를 사용하였다. 넷째, 데이터요소의 기술순서가 패턴별로 이미 정해져 있어 기술순서 및 구두점의 혼동을 최대한으로 줄였다. 그러나, ISBD 통합판은 국제표준으로 여러 규칙의 통일성을 가져올 수 있지만, 각 국가의 서지환경을 존중하는 규칙으로 제정되어 해당 국가에서는 ISBD를 적용하기 위해서 자국에 맞도록 다양한 추가 수정 작업이 요구된다. 특히 내용형식, 매체유형의 용어 기술시 해당국가의 언어에 대응하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SMD 용어를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국가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앞으로 ISBD 통합판은 서지기술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으로 각국의 목록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필요하겠다. KCR4는 ISBD 이전 판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ISBD 통합판 출판에 따라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목록규칙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소양인(少陽人) 치험례(治驗例)가 소양인(少陽人) 병리관(病理觀)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The influence of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 with Soyang-type patient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athology)

  • 강미정;이지원;이준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4
    • /
    • 2011
  • 1. Objective: This literary review investigates Lee Jema's clinical experiences with Soyang-type patients and their influence on his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hysiology and pathology. 2. Methods: 1) The case reports in "Soyang constitutional type: Spleen Cold-based Exterior-Cold disease"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inchuk revision to explore the temporal change in the Sasang medical concepts. 2) The texts in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and Donguisusebowon (Sasangchobongwon)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ical concepts appearing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3) The texts in Donguisusebowon (Sinchuk edition)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ical concepts formed between the Gabo and Sinchuk editions of Donguisusebowon. 3. Results and Conclusions: 1) Gabo edition : The Gabo edition divided the External-origin Exterior disease into Cold-dominant (Heat-moderate) and Heat-dominant (Cold-moderate) patterns and differentiated the severity of Exterior-based Exterior disease and Interior-based Interior disease into mild, moderate, severe, and critical conditions. Cold-damage Delirium disease pattern was categorized as an Interior-based Interior disease, and the treatment protocol using Baekho-tang (Baihu-tang) was established. The stool condition and bowel movement reflecting the patient's defecation habits, the prime indicator of health in the Soyang constitutional type, were emphasized on their importance. 2) Sinchuk edition: The Delirium disease pattern was moved into the Exterior-cold disease, and the treatment protocol applying Jihwangbaekho-tang (Dihuangbaihu-tang) and Hyeongbangsabaek-san (Jingfangxiebai-san), with variational usage of Gypsum, was newly established. The Seong-Jeong and basal disease patterns were suggested as important factors in treating the patients. Also, it was proposed that the symptoms and signs reflecting the condition of the life-preserving energy be assessed to understand the patient's current condition. The importance of post-acute rehabilitation and aftercare as well as the most appropriate acute-stage treatment were emphasized.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Xylographica of Myopopyunhwakyung Printed by Movable Type in the Chosun Dynasty)

  • 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92
    • /
    • 1999
  • 이 논문은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를 위해 묘법연화경의 동전과 유통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의 유통, 각 판본들의 서지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묘법연화경은 유통본의 종류가 많아서 그 계열을 가름하여 그 가치를 제고하는 것은 중요하다. 활자본은 초주갑인자본과 을해자본으로 세종.세조조에 찍어 유통시켰고 이들의 번각 본이 성종부터 영조조까지 유통되었다. 이들 판본에 나타나는 서지적인 성격은 사찰, 서체, 변상도, 경판간행질에 있어 다양하고 독특한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Parks and Open Space Development by Housing Development Plans

  • Lim Won-Hyeon;Kim Y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14-24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15 parks to investigate the actual developmental conditions for preservation type parks and artificial type parks in the 9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sites managed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from 1994 to 2002. Emphasis is placed upon the types of land use, park arrangements, park facilities, types of planted trees and landscaping expense, with a view to discovering way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uture park development.

  • PDF

부벽루중수기와 같은 활자 인본들 -반'취진자'론- (Bubyeogru-junsugi and the books printed with the same type font -Anti-Chwijinja font-)

  • 윤병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권
    • /
    • pp.47-82
    • /
    • 1973
  •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examine the movable type font called 'Chwijinja' (聚珍字) as hitherto and the book printed in Chwijinia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illustrate the orgin of it more clearly, I introduced Bubyeogru-jungsugi(浮碧樓重修記.) which has been believed the first printed edition of this book and also some other books printed in the same movable type font. By the way, I introduced some views of other bibliographers on Chwijinja. I refuted the views that Chwijinja is metal type and then I substantiated it is wooden type. I also presented three hypotheses on the formation of Chwijinja. I described the reason why we had better change the name of that printing type into 'Bang-Chwijin-pansig Pilseoche Wooden Type'(倣聚珍版式筆書木活字) on the basis of that its name is common noun. I also explained about 'Yeonmu Wooden Type'(燕貿木(唐)字, Wooden Type font imported from China) which is relevant to my description.

  • PDF

ISBD 통합판과 KCR4 기술규칙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Rules of ISBD and KCR4)

  • 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203
    • /
    • 2013
  • 본 연구는 ISBD 통합판과 KCR4의 데이터요소 및 기술규칙을 상호 비교하여 KCR4 개정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ISBD와 KCR4의 기술요소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상호 매핑테이블을 작성한 후 세부규칙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첫째, 자원유형을 기술시 내용유형과 매체유형의 기술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통표제와 종속표제의 세부규정을 추가해야 할 것이며, 셋째, 대등표제, 대등책임표시, 대등판사항, 대등발행지, 대등발행처, 총서대등표제 등 대등표시에 대한 규정을 추가해야 한다. 넷째, 내용측면에서 자료특성사항 기술을 규정해야 한다. 다섯째, 발행지 기술시 통일성을 위해 본국 중심의 목록을 가능한 배제해야 한다. 여섯째, 자원유형이 모두 통합된 수량, 기타형태사항, 크기, 딸림자료를 기술해야 한다. 일곱째, 주기의 규칙번호는 조기성을 갖도록 하며, 여덟째, 자원식별을 위한 표준번호 기술에 대한 세부 규정이 필요하다. ISBD와 KCR4 규칙을 상호비교 한 본 연구는 앞으로 KCR4의 목록규칙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완판본(完板本) 심청전 복각 목판을 이용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Using a Replicated Woodblock of Wanpanbon Edition Shimcheongjeon)

  • 유우식;김정곤;안은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9-301
    • /
    • 2021
  • 고문헌 조사에서 목판 인쇄된 것인지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인지를 판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금속활자의 발명과 활용시기가 어떻게 판정되느냐에 따라 인쇄의 역사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의 판정에는 다양한 정보가 활용되고 있으나 간기(刊記)를 비롯한 인쇄 배경에 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인쇄된 문서의 글자, 광곽, 먹의 종류, 먹의 제작시대, 한지의 제작시기 정보를 분석하여 고문서의 제작시기와 인출(印出)방법에 관한 판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자료화되어 있지 않아 연구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한 판단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판본(完板本) 심청전 복각 목판을 이용하여 목판본의 인출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목판본 인출 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과 특징을 자료화하여 고문헌의 인출방법을 판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기가 없는 목판 고소설의 경우 목판의 마모정도에 따라서 인출시기의 전후관계 추정에도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GENERAL DECAY STABILITY OF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WITH UNBOUNDED DELAY

  • Meng, Xuejing;Yin, Baojian
    • 대한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515-536
    • /
    • 2012
  • This work focuses on the general decay stability of nonlinear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with unbounded delay. A Razumikhin-type theorem is first established to obtain the moment stability but without almost sure stability. Then an improved edition is presented to derive not only the moment stability but also the almost sure stability, while existing Razumikhin-type theorems aim at only the moment stability. By virtue of the $M$-matrix techniques, we further develop the aforementioned Razumikhin-type theorems to be easily implementable. Two examples are given for illu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