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oil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Jurkat 세포주 DNA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DNA Damage of Jurkat Cell Line)

  • 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4-39
    • /
    • 2015
  • 본 연구는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생리활성의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통해 조리방법을 달리한 버섯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방호효과를 살펴보았다. Human lymphocyte에 조리방법을 달리한 3가지 버섯(느타리, 팽이, 표고)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hydrogen peroxide($H_2O_2$)로 산화적 손상을 준 후, DNA 감소 효과를 Comet assay로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3가지 버섯 모두 비조리군이 조리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리과정에 의한 페놀성 화합물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조리군 중에서 볶기와 전이 비교적 낮은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은 조리 시 첨가되었던 대두유의 가열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리된 버섯은 생버섯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효과가 낮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조리법(굽기, 데치기, 볶기, 전) 중 DNA 손상 감소에 효과적인 조리법은 대두유를 사용하지 않은 굽기와 데치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성숙이 빠르고 기름함량이 높은 종실용 들깨 신품종 '안유' (A New Perilla Cultivar for Edible Seed 'Anyu' with Early Maturity and High Oil Content)

  • 이명희;하태정;정찬식;배석복;황정동;한상익;박장환;박금룡;이석기;박충범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8-221
    • /
    • 2010
  •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기름함량이 44.7%로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에 비하여 높고 리놀렌산은 61.2% 함량을 가지고 있다. 4. '안유'는 '00~'01년 2개년간 하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수량 1.21 MT/ha로 표준품종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5개 지역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에서는 0.99 MT/ha로 표준품종의 82% 수준이었다.

패모, 어성초, 쇠비름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용매 분획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3-688
    • /
    • 1993
  • 예비 실험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패모, 어성초, 쇠비름 그리고 들깨박의 75%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물 순으로 용리, 분획물을 얻고 이들과 함께 tocopherol, citric acid, ascorbic acid를 팜유와 돈지에 첨가,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쇠비름 추출물이 돈지에 대한 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AI 1.41)모든 실험 식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불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synergist로서는 ascorbic acid가 우수하였고 ${\delta}-tocopherol$을 혼합시에도 효과가 상승하였다. 패모, 어성초, 쇠비름의 ethyl acetate 분획층과 ascorbic acid 200ppm씩을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tive index(AI)는 각각 1.60, 1.53 그리고 1.47이었고 쇠비름과 들깨박 ethyl acetate 분획층과 ${\delta}-tocopherol$ 200ppm씩을 돈지에 첨가했을 때 AI는 각각 3.19 및 3.63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 PDF

Degummed crude canola oil, sire breed and gender effects on intramuscular long-chain omega-3 fatty acid properties of raw and cooked lamb meat

  • Flakemore, Aaron Ross;Malau-Aduli, Bunmi Sherifat;Nichols, Peter David;Malau-Aduli, Aduli Enoch Othni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8호
    • /
    • pp.17.1-17.13
    • /
    • 2017
  • Background: Omega-3 long-chain (${\geq}C_{2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mega}3$ LC-PUFA) confer important attributes to health-conscious meat consumers due to the significant role they play in brain development,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obesity and hypertension. In this study, the ${\omega}3$ LC-PUFA content of raw and cooked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LTL) muscle from genetically divergent Australian prime lambs supplemented with dietary degummed crude canola oil (DCCO) was evaluated. Methods: Samples of LTL muscle were sourced from 24 first cross ewe and wether lambs sired by Dorset, White Suffolk and Merino rams joined to Merino dams that were assigned to supplemental regimes of degummed crude canola oil (DCCO): a control diet at 0 mL/kg DM of DCCO (DCCOC); 25 mL/kg DM of DCCO (DCCOM) and 50 mL/kg DCCO (DCCOH). Lambs were individually housed and offered 1 kg/day/head for 42 days before being slaughtered. Samples for cooked analysis were prepared to a core temperature of $70^{\circ}C$ using conductive dry-heat. Results: Within raw meats: DCCOH supplemented lambs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concentrations of eicosapentaenoic (EPA, $20:5{\omega}3$) and EPA + docosahexaenoic (DHA, $22:6{\omega}3$) acids than those supplemented with DCCOM or DCCOC; Dorset sired lambs contained significantly (P < 0.05) more EPA and EPA + DHA than other sire breeds; diet and sire breed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P < 0.05) in affecting EPA and EPA + DHA concentrations. In cooked meat, ${\omega}3$ LC-PUFA concentrations in DCCOM (32 mg/100 g), DCCOH (38 mg/100 g), Dorset (36 mg/100 g), White Suffolk (32 mg/100 g), ewes (32 mg/100 g) and wethers (33 mg/100 g), all exceeded the minimum content of 30 mg/100 g of edible cooked portion of EPA + DHA for Australian defined 'source' level ${\omega}3$ LC-PUFA classific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present that combinations of dietary degummed crude canola oil, sheep genetics and culinary preparation method can be used as effective management tools to deliver nutritionally improved ${\omega}3$ LC-PUFA lamb to meat consumers.

각종용매(各種溶媒)로부터 추출(抽出)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의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btained from A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 원종태;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1
    • /
    • 1980
  • $100^{\circ}C$에서 12시간 가열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을 8개의 용매(溶媒)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抽出物)의 산화억제(酸化抑制) 작용(作用)을 대두유(大豆油)를 기질(基質)로 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조(實驗對照)와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탄올, 에테르,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석유에테르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저장 12일 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 16일 후의 TBA값은 각각 66.0, 31.9, 37.6, 48.1, 11.9, 48.5, 11.5, 45.3, 43.3 (m. mole/kg oil)과 0.28, 0.20, 0.21, 0.26, 0.16, 0.28, 0.17, 0.33, 0.31이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이 30이 되는 데 소요한 시간을 유도기간(誘導期間)으로 할 때 실험대조(實驗對照)와 각용매추출물(各溶媒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유도기간(誘導期間)은 각각 193, 280, 252, 220, 478, 229, 455, 217과 214시간이었다.

  • PDF

DPPH법에 의한 식용유지의 열산화 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for the Thermally-oxidized Vegetable Oils using a DPPH Method)

  • 이재민;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3-137
    • /
    • 2007
  • 유지의 산화안정도 측정을 위해 개발된 DPPH법의 최적화를 위해 시료의 양에 따른 유지의 산화변화를 분석하였고, 결정도니 조건을 사용하여 시중에서 튀김유로 사용되는 4종류 식용유지의 열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CDA와 p-AV는 산화반응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시료간의 상대적인 산화안정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DPPH법은 유지의 산화라디칼과의 반응성을 이용하며 흡광도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이로부터 유지산화라디칼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유지의 초기 전자 혹은 수소공여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DPPH 흡광도 증가를 통해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속도 및 산화라디칼의 생성속도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시점을 결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DPPH법을 기존의 산화도 측정방법과 병용한다면 유지의 산화도는 물론 산화반응 단계를 측정 할 수 있고, 산화안정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남부 내륙지역의 민속식물자원 (The Regional Folk Plants in Southern Inland Area of Gyeonggi-do)

  • 정혜란;최경;박광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3-542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남부 내륙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민속식물 이용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 시 군지역의 35개소에서 주민 9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229장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경기남부 내륙지역에서 파악된 민속식물은 82과 200속 221종 4아종 32변종 2품종 총 259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14종류, 약용 119종류, 관상용 34종류, 목재 18종류, 염료 12종류, 유지 5종류, 향신료 3종류, 섬유 2종류, 향료 2종류, 기타 22종류로서 식용과 약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에 대한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으며,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식용유, 카제인 및 칼슘, 마그네슘 첨가식이가 토끼의 혈청 Cholesterol 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dible Oil, Casein, Calcium and Magnesium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Rabbit)

  • 남현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2-136
    • /
    • 1983
  • 식용유 , 카제인 및 칼슘, 마그네슘 첨가식이가 토끼의 혈청 cholesterd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68.47%, 탄수화물 15.35%, 지방 16.18%, 비타민 A, D, E, C, $B_1$, $B_2$, $B_{12}$, Niacin 등이 포함된 기본사료에 식물성식용유 10%, 카제인 10%, 칼슘, 마그네슘 일정량을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면서 체중변화 및 혈청내의 각종 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증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식물성 기름만을 첨가한 군에서는 모두 낮았으나, 참깨기금과 들깨기름에 카제인을 더 첨가한 군에서는 체중증가가 좋았고, 한편 칼슘과 마그네슘을 더 첨가하여 사육한 군에서는 모든 군이 대조군보다 성적이 좋았다. 2. 실험식이 급여 기간에 식이효율, 단백질효율 및 열량효율 등은 들깨기름 첨가군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여기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더욱 양호하였다. 3. 혈청 총단백질량은 모든 군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알부민에 있어서는 카제인을 첨가군이 높았고, ${\alpha}$-글로불린에 있어서는 같은 경우 칼슘 첨가군에서 낮았다. 그러나 들깨기름 첨가군과 여기에 카제인을 첨가한 군에서 가장 높았다. 4. 리포알부민은 모든 실험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콩기름과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 낮았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식이군에서 베타리포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에서 낮았다. 한편 배타리포단백질과 리포알부민의 비는 첨가식이 조성에 따라 0.11~0.26 범위에 있었다. 리포알부민과 리포단백질의 비는 칼슘과 콩기름을 첨가한 군의 값이 크고, 마그네슘과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의 값이 작았다. 5.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에는 참깨기름과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여기에 카제인, 칼슘 및 마그네슘을 더 첨가한 군에서 현저히 저하되었다. 6.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식물성기름을 첨가하여 사육한 실험군과 여기에 카제인을 더 첨가한 군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높을 경우 콜레스테롤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콩기름과 칼슘, 들깨기름과 마그네슘을 첨가한 군에서 콜레스테롤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7. 기본식이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 있어서는 혈청칼슘의 양이 증가되었으나 마그네슘의 경우는 낮았다. 혈당치의 경우는 식물성기름을 첨가군에서는 다소 감소되었고, 여기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증가하고 마그네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감소하였다. 8. 실험군별 분석치간의 상관관계는 베타리포단백질, 칼슘, 마그네슘 및 트리글리세리드간에는 상관계수 $${\gamma}{\sim_=}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끼의 혈청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자로서 트리글리세리드와 베타리포단백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불포화도가 큰 들깨기름과 칼슘과 마그네슘이 2:1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조성식이가 좋은 것을 알았다.

  • PDF

미생물에 의한 단세포유지의 생산과 이용 (Single Cell Oil-Recent Trends in Microbial Production and Utilization)

  • 김용노;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87-697
    • /
    • 2015
  • 단세포유지 생산에 이용되는 미생물은 효모, 곰팡이, 미세조류 등이다. 단세포유지의 생산 효율은 배지의 조성을 조절하여 영양공급을 최적화하거나, 배양 조건을 조절하거나, 최신의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하여 균주를 개량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단세포유지를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값이 싼 탄소원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지구 상에 풍부한 섬유질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이 주목을 끌고 있다. 미세조류는 대기 중의 탄산가스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므로 탄소원의 비용이 들지 않는 는 장점이 있다. 단세포유지 생산 미생물의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대사공학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은 균주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도 한다. 단세포유지는 그 동안 식품, 사료, 의약품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바이오디젤(biodiesel)의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어 또 다른 관심을 끌고 있다.

The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illance and Nutrition Status in China

  • Fengying, Zhai;Dongmei, Yu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5년도 10th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20-32
    • /
    • 2005
  • With the prosperous economy, the status of diet and nutrition among the urban and rural Chinese population has been improved significantly. This paper will focuses on three main surveys in China. (1)'Food and Nutrition Surveillance System in China': Phase I focused on analysis of previous data. Phase II was a pilot survey initiated in Beijing, Hebei, Heilongjiang, Ningxia, Zhejiang, Guangzhou, and Sichuan in 1990. (2) 'The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s an ongoing longitudinal project covered 8(9) provinces in 1991,1993,1997,2000. This paper will analysis the adults aged 18 45 of 1991, 1993, 1997, and 2000. (3) Survey on the status of nutrition and health of the Chinese (2002) is an across sectional study covered 31 provinces, autonomous region and the municipalities. The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food consumption and dietary nutrients intake of Chinese population. In the past ten years,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nutrition deficiency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The consumptions of animal products, milk, and edible oil have been increased, while the dairy and legume products consumption decreased. The unbalance was showed with a downward trend in cereals, vegetables and fruits consump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nimal products and oil intake among urban people. Dietary pattern of some subjects went away to 'high energy density' diet. The deficiency of calcium, retinal and ascorbic acid etc, especially in the rural areas still exist. China is undergoing a remarkable, but undesirable, rapid transition towards a stage of the nutrition transition characterized by high rates of DR NCDs in a very short time. China is facing the dual challenges of nutrition deficiency and nutrition imbalance. The results can help to understand the dietary structure and the status of nutrition among Chinese people over the past years.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formulating relevant state poli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