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leaf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7초

식용 감미료 사카린과 에이스셜팜 칼륨의 식물 성장 저해 연구 (Study of Plant Growth Inhibition with Edible Sweetener Saccharin and Acesulfame Potassium)

  • 김동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61-667
    • /
    • 2023
  • 시판 중인 식용 감미료 5종류는 자당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기에 다이어트 제품으로 사용된다. 동물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동물세포의 특징 실험으로 배출 중심 연구를 하여 안정성을 입증해왔고 적은 양의 축적은 무시해왔다. 반면에 식물은 외부 물질을 흡수하여 분해하거나 축적하는 물질대사 작용을 하기에 식물체를 사용하여 분해 가능성과 축적 가능성의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 발아된 보리와 콩나물을 사용하여 시판 중인 사카린과에이스셜팜 칼륨(에이스 K)의 식물 체내에서 물질대사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아된 보리와 콩나물 성장에서 사카린과 에이스 K 는 식물 성장에 대한 저해 효과를 잎, 줄기, 뿌리에서 저 농도에서부터 모든 기관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멸하는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서 식물 체내에 축적된다고 볼 수 있다. 축적된 양이 증가함에 따라 독성효과가 증가하여 식물이 물질대사를 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러 잎 끝부분부터 검정으로 변색하여지고 사멸상태에 이른다. 축적된 인공감미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증류수에서 배양하여 회생 가능성을 시도하였지만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 작용하고, 독성을 피하지 못하고 사멸된다. 이것은 사카린과 에이스 K는 세포 내에서 배출하지 못한다. 독성효과가 계속 되어서 성장을 억제하고 결국에는 세포를 사멸하게 한다고 사료된다.

채소류와 과칠류 중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함량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in Vegetables and fruits)

  • 신정혜;강민정;양승미;김형식;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5
    • /
    • 2002
  •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주요 급원인 각종 채소류 및 과실류에서 이들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엽채류 23종, 과채류 4종, 근채류 $\boxUl$종, 향신채소류 7종 및 과실류 15종의 질산염, 아질산염을 Ion-Chromatography(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엽채류에서 아질산염은 총 10종에서 검출 되었으며,재래종 상치가 평균 0.6 mg/k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개량종 상치가 평균 349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질산염은 취나물이 평균 578.3 mg/kg으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겨자잎(415.7mg/kg), 청경채(348.6 mg/kg)의 순이었다. 과채류 중 아질산염은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질산염은 애호박이 평균 86.2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오이가 0.6~24.7 mg/kg(평균 5.5 mg/kg)으로 가장 낮았으나 모든 시료가 개체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컸다. 근채류에서도 아질산염은 검출되지 않았고 질산염은 무가 0.2~ 580.0 mg/kg으로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고 향신채소류는 질산염의 함량이 대체로 낮은 반면 마늘을 제외한 전 시료에서 아질산염이 불검출에서 29.8 mg/kg까지 검출되었다. 파의 경우 아질산염은 잔파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대파가 평균 4.3 mg/kg으로 잔파에 비해 약 6배 더 높은 함량이었고, 고추에서도 아질산염은 적고추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청고추가 약 7배나 더 높았다. 과실류의 질산염은 사과가 평균 0.5 mg/k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자두가 1.6~206.2 mg/kg, 평균 76.6 mg/k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V. 머위(Petasites japonicus)잎으로부터 Triterpene 배당체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XV. Isolation of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Leaf of Petasites japonicus)

  • 방면호;박진규;송명종;양혜정;유종수;안은미;김대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21-424
    • /
    • 2005
  • 머위 잎을 80% MeOH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triterpe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은 $^1H-{^1H}$ gCOSY, gHMBC 및 gHSQC와 같은 2D-NMR기법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rosamutin(1) 및 peduncloside(2)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Lipophilic Nutraceutical Compounds in Seeds and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 Um, Seungduk;Bhandari, Shiva Ram;Kim, Nam-Hoon;Yang, Tae-Jin;Lee, Ju Kyoung;Lee, Young-Sa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31-238
    • /
    • 2013
  • Perilla frutescens, which comprises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has been cultivated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as an edible oil, leaf vegetable, and medicinal crop. To evaluate the lipophilic phytonutrient properties of P. frutescens, we selected 54 Perilla accessions [19 landraces of var. frutescens (FL), 22 weedy type var. frutescens (FW), 9 weedy type var. crispa (CW),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widely cultivated for seed oil (FCS), and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cultivated as a leaf vegetable (FCL)] and analyzed their seeds and leaves for vitamin E, squalene, and phytosterols. Among the four vitamin E isomers analyzed, ${\gamm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of vitamin E in seeds, whereas ${\alph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in leaves of all types of P. frutescens. The highest total vitamin E content in seeds was present in FL ($170.0mg{\cdot}kg^{-1}$), whereas that in leaves was highest in FCL ($358.1mg{\cdot}kg^{-1}$). The highest levels of squalene in seeds and leaves were in FL ($65.5mg{\cdot}kg^{-1}$) and CW ($719.3mg{\cdot}kg^{-1}$),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phytosterols, ${\beta}$-sitosterol occurred in the highest amount in both leaves and seeds of all of the crop types. Phytonutrient content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leaves than in seeds of all crop types.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leaves and seeds of Perilla crops could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as Perilla possesses considerable amounts of various lipophilic compounds.

식용대두유에 대한 뽕잎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ullberry leav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 안명수;임영희;김미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03
  • Recently, the concern about safety and functional substances of foods are increased therefore antioxidant substances and plants which had pharmacological effect have been studied actively. It has been known that the mulberry leaf is effective in curing many diseases. Nowaday, the pharmach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on diabetes mellitus and their usage for many aspects were confirmed. Mulberry leaves are known for effective in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because of specific amino acids and fibers. In this study, methanol, hexane, chlor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extracts obtained from mulberry leaves were added to soybean oil and they were stored for 30 days at $60{\pm}2^{\circ}C$ and peroxide value(POV) and conjugated diene value(CDV) were measured periodically.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POV of soybean oil after the addition of each mulberry leaves powder(MLP) extracts generally enhanced as the storage time was prolonged, so the POV of all samples was reached higher than 100meq./kg.oil after 10 days storage without the addition of butanol, methanol, ethylacetate, hexane extracts at 0.1% level. Especially, the POV of soybean oils including butanol extract was 87.35meq/kg.oil after 10 days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utanol extract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BHT. The pattern of the changes of the CDV of soybean oil after the addition of MLP extracts at 0.02%, 0.05% and 0.1%, respectively, were almost constant during 10 days of storage and then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rest of experimental periods. During 10 days of storage in case of 0.1% adding leve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utanol extract was superior to that of the each MLP extracts.

제주지역에서 구경크기에 따른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Siz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 조남기;송창길;조익환;강봉균;조영일;고미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3-128
    • /
    • 2004
  •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y^*=2.71x+60.7667$).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수량 및 총 생체수량(지상부중+구경중)은 구경 10cm 파종구에서 각각 14M7/ha, 15MT/ha, 29MT/ha이었으나,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구경 25cm 크기 파종구에서 생초수량은 31.2MT/ha, 구경수량은 35.6MT/ha, 총 생체수량은 66.8MT/ha로 증수되었다.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Growing Three Wild Herbaceous Plants,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stenocephala, and Panax ginseng in the Understory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

  • Song, Jae Mo;Yi, Jae-Seon;Cheong, Eun J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22-530
    • /
    • 2019
  • Two edible plants,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nd Ligularia stenocephala, and one medicinal plant, Panax ginseng, were cultivated in the understory of an artificial Larix kaempferi plantation for ten years. Growth characteristics (number of leaves and flower stalks per plant, and leaf length and width), survival rate, and yield (fresh weight of plants) per unit area (1 ㎡) were investigated one year after planting, and six and ten years following cultivation. P. ginseng and L. stenocephala survived at a high percentage for two years after planting. Results showed that P. ginseng had longer and thicker roots when aged; however, a large number of plants died and the yield was low. In contrast, almost half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died within two years of planting. The surviving plants grew well for ten years and the yield was increased.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L. stenocephala increased; however, the survival rate and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decreased as the period of cultivation was extended. In contrast,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survived at a lower rate (50%) than the two other crops (98% for L. stenocephala and 83% for P. ginseng) during the early cultivation period, with little change in the survival rate over an extended time; however, the yields increased. This specie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lower stalks and leaves, and as a result, the larger leaves increased the yield. We evaluated the understory cultivation of three crops in a L. kaempferi plant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with no irrigation or fertilization, and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showed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among the three tested crops.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Genetic Resources

  • 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Jin Hwang;Bich-Saem Kim;Jae-Eu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20
  • Safflower, a draught and salt tolerant oil seed crop of Compositae family, has been cultivated around the world mainly as source of edible oils and dyes, where India, the USA, Mexico, Australia, and Ethiopia contributing about 85% of the production altogether. In this study we have characterized some selecte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safflower plant and determined th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237 genetic resources. All the seed coats were white colored while the petals had red, yellow and white pigments. The yellow was the predominant petal color being recorded in 182 accessions followed by red occurring in 49 accessions. The petal color of 47 of the accessions changed with development while the 190 accession showed no change of color. The leaves are ovate to obovate, mostly with dentate (21 moderate and 205 weak) and few smooth (11) margins. The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ranged between 65.7 and 160.8 cm, 14.3 and 37.0 cm, and 3.3 and 12.1 cm, respectively. The TPC was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TPC content ranged from 23.71 to 132.72 µgGAE/mg dried extract (DE). The seeds of safflower genetic resources accounted an average crude fat content of 26.25% (14.84 to 41.70%). The total fatty acid is mainly comprised of 71.72% linoleic acid (18:2) and 20.08% oleic acid (18:1) on average, the remaining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linolenic acid (18:3) contributing 5.84, 2.23 and 0.15 %,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afflower seeds has shown great variability, where oleic and linoleic acid have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9.23 to 83.35% and from 10.46 to 82.62%, respectively

  • PDF

식초, 겨자, 잎채소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The Qualiti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Vinegar, Mustard and Leaf Vegetables)

  • 박희옥;손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41-849
    • /
    • 2013
  • 본 연구는 무, 마늘, 생강 등 모든 부재료가 모두 즙액으로 된 양념액과 식초와 겨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김치가 양념액에 잠기도록 제조하여 미생물의 증식 억제 및 가식기간 연장 그리고 김치의 맛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으며, 더불어 김치에 색과 맛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들깻잎, 엔다이브잎, 청겨자잎을 절인배추에 첨가하고, $25^{\circ}C$에 9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품질을 연구하였다. 식초와 겨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김치 국물의 pH는 제조 후 1일에 $5.40{\pm}0.01$이었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액이 첨가된 실험군은 pH가 $4.51{\pm}0.01{\sim}4.52{\pm}0.01$으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면서 대조군의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액을 첨가한 실험군들의 pH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김치 조직도 김치 국물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이 실험군들에 비해 초기 산도가 낮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 현상이 뚜렷하여 김치 제조 후 1일에 $0.28{\pm}0.03$이었으나, 3일이 지나자 $0.95{\pm}0.04$이 되었다. 반면, 실험군들에서는 제조 후 1일에 $0.42{\pm}0.01{\sim}0.43{\pm}0.02$으로 대조군보다 높았고, 3일까지는 변화가 거의 없다가 5일 후부터는 대조군과 유사해지기 시작했다. 김치 조직의 산도는 전반적으로 김치 국물보다 낮게 나타났고, 산도의 변화 양상은 김치 국물과 유사하였다. 김치 국물의 염도는 대조군과 실험군들 모두 제조 1일 후에 가장 높아 $2.67{\pm}0.06{\sim}2.80{\pm}0.10%$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김치 조직의 염도도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김치 국물보다 낮았다. 젖산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김치 제조 후 1일 후에 $8.17{\pm}4.01{\times}10^8cfu/g$으로 실험군들의 $2.70{\pm}2.08{\times}10^7{\sim}3.63{\pm}2.80{\times}10^7cfu/g$보다 많았으며, 3일 후에는 더욱 차이가 나서 대조군은 $3.13{\pm}1.94{\times}10^{11}cfu/g$, 실험군들은 $2.47{\pm}2.23{\times}10^9{\sim}8.03{\pm}3.71{\times}10^9cfu/g$이었다. 그러나 김치 제조 7일이 지나자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에 젖산균수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제조 후 1일의 김치의 색의 경우 대조군의 경우 $2.4{\pm}0.5$이었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들은 $2.9{\pm}0.7{\sim}3.9{\pm}0.7$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다고 하였으며, 냄새도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맛과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 대조군보다 실험군들이 모든 항목에서 더 좋다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p<0.05). 대조군의 pH가 $4.09{\pm}0.01$로 적숙기가 지난 것으로 나타난 김치 제조 후 3일 째인 경우 실험군들은 모두 pH가 $4.55{\pm}0.01{\sim}4.57{\pm}0.01$로 여전히 김치 적숙기의 pH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나, 관능검사의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들깻잎을 첨가한 실험군 B가 $5.0{\pm}0.0$으로 '가장 좋다'는 점수를 받았으며, 그리고 순서대로 식초와 겨자 추출액 만을 넣은 실험군 A, 엔다이브잎과 청겨자잎을 넣은 실험군 C과 D이었으며, 대조군이 $1.1{\pm}0.4$로 가장 나쁘다고 하였다. 김치 제조 5일 째의 경우에도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부재료인 양념을 모두 즙액상태로 만들어 제조한 액체양념액 김치의 제조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식초와 겨자를 첨가하므로 초기 미생물의 증식 억제와 함께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고, 김치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깻잎, 엔다이브, 청겨자잎 등 잎채소의 사용으로 잎채소로부터 오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 그리고 항산화 활성물질을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깻잎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에는 기호가 매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