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l fungi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으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임순옥;이진형;공원식;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26
    • /
    • 2011
  • 송이버섯 생육지의 소나무세근으로부터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내생균을 rDNA-ITS 영역으로 동정한 결과 18종이 확인 되었으며, 이중에는 자낭균류 15종, 털곰팡이 아문 3종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내생균 중에는 Penicillium속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생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액체배양 시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균사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of Ectomycorrhizal Fungi by Different Carbon Sources in Liquid Culture)

  • 전성민;전하샘;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0-158
    • /
    • 2014
  • 4종의 외생균근균이 MMN 배지상에서 7종 단소원에 대한 이용능력을 조사하였다. 60일간 순수배양한 결과, 다색벚꽃버섯(KFRI 1987), 향버섯, 접시껄껄이그물버섯(KFRI 1194), 송이(KFRI 1256)는 dextrin에서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다. 다색벚꽃버섯, 향버섯(KFRI 1676),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은 pectin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낮았다. 송이(KFRI 1256)를 제외한 7개의 균주들은 heteroglycan(pectin)보다 homoglycan계 탄소원(starch, dextrin)의 이용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 배양 후 배지의 pH 값은 배양 전보다 최소 1.1~최대 3.0 범위까지 감소하였다. 외생균근균 배양체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모든 탄소원 시험배지에서 백색 균사체가 우세하였으나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황색, 갈색, 자주색 계열의 다양한 균사체가 관찰되었다.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은 4~5종류의 탄소원에서 single colony의 형태로 생장한 반면, 이외 대부분의 균주들은 6종의 탄소원에서 multiple colony의 형태로 생장하였다.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과 기후 요인 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Occurrence of Ectomycorrhizal Fungi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김상욱;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20-232
    • /
    • 2016
  • 2009년부터 2011년, 2015년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 총 1문 1강 5목 13과 33속 131종 3,624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주름버섯목(Agaricales)이 6과 9속 49종 1,343개체, 무당버섯목(Russulales) 1과 2속 35종 854개체, 그물버섯목(Boletales) 4과 19속 40종 805개체, 꾀꼬리버섯목(Cantharellales) 1과 2속 5종 609개체 및 사마귀버섯목(Thelephorales) 1과 1속 2종 13개체의 순으로 발생되어 대부분의 외생균근성 버섯은 주름버섯목, 무당버섯목 및 그물버섯목 등 3목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조사된 외생균근성 버섯은 무당버섯과로 35종이었으며, 그물버섯과(34종) 및 광대버섯과(25종)순으로 나타났다. 개체수는 무당버섯과가 854개체로 가장 많았고 광대버섯과(754개체) 및 그물버섯과(652개체) 순으로 조사되었다. 월별 발생에서는 대부분의 외생균근성 버섯 및 우점 외생균근성 버섯의 종수 및 개체수는 7월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별에서는 100 m 이하에서 가장 많은 종수 및 개체수가 조사되었고 300 m 이상에서는 현저히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외생균근성 버섯 및 우점 외생균근성 버섯은 평균온도 $23.0{\sim}25.9^{\circ}C$, 최고온도 $28.0{\sim}29.9^{\circ}C$, 최저온도 $21.0{\sim}22.9^{\circ}C$, 상대습도 77.0~79.9%, 강수량 300.0 mm 이상인 시기에 다양한 종 및 개체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icea mariana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는 Kalmia angustifolia 에 대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영향(影響) (Overcoming Kalmia-Induced Growth Inhibition of Picea mariana by Mycorrhizal Inoculation)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29-444
    • /
    • 1998
  • Picea mariana 생장을 억제하는 Kalmia angustifolia에 영향을 주는 외생근균을 조사 선발하였다. 11개 외생근균중에서 19계통을 선발하여 Kalmia 잎침출물이 들어있는 배지에 P. mariana 치묘와 함께 근균을 접종하여 자라는 형태와 생장양상을 조사하였다. Kalmia 잎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서는 균사의 건중량을, 한천배지에서는 코로니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9개 균주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나머지 10개 균주에서는 반대로 증가되거나 Kalmia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배지의 pH가 3-4일 때는 생장을 억제 받는 근균도 있었으나 pH와 잎침출물을 조합한 조건하에서는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다. 분리된 13개 계통은 순수배양에서 Kalmia 잎침출물 25%와 함께 배양한 P. mariana에서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Paxillus involutus(NF4), Cenococcum geophilum(GB12), Laccaria laccata(GB23), E-strain(GB45)계통에서는 Kalmia 잎추출물 50%에서 배양한 결과 다른 계통보다 많은 외생근균이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근균을 미리 접종한 P. mariana를 Kalmia 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후 온실 안에서 4개월동안 Kalmia와 갈이 재배하였다. P. involutus, L. laccata 와 E-strain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많은 근균(흡수근외 77-91%)이 형성되었으나 C. geophilum를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근균이 비교적(흡수근의 32%) 적게 형성되었다. 외생균근이 대부분의 치묘에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근균의 90% 이상이 접종근균에서 생겨났다. 근균의 지속적인 생장은 살아있는 Kalmia 식물개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involutus, L.laccata와 E-strain과 같이 처리한 치묘 근균의 80% 이상과 C. geophilum을 처리한 치묘 근균의 53%가 접종된 균주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에서는 토착균주에 의해 약 45%의 짧은 뿌리의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L. laccata와 C. geophidum는 Kalmia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치묘의 근균행성을 촉진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경우 근균형성율은 pH5보다 pH4에서 4-15% 더 낮았으며 L. laccata를 접종한 경우 심하게 억제되었다. P. involtus에 접종한 치묘는 L. laccata를 E-strain를 접종한 치묘보다 줄기와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involtus와 L. laccata를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의 치묘보다는 건중량이 많고 키가 훨씬 컸다. E-strain에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1차 측근 수가 매우 작았으며 줄기 건중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형질, 예를 들면 흡수근, 뿌리 건중량, 수고 등은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 geophilum에 접종한 치묘는 1차 측근수를 제외한 다른 생장 특징에서는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PDF

Enzyme Activity of Cenococcum geophilum Isolates on Enzyme-specific Solid Media

  • Obase, Keisuke;Lee, Sang-Yong;Chun, Kun-Woo;Lee, Jong-Kyu
    • Myc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25-128
    • /
    • 2011
  • Enzyme activities of Cenococcum geophilum isolates were examined on enzyme- specific solid media. Deoxyribonuclease, phosphatase, and urease were detected in all isolates, whereas cellulas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isolates. Variations in enzyme activities of amylase, caseinolysis, gelatinase, lipase, and ribonuclease were observed among isolates.

Two New Records of Scleroderma Species (Sclerodermataceae, Boletales) in South Korea

  • Sung-Eun Cho;Young-Nam Kwag;Sang-Kuk Han;Dong-Hyeon Lee;Chang Sun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5-123
    • /
    • 2022
  • Two new records of Scleroderma species from South Korea are described here. Comprehensive taxonomic studies of Scleroderma specimens were conducted at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fungal barcode sequences), two new records (S. laeve and S. nastii) were confirmed. Herein, morphological descriptions, includ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of basidiospore ornamentation, and a taxonomic key of Korean Scleroderma species are provided.

Mycorrhization of Quercus spp. with Tuber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Collected in Korea

  • Gwon, Ju-Hui;Park, Hyeok;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50권2호
    • /
    • pp.104-109
    • /
    • 2022
  • Fungi of the genus Tuber are ectomycorrhizal fungi that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mainly with oak and hazel trees. Tuber spp. exhibit a highly selective host plant preference; thus, for cultivation purposes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host plant for successful mycorrhization. In addition, as mycorrhizal characteristics differ according to Tuber spp.,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ycorrhizae according to the fungal species. Tuber huidongense and Tuber himalayense wer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therefore, we used spore suspensions from these two species to inoculate two species of oak trees,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to compare colonization rates and morphologies of the mycorrhizae. The colonization rate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t Tuber spp. favored different host plant species. In addition, uniqu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for T.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depending on the host species. These findings can lead to new economically important agricultural activities related to truffle cultivation in Korea.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7
    • /
    • 2007
  • 2004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고등균류는 총 5강 19목 60과 168속 418종(미기록종 10과 13속 15종 포함)이 조사 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은 47과 143속 384종이, 자낭균아문은 9과 19속 28종이었으며 점균문은 4과 6속 6종이 조사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의 모균아강(Hymenomycetidae)이 34과 122속 353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가장 많이 발생된 균류는 송이버섯과로 64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9종), 구멍장이버섯과(36종), 그물버섯과(36종)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균류 버섯 발생은 강수량 및 대기온도가 높은 시기인 기후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 8월 및 9월에 집중하였다. 고등균류 버섯 분포에 영향을 기후환경 요인은 강수량, 상대습도 및 대기온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ITS 영역 증폭에 의한 소나무 송이균 뿌리 감염 확인 및 RAPD에 의한 타 균근과의 비교 (Identific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a Pine Root by ITS Region Amplification and RAPD Analysis with Different Mycorrhiza)

  • 김명길;유선화;박원철;박현;가강현;손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96-103
    • /
    • 2006
  • 대량 배양된 송이 균사를 배양병 안에 있는 소나무에 접종한 접종묘를 실시하였는데, 접종묘 내 소나무 뿌리내로 송이 균사가 침투하여 감염이 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에서 특이 primer set인 ITS1-ITS4 (TCCGTAGGTGAACCTGCGG/TCCTCCGCTTATGATATGC)를 선택하여 정하고, 그를 바탕으로 홍천 시험지(강원도 홍천군 동면 노천리)와 홍릉수목원(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 2동) 내에서 수집한 다른 균근과 비교하고자 RAPD (Rapid Amplified Polymorphic DNA) 기법으로 각 6종, 10 종의 균근을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