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 connectivity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8초

생태적 설계지표와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공원 생태성 평가 (Assess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urban parks based on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손희정;김나영;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0
    • /
    • 2023
  • As urbanization progresses, there is a growing and continuous demand for green spaces that provide ecosystem services. However, increasing the quantity of green spaces within major cities is challeng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ursue qualitative improvements that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green spaces. In this study, we focus on local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nd present the following two questions through an evaluation utilizing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and land use data: 1. Which factor, design or loca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ecological quality of neighborhood parks in Seoul? 2. Additionally, when evaluat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is there similarity between assessments based on land-use data and those utilizing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30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nd classified them into mountainous types (adjacent to mountains, natural terrain parks) and urban types (independently designed within 300m without existing forests) based on previous studies. Firstly, we conducted evaluations according to park location types. When comparing the evaluation scores of urban types (14 parks) and mountainous types (16 par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scores of 16.86 and 35.94,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k types. In terms of habitat quality, the average values for urban and mountainous parks were 0.33 and 0.53, respec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park types indicating differences in ecological potential according to park location. Secondl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ecological potential evaluations based on park design and external connectivity,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abitat quality and total scores according to evaluation indicator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habitat quality and total scores, biodiversity scores, and ecosystem function scores, with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29, 0.861, and 0.802, respectivel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urban parks through the lens of both park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indicators. The analysis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lanning and managing ecologically sound urban parks contingent upon their location. Moreover, the utilization of appropriate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can help alleviate environmental limitations surrounding parks. Integrating these considerations could enhance the ecological qual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urban green spaces.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 고도화 방안 연구 (Environmental spatial data-based vegetation impact assessment for advanc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최유영;이지연;성현찬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99-111
    • /
    • 2022
  •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식생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 발전의 기반으로 보전의 필요성이 높다.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수단인 환경영향평가에서 식생 관련한 평가는 정량적·객관적이지 못한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영향평가가 보호종의 존재 여부에 집중되어 있어 광역적 차원에서 서식처로서 식생의 역할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식생이 받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향후 식생 환경영향평가의 정량화·고도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거시적인 측면에서 식생 영향평가 시 다루어야 하는 항목으로 현재 활용하고 있는 식생보전등급 외에 핵심 면적, 연결성, 식생상태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을 토지피복도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항목에서 개발로 인해 식생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지 내부뿐 아니라 주변 지역에도 악영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환경영향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론이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다양한 환경공간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받는 영향을 보다 정량적·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개발사업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저감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랫폼의 소셜로그인 서비스(Authing Service): 보안과 편의 사이의 적절성 (Authing Service of Platform: Tradeoff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and Convenience)

  • 유은솔;김병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37-158
    • /
    • 2018
  • 소셜로그인 서비스(authing service)는 온라인 플랫폼들간의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들은 추가적인 로그인 없이 다른 플랫폼으로의 접근이 가능해졌으며 플랫폼들은 다른 플랫폼들로부터 잠정적인 소비자들을 유치할 수 있다는 점이 이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보다 쉽게 다른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소셜로그인 서비스는 플랫폼 생태계의 보안을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즉, 플랫폼들 간의 연결이 많아질수록 소비자들의 편의성은 높아지는 반면에 플랫폼의 보안은 취약해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소셜로그인 서비스의 편의성과 보안의 상반관계를 고려하여 플랫폼이 결정해야 하는 적절한 수준의 소셜로그인 서비스를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셜로그인 전략이 전체적인 플랫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게임이론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해킹에 대한 기대손실이 낮은 경우, 플랫폼 생태계 전반의 구성원 수는 증가하게 된다. 둘째, 소셜로그인 서비스에서 소비자가 증가할 경우, 연결된 플랫폼들(joint sites)은 소비자들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의 해킹에 대한 기대손실이 낮은 경우, 플랫폼 제공자들은 플랫폼의 보안과 관련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소셜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연결성과 보안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외에 전체플랫폼을 분석, 관리하는 정책담당자에게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Selecting Protected Area Using Species Richness

  • Kwon, Hyuksoo;Kim, Jiyoen;Seo, Changwa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20
    • /
    • 2015
  • We created species richness maps of mammals, birds and plants using "N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and identified correlations between species richness maps of each taxa. We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pecies richness of each taxa and calculated conservation priority rank through plotting species-area curves using an additive benefit function in Zon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t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in Gangwon province and Baekdudaegan, and mammals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at eastern slope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unusually and the species richness of mammals distributed equally except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 However, birds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in the west costal because the area is the major route of winter migratory birds. Second, correlation of each taxa's distribution i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mmals and birds is positive but correlations between birds and others are negative. Because mammals inhabit in forest but birds mostly live in coastal wetlands and rivers. Therefore, bird's habitats are not shared with other habitats. Third, the probability of mammals occurrence is very low under 25% in species-area curve, others increase proportionally to area. Birds increase dramatically richness at 10% because bird's habitat is concentrated in coastal wetlands and rivers. Plants increased gently species richness due to large forest in Gangwon province. We can calculate the predicted number of species in curves and plan various conservation strategies using the marginal number of species. Finally, high priority ranks for conservation distributed mainly in Gangwon province and Baekdudaegan. When we compared with priority map and terrestrial national parks, the parks were evaluated as high priority ranks. However, the rank of parks away from Baekdudaegan was low.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selecting conservation priority area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pite of the omission of survey data in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the results were good. Therefore, the priority rank method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s useful to selecting protected areas and improving conservation plans. However, it is needed to select protected areas considering various evaluation factors, such as rarity, connectivity, representativeness, focal species and so on because there is a limit to select protected area only using species richness.

울산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을 위한 제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in the Taehwagang River Estuarine Wetland, Ulsan, South Korea)

  • 김평범;장연희;추연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71-183
    • /
    • 2023
  • 하구습지는 독특한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처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른 인위적 간섭으로 하구습지 고유의 기능 및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습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태화강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분포 특성 및 생물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목림 식생, 정수 및 유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부유·침수식생 등 6개 상관식생형의 25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지형다양성이 높은 상류부에서 다양한 유형의 습지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7종 포함 총 696종이 확인되었다. 생태적 연결성이 양호하여 감조하천이 형성되는 구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기수성 생물종이 분포하며, 하천 구간별 수환경에 따라서 잠수 및 수면성오리류 등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논 서식 물방개과의 지리적 분포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 한민수;김명현;방혜선;나영은;이덕배;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9-215
    • /
    • 2011
  • 물방개과의 전국분포를 파악하고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전국 138개 시 군에 있는 곡간지 논과 평야지 논 총 290지점에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전국의 논에서 확인된 물방개과는 총 15속 26종이었다. 전국 논에서 채집된 물방개과의 26종 중 곡간지 논에서는 24종이 확인되었고, 평야지 논에서는 19종이 확인되었다. 논에 서식하는 물방개과 중에서 전국적으로 그 출현빈도가 매우 낮은 희귀종으로는 동쪽깨알물방개, Laccophilus lewisioides, 노랑무늬물방개, 외줄물방개, 점톨물방개, 맵시등줄물방개, 검정머리땅콩물방개, 큰알락물방개, 알락물방개, 잿빛물방개 및 물방개로 총 11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물방개류 종별 평균 크기는 2.0 mm ~ 35.0 mm로 나타났다. 들녘 논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는 종은 꼬마물방개, 애기물방개 2종 이었고, 큰땅콩물방개, 땅콩물방개, 모래무지물방개 등은 들녘 논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 희귀종이었다. 희귀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방개류는 전국의 곡간지 논에서 발견되었다. 특이적으로 모래무지물방개는 거의 경상남도에서 발견되었으며, 가는줄물방개는 경상남도를 제외한 지역에서만 발견되어 이 두 종간에 상호 경쟁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거의 모든 물방개류의 전국적 분포범위는 곡간지 논의 교란형태 즉 물의 공급방식, 비오톱과의 연계성 및 각 종의 몸 크기의 차이에 따른 먹이에 대한 경쟁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평야지에서의 물방개과 수서생물의 분포를 제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논 서식 생물에 대한 전국적인 분포조사는 국가생물다양성 보전의 측면에서 중요하며, 서식지의 물리적 환경 및 영농관리형태와의 연계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하여 이들 종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요인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 미학적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한 건축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 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Architectural Space viewed in the Eco-Aesthetic perspective -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

  • 양은지;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1-39
    • /
    • 2012
  • Ecosystem and environment have been a serious challenge facing the modern society. It's been the new paradigm from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and the alternative based on Orientalism. From the Oriental standpoint, ecological aesthetics and sustainable architecture are no longer new, which then server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nature and the space, the life where the human is harmonized and integrated and the wish to make the balance through that life are the basic philosophy which the Orientalism has pursued. Based on such a basic concept, the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connectivity, expression approach and the features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cological aesthetics and sustainable architecture. Such attempt is meaningful in seeking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new frame as well as forming the various views to the traditional space and spatial recognition. The nature was categorized into tangible element and intangible element and also direct approach and indirect approach befor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Sustainable architecture is not the concept to simply maintain or sustain the environment, but plays more important role in economical aspect. Traditional space accommodates the nature and circulation principle and the circulation in the nature controls the energy and enhances the efficiency, playing significant role. The nature itself serves the alternative energy and has the aesthetic element in such a way of concealing itself.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Byulseo Jeongwon which formed many relations with the nature and the residential space, thereby identify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co-aesthetic sustainable architect. This study offers the answers with regard to the coexistence of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with the nature, space and the human from eco aesthetic viewpoint as well as the solution in dealing with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traditional space would possibly be succeedable in new and creative way and sought the way for coexistence among the nature, space and human and eco aesthetics, and finally paved the pivotal foundation as the sustainable design alternative in future.

  • PDF

창업자와 투자자간 네트워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ips 사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etwork between Business Founder and Investor on Enterprise performance: Focused on TIPS Support Business)

  • 김홍기;김채광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3호
    • /
    • pp.47-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생태계를 네트워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창업자와 투자자의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 특성 등을 분석함으로서 네트워크와 기업간 성과창출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 대상으로 정책적인 모범사례로 평가 받고 있는 TIPS사업을 선정하였고 조사 수집된 자료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통계분석을 하였다. TIPS사업에 참여하는 창업기업과 투자자의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실시한 분석 결과, 다른 투자자와의 관계가 많을수록, 매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수록, 다른 투자자들과의 직간접적 연결거리가 짧을수록, 영향력 있는 투자자와 연결되어 있을수록, 연결성이 큰 그룹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해당 운영사가 투자한 창업팀의 후속투자 유치 가능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투자자의 네트워크 연결성이 강할수록 투자자가 투자한 스타트업이 후속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생존,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창업팀과 운영사 모두 투자 유치 또는 기업 발굴 시에 기업과 투자자 간의 내부 인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인적 네트워크 가치가 기업가치 평가나 투자 결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태계 내의 네트워크가 창업기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인식을 통해 네트워크 중심의 생태계 발전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남부지역 소형 관개용 못들에서의(둠벙)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조사 및 평가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Petite Ponds (Dumbeong) for Irrigation: A Case Study in Goseong Region of South Korea)

  • 김항아;최종윤;김성기;도윤호;주기재;김동균;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90-498
    • /
    • 2012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vestig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e.g. rotifers, cladocerans and copepods) and environmentally related driving factors (e.g. elevation, area size, water depth, types of dike construction, and bottom substrates). We hypothesized that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would be influenced by ambient driving forces in different scales of the irrigation ponds (Dumbeong). A total of 66 zooplankton species/groups (56 rotifers, 9 cladocerans, 1 copepods) were found and identified at 45 Dumbeong of Goseong region (i.e. Goseong-gun) in 2011. The rotifers occupied 84.9% of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e could categorize a clear separ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to 4 different patterns based on cluster analysis. Zooplankton diversities in Dumbeongs were lower than those in natural ponds or wetlands. In addition,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was also simpler and had a broken stick distribution based on SHE analysis. Species composition in each Dumbeong was no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each other.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pinpointed that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upon zooplankton community were dissolved oxygen percent saturation, pH, and Dumbeong's material. This study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type of the Dumbeong and its water quality could deter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Furthermore, the connectivity between ambient habitats and materials could be necessary to be rigorously considered in respect to producing the Dumbeongs to subsidize alternative habitats for wetland ecosystem in freshwater landscape.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이전을 위한 입지여건 분석 (Location Analysis for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김원정;권오성;장경수;여준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9-24
    • /
    • 2015
  • 기후변화, 농업용수, 대기오염 등의 환경변화에 민감한 연구단지의 특성상 환경 자원의 이용이 용이해야 하나 현 농업기술원은 농업연구를 위한 환경 및 생태계 유지가 힘든 실정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농업, 6차 산업화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한 기반시설을 수립하고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의 이전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농업기술원 이전을 위한 입지이론 및 방법을 검토하고 입지여건 분석을 위한 입지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먼저 공공시설 이전에 관한 입지이론에 대해 알아보았고, 입지선정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후보지 여과방법을 사용하였다. 후보지 여과방법에는 요인별 점검법, 나뭇가지 모양분석법, 혼합형 분석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요인별 점검법을 바탕으로 하여 입지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입지선정 기준으로 경제성과 개발의 용의성, 접근성과 편의성, 농업여건, 토양여건, 인력자원 지원이 가능한 곳 그리고 연계성과 형평성이 고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