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support

Search Result 2,6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농촌활성화사업과 지역특화발전특구제도의 고찰 (A Study on the Rural Activation Project and the Special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8
    • /
    • 2005
  • Decrease in Population and graying of rural area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re gone continuously. This makes happened various rural problems and the differential of standard of living with is arising day by day. Government is unfolding rural supporting project to solve continuously these problems. Recent Projects which are choosing not top-down process by government leading but bottom-up process through village inhabitants' participation and expert consultant get positive estimation. But those have difficulties because the support is attained only in the beginning step not continuously and inhabitants' number by graying is decreasing. The Special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s new access that regulation can differ according to special quality of each area depending on Localization Age. Through this transfer the competence that can mitigate or reinforce various regulations according to special quality of area in local government. So, back and maintain activation systematically so that each area could be developed specially. The purpose of The Special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s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through development that regional specific character is. And there is characteristic that local government plans and takes the lead in all project contents, government gives regulation benefit by appointing the special economic zone and do not support finance and various tax remissions. Through investigation of such new policy, I wish to recognize what long-term plan and method could be possible to success rural activation continuously.

  • PDF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The effect of economic crisis on success attribu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An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1호
    • /
    • pp.103-139
    • /
    • 2002
  • 한국사회는 IMF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제불황기를 경험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동 이후에 한국사람의 성공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김의철, 박영신, 1998)와 비교하므로써, 한국사람의 성공에 관련된 사회적 표상을 토착심리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988명으로, 초 중 고 대학생 481명과 그들의 부(236명) 모(271명)로 구성된 성인 507명이었다. 분석결과, 가장 자랑스러운 성공경험으로 학생은 학업성취를, 성인은 성공적인 가정생활을 지적하였다. 한국사람들에게 성공적인 가정생활이란, 자녀의 교육적 성취와 자녀의 발전 및 화목한 가정을 주로 의미하였다. 성공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사람은 가족이었는데, 학생의 경우는 부모, 성인의 경우는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초 중학생에서는 부모가 특히 중요하고, 고등학생 이후는 친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어떠한 분야에서든 성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도움으로서, 학생과 성인 모두 정서적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성공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서 과반수 정도의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고, 성인 남자는 자기조절을, 성인 여자는 가정환경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가적인 경제 위기상황 이후에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이 더욱 증가하였지만, 학업성취 및 성공적인 가정생활의 중요성,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부모와 배우자, 이러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성공의 원인으로서 자기조절에 대한 강조와 같은 핵심적인 결과가 일치하였다. 이와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 유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토착적인 성공의식을 종합하고, 이러한 의식의 기저에 있는 신념 및 가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 서순림;김정복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9-23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nurs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mental disease and mental health promotion in adolesc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7 student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 of two middle school in K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2th to 19th, 2001.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amily support scale by Kang and the mental health assessment scale was the Symptom Check List-90-R.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Duncan tes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42.26 and the mean score of mental health was 52.24. As a subarea of mental health was analyses, the scores of obsessive-compulsive reaction and hostility were respectively higher but the scores of phobia were lower than others.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grade,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living in parents. the characteristic influence on the level of mental health were sex, grade, and economic status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of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level of mental health was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35(P=0.001)).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ively, family support must be increased. Efforts to promote mental health of students are required in home and school. School authorities have to search a plans like "family support-class program" as one countermeasure to increase family support. teachers have to make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mental health constantly with participating parents.

부인암 치료를 받은 기혼여성들의 우울, 불안, 배우자 지지 (Depression, Anxiety, and Spouse Support in Married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 이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6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pression, anxiety, spouse support, and the difference of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in married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62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18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and 7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 education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996 to August, 1999.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5 to July 25, 2000 by using a mail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35.1 with the range from 20 to 76. The mean score of the anxiety was 38.6 with the range from 24 to 58. The mean score of the spouse support was 33.8 with the range from 12 to 48. 2. The score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man's education level(p=.040), economic level(p=.002), and the satisfactory level on married life(p=.009). The score of spouse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man's education level(p=.009), spouse's education level(p=.001), spouse's religion (p=.004), economic level(p=.008), and the satisfactory level on married life(p=.000). The scores of depression, anxiety, and spouse suppo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3. The score of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r=.73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pouse support(r=-.425). 4.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depression were economic level$(13.4\%)$ and satisfactory level on married life$(4.4\%)$.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spouse support were satisfactory level on married life$(23.6\%)$ and spouse's education level$(9.2\%)$.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e depression, anxiety, and spouse support of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were higher than healthy married women. The score of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pouse support. The factors influencing spouse support were satisfactory level on married life and spouse's education level.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for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would be focused to improve spouse support for alleviating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 PDF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과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 이병준;안동섭;백승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00-6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과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구조적 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을 받고 있는 전라북도 농촌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Sobel-test를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환경 개선사업, 소득기반 조성사업, 농촌관광 시설사업, 지역역량교육사업 지원이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은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활환경 개선사업, 마을경관 개선사업, 소득기반 조성사업, 농촌관광 시설사업, 지역역량교육사업 지원 모두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마을 지역개발전략에 있어서,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고,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적극적인 지원의 역할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 (Factors on the Economic Burden of Middle Age Householder Supporting the Family)

  • 김혜선;박효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55-563
    • /
    • 2016
  • 본 연구는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 사회의 중 장년층의 고용환경은 안정적이지 않다. 그에 더하여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들은 본인의 노후준비도 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큰 세대이다. 이 과정에서 불안정한 고용환경에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는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노후준비에 소홀하게 되고, 향후 노인빈곤층으로 유입될 우려가 높아진다.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빈곤층의 증가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사회구성원 전체에게 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40대-60대 중 장년기 가구주 중 노부모와 자녀의 경제적 부양을 동시에 하고 있는 사람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미취업, 주거자가보유, 취업가구원수, 원소득, 가족관계만족도의 요인들이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경감을 위해서는 교육정책, 사회보장 및 소득재분배정책, 고용정책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적 기업의 성과분석 실증모델 구축 및 분석 (Empirical Model Building and Analysis fo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임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36-1441
    • /
    • 2014
  • 사회적 기업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경제 부문에 있어 중요한 경제적 사회적 기여를 하고 있다. 많은 실제적 노력과 학문적 연구를 통하여 그 영역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기업가정신, 관계지향형 조직문화, 정부지원정책)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두가지 변수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사회적 기업의 규모 및 성숙도를 제어변수로 두었다. 107개의 사회적기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여 실제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성과에 기여하는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밀착형 기업문화와 정부지원정책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사회적기업 성과 창출에 주요한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과연 생산적 복지가 가능한가? (Is productive welfare possible in Korea?)

  • 김도현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3-38
    • /
    • 2024
  • 생산적 복지는 복지 수혜자를 단순한 지원의 대상에서 벗어나, 그들이 사회와 경제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성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복지 정책의 한 형태이다. 이는 교육, 직업 훈련, 취업 지원 서비스를 포함하여 개인의 자립능력을 향상시키고, 결국 사회 전체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적 복지가 가능한지를 고찰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생산적 복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해 왔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청년 실업률의 증가, 사회적 격차의 확대 등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복지 요구를 낳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산적 복지는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서, 수혜자가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적 복지의 구현 가능성을 고찰하고, 그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사회복지 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촌마을 발전 격차의 원인에 대한 연구: 신내생적 발전론의 적용 (A Study on the Reasons of Development Gap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The Application of Neo-Endogenous Development)

  • 김태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93
    • /
    • 2020
  • The paper is to compare two villages in Songak-myeon, Asan, Cnungnam Province in Korea. It tries to show how the joint village project, which began with the support of the same external organization, produce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intern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village. From the end of the 1990s, Pyeongchon-ri and Sugok-ri started developing villag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movement. And subsequent supports were provided by local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However, the village project in Sugok-ri, which focused on economic performance, later turned out to be a failure, and the residents changed to pursue activities for their own economic interests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In Pyeongchon-ri, the cooperation among villagers was strengthened in implementing support projects by similar external agencies. In addition, community ties and identity have been strengthened as problems have been solved through cooperation amo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village project. Nevertheless, projects undertaken in Pyeongchon-ri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conomic performance was all failed. Through these findings, the paper asserts that the neo-endogenous development approach utilizing external support on the basis of internal cooperative network among villagers must be a very useful method for rural development in contemporary societies.

생애주기별 지원체계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Support System over the Lifecycle: A Cross-Country Comparison)

  • 이상협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1호
    • /
    • pp.33-61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생애별 지원체계를 국가별로 비교하고, 거기서 경제성장과 정부재정의 지속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있다. 가족지원체계는 점차 그 중요성이 줄어듦에도 불구, 한국을 비롯한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공지원체계(사회보장)의 경우 한국은 OECD 국가 내에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낮은 사회보장이 높은 저축률과 자본축적에 기여한 긍정적인 측면은 인정된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한국에서의 사회보장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였다. 한국의 자본시장과 노동시장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 가가 향후 정부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