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cological moderniz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족 농촌주거의 근대화 과정에 따른 변화 연구 - 중국 길림성 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용산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Korean-chinese's Rural Houses for the Modernization Process - Focused on the Longshan Village, a County of Korean-Chinese in JiLinSheng, China-)

  • 김준봉;이해대;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55-63
    • /
    • 2012
  • Ever since China declared its economic reform and opening up policies in the late 1970s, it has been under rapid change.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China's history and society was in progress at a pace far too fas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nd housing sector was no excep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houses showing enough changes of modernization process in the rural area, and with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conducted respectively in the present decade, considered the architectural elements and changing aspects of housing lifestyle. This paper will explore (1)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members of the village, (2)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structures, (3)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main areas of housing, (4)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heating system and the kitchen that crucially affects the space size among the housing facilities, and (5)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bathroom.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will firstly look at how traditional rural houses has been changed under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will objectively evaluate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rural houses so that it will help find a way of improving China's rural houses in the future.

Ecocriticism in Non-Western Contexts: Natural Disasters, Ecological Wounds, and Colonial Conditions in Thơ mới (Vietnamese New Poetry, 1932-1945)

  • Pham, Chi P.;Bui, Thi Thu Thuy;Mai, Hoang To
    • 수완나부미
    • /
    • 제13권1호
    • /
    • pp.135-159
    • /
    • 2021
  • Thơ mới (Vietnamese New Poetry, 1932-1945) is a literary movement in colonial Vietnam that is broadly considered to have marked the modernization of Vietnamese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depictions about natural disasters, ecological wounds, and about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ature in New Poetry, asking how those descriptions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colonial Vietnam. The paper argues that ecocriticism, developed in Western academy, brought to the New Poetry Movement new meanings, associated with a material world. That is the specific reality of colonial Vietna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the colonial modernization resulted in natural and social collapses in the area. This approach is especially significant, given that New Poetry is largely seen as the embodiment of the expansion of Western romanticism by Vietnamese scholars. Moreover, in examining Thơ mới (Vietnam) from perspective of ecocriticism, this paper extends the ecocritical approach to non-Western literatures. Specifically, although ecocriticism developed in the West, particularly in United States and England, it has become an effective approach to non-Western literatures, particularly since the early twentieth first century. In this context, Asian literatures, particularly Southeast Asian literatures, potentially offer ecocriticism new meanings, many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local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and histories.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의한 환경디자인 사례연구 - 노원구 상계동 롯데백화점을 중심으로 - (Model of Environmental Design by the Theory of Ecological Perception)

  • 김수연;민문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1-234
    • /
    • 2005
  •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provides the human living, and meaning integrating norm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an eastern belief in human-centered wrong rationality formed at the past process of modernization. Prior to the overall consideration of ecological perception theory, looked into the concepts, contribution extent and its limitation of the existing perception theories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By experimentally applying inferred concepts of design to department bridge space and forming the space, certified the applicability of it to the green amenity space. The site Is located in Nowon- Gu Sangge- Dong. The design was processed on the basis of survey, plants growth environment and plants characters. It is expected that this design would serve the commercial space- consumer as a symbolic,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design

  • PDF

생태학적 공간 디자인에 있어 한국 전통건축의 현대화 응용연구 - 문과 창호의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ized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Ecological Space Design -Centering on the Application of Windows and Doors-)

  • 박규현;김민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89-200
    • /
    • 2002
  • 태초의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정신적ㆍ물질적 만족을 얻으려 하였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에서 그러한 만족을 얻지 못하자 문명을 형성하게 되었고, 거기서 인간만의 독특한 환경을 발전시키며 자연성과 대립하여 왔다. 이러한 대립의 과정에서 인류는 생태적 위기문제를 끌어안게 되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분야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사람이 살아가기 위한 필수적 공간디자인의 영역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한국의 전통건축은 한국의 자연과 풍토에 적합한 생태적 특성을 지녀왔다. 특히 한국의 전통건축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에서 논의해 볼 때 그것은 서양의 건축물처럼 독립된 개체적 구조물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자연 생태계의 일부로 함께 존재하는 전체적 화합물이라는 인식으로 주요 연구대상이 되어왔었다. 그 가운데 특히 한국 전통의 창문은 자연을 수용하고 받아들임에 있어 생태적 본질을 가장 잘 유지한 예의 하나로서 생태학적 공간디자인의 연구대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오늘날의 한국현대 건축의 관심에서 밀려나 있음은 지극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고유의 전통인 창과 문을 새로운 공간디자인의 연구대상으로 현대화시켜 그 영역을 확대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

도시하천과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 금호강을 중심으로 (The Function or Urban River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Kumho River)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7-774
    • /
    • 2004
  •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하천의 기능을 보다 체계적으로 재분류하여, 사회적 측면(용수공급, 관리, 교통 및 에너지원), 공간적 측면(지형형성, 수변경관, 지역구성, 경계-분리) 그리고 생태적 측면(폐수배출, 정화작용, 서식지, 기후조절)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분류에 기초하여 보면,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하천의 기능들 가운데 특히 용수공급 등 사회경제적 기능이 강조된 반면, 공간적 측면과 생태적 측면은 무시되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대구 및 그 주변 지역을 관류하는 금호강 역시 과거 지역사회의 내적 발전과정에 지대한 기여를 했지만, 하천의 특정 기능이 선별적으로 개발된 결과 금호강은 유지수의 부족과 더불어 오염과 퇴락으로 그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금호강에 의존하여 발달해 오던 대구 및 그 주변 도시들도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환경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도시 하천이 가지는 고유한 기능들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원칙과 주요 기능별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도시와 하천이 공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옥상녹화와 비 옥상녹화 표면의 온도변화 상관관계 고찰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on the Roof and the Adoption of the Green Roof vs Non Green Roof -Application in DaeJeon Area-)

  • 이응직;김준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134-140
    • /
    • 2012
  • With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many urban areas are becoming overcrowded at a rapid pace and such urban ecological problems as heat island effect are becoming serious due to the reduced green zones resulted from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To solve this problem, ecological park, constructed wetlands, and greening on the elevation, balcony, and roof of a building that have the structure and function very close to the state of nature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at the urban or regional level. Especially green roof will be able to not only provide the center of a city with a significant portion of green area but also help to relive heat island effect and improve micro climate by preventing concrete of a building from absorbing heat. According to a recent study, the temperature of green roof in the summer season shows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but inversely the concrete surface shows a higher temp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measur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buildings with green roof in Daejeon area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green roof system would have an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green roof vs non-green roof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green roof was lower by $4{\sim}7^{\circ}C$ than that of non-green roof.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effects.

Varia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Barracks through Simulation by Year of Completion

  • Choi, Doo-Sung;Jeon, Hung-Chan;Cho, Kyun-Hyong;Yoo, Jeong-Seong
    • KIEAE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21-2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suggest the variation of energy consumption consequent on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strengthening from early 2000s when modernization of barracks began until the present targeting a large barracks. Method: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is study surveyed the standard of thermal insulation by year, which is being applied to a barracks by conducting literature search, and selected the standard model for a barracks. Also, this study analyzed energy consumption by year & region by performing simulation(ECO2)of the selected standard model. Result: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in case of a building which was completed in 2015, the energy consumption for air-conditioning & heating, lighting, and hot water supply over the year 2000 reduced by 11% on the average in central district, 10% on the average in southern district, and 17% on the average in Jeju, respectively.

생태적 유역관리 도구로써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효율성 고찰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of Korean Village Bangjuk[dike] as a Means of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 안병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0-100
    • /
    • 2012
  • 본 연구는 수생태계의 건전성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마을방죽과 수체계의 원리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대상지 10개의 마을방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을방죽의 수체계를 구성하는 우물, 공동샘, 마을수로 등 물 흐름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을방죽의 사회적 생태적 역할 및 도시화로 인해 훼손되거나 소멸된 수생태계 건전성 확보와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하나의 도구적 방안으로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을방죽은 마을에서 발생하는 배출수와 방죽보다 높은 수위의 농경지에서 흘러드는 농수로를 통해 물을 방죽에 모아서 농업용수로 재활용하고, 그 이상의 물은 논도랑을 통해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구조로서, 각 마을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생태적 유역관리를 일상에서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한 물 흐름의 일시적 저류시설이 아니라, 이를 다시 재사용하고 걸러서 하천으로 보내는 일종의 친환경수처리 시스템인 것이다. 2. 전통마을 5개소와 근대화 이후 농촌마을 5개소를 중심으로 사례대상지 10개의 마을방죽을 선정하여 마을의 수 체계와 방죽의 구조, 물 흐름을 분석하여 방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마을방죽의 유형은 소택습지형, 자연유하의 물흐름 구조인 수고답저형, 인위적 수리시설이 필요한 수저답고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사례연구 대상지 중 전통마을 5개소는 모두 소택습지형으로 나타났으며, 근대화 이후 농촌마을 중 계지마을, 산제리마을, 마암마을, 양촌마을은 수고답저형으로, 상천리마을은 수저답고형으로 분류되었다. 3. 소택형 방죽과 수고답저형 방죽, 수저답고형 방죽으로 분류된 사례대상지의 수질분석을 통해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기능을 확인하였다. 마을하수도 유출수와 생활하수의 영향을 받는 원터마을과 계지마을에서는 암모니아성질소($NH_3-N$)와 총인(T-P)의 효율이 56~95%로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축사와 농경지의 영향이 강한 상천리와 산제리 마을에서는 부유물질(SS)이 70~85%, 총질소(T-N)와 총인(T-P)이 5.3~65%의 효율로 나타났다. 4. 오염원의 침전과 여과, 식물에 의한 탈질작용을 통해 마을에서 유출되는 생활하수, 마을하수도 배출수, 우수유출수 및 비점오염원들이 하천에 유입되기 전에 다시 한번 걸러주게 되는 수질정화 시스템을 마을방죽의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마을방죽은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기초적 시설로서 활용되어져야 한다. 환경 필터층의 역할을 하는 마을방죽의 수처리 시스템은 단위유역, 집수유역 중심의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친환경 시설로서 연구되어지고 활용되어야 한다.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A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 정대연;장신옥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3호
    • /
    • pp.207-227
    • /
    • 2007
  • 본 연구는 오늘날 범지구적 차원에서 심각한 수준에 있는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함의를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생태계의 개념과 구조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간활동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함의를 정립하였다. 생태계로서의 자연은 인간 없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인간은 자연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 따라서 생계위기는 곧 인간의 위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풍요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한 인간의 활동 결과 지구는 점용환경용량을 2.5배 초과되었다. 이것은 인간이 범한 모순이다. 이 모순을 해결하면서 사회발전을 추진하자는 이념으로 1987년 지속가능발전이 제창되었고, 지속가능발전은 1990년대 중반에 지속가능사회로 대치되었고, 2000년대에 와서는 지속가능사회가 생태적 근대화로 대체되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풍요성과 편리성 증대를 위한 인간의 활동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기 시작한 후,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사회발전을 추진하자는 생태적 근대화 이념이 출현까지의 역사적 과정은 정(正)-반(反)-합(合)의 변증법 과정으로 이론화될 수 있다. 산업혁명 이전의 농업사회 때는 인간의 활동이 점용환경용량 범위 안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환경문제가 없었다. 이 시대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생태적 합(合)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이 생태계의 점용환경용량을 초월시킨 것은 생태계에 반(反)이 작용한 것이다. 따라서 범지구적 차원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생태계는 정(正)과 반(反)이 대립상태에서 공존하였다. 1990년대 이후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각종 지속가능발전정책의 도입은 정(正)과 반(反)의 대립을 통해 다시 생태학적 합(合)의 상태를 지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리오리엔팅 패션의 기호학적 연구 -한.중.일을 중심으로- (Re-orienting Fashion of Modern Fashion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Focusing on Korea, China, and Japan-)

  • 민정아;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41-1252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phenomena of dress and ornaments expressed in them by analyzing Re-orienting Fashion (which is a system of signs and symbols) based on the theories of semiology in the search for the Korean identity by examining a Re-orienting Fashion that is being reinterpreted. Re-orienting Fashion performs the role of signs that act in the spread of Oriental culture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in the Orient. It also has a meaning that converts the world of fashion to a new direction. When analyzing the system of signs and symbols in Re-orienting Fashion (based on the theories of semiology) the conclusions are that an eclectic symbol system has been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ursuit of modernization in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with post-modernism. A nature-friendly symbol system has been shaped as a natural silhouette in terms of the combination with Eastern philosophy that searches for a harmony with nature according to ecological trends. The ideal of a symbol system means the introduction of design elements in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of the East as a reje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as an alternative to the fixed pattern of the W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