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dernized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Ecological Space Design -Centering on the Application of Windows and Doors-

생태학적 공간 디자인에 있어 한국 전통건축의 현대화 응용연구 - 문과 창호의 활용을 중심으로-

  • 박규현 (대구대학교대학원 미술ㆍ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전공) ;
  • 김민정 (대구대학교대학원 미술ㆍ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Human beings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have tried to ga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from nature. However, as it became difficult to find such satisfaction in nature, an advanced civilization was created that confronted nature by developing a unique environment. In this process of confrontation, an ecological crisis occurr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there began interest in the ecological paradigm of many fields, and the domain of space design for living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Koreas nature and climate. When discussing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from the viewpoint of an ecological paradigm, studies have be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the entire combination of structures existing with and as a part of a natural ecosystem rather than the use of independent and individual structures like that of Western architecture. In particular, Korean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are examples of maintaining an ecological essence by accepting natural surroundings and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subject of ecological space design, but its unfortunate that theyre not utilized in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Focusing on these discrepancies, this study aims to make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native to Korea the subject of discussion and to expand the area of study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태초의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정신적ㆍ물질적 만족을 얻으려 하였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에서 그러한 만족을 얻지 못하자 문명을 형성하게 되었고, 거기서 인간만의 독특한 환경을 발전시키며 자연성과 대립하여 왔다. 이러한 대립의 과정에서 인류는 생태적 위기문제를 끌어안게 되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분야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사람이 살아가기 위한 필수적 공간디자인의 영역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한국의 전통건축은 한국의 자연과 풍토에 적합한 생태적 특성을 지녀왔다. 특히 한국의 전통건축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에서 논의해 볼 때 그것은 서양의 건축물처럼 독립된 개체적 구조물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자연 생태계의 일부로 함께 존재하는 전체적 화합물이라는 인식으로 주요 연구대상이 되어왔었다. 그 가운데 특히 한국 전통의 창문은 자연을 수용하고 받아들임에 있어 생태적 본질을 가장 잘 유지한 예의 하나로서 생태학적 공간디자인의 연구대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오늘날의 한국현대 건축의 관심에서 밀려나 있음은 지극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고유의 전통인 창과 문을 새로운 공간디자인의 연구대상으로 현대화시켜 그 영역을 확대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