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orienting Fashion of Modern Fashion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Focusing on Korea, China, and Japan-

현대 패션에 나타난 리오리엔팅 패션의 기호학적 연구 -한.중.일을 중심으로-

  • Min, Jeong-Ah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민정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phenomena of dress and ornaments expressed in them by analyzing Re-orienting Fashion (which is a system of signs and symbols) based on the theories of semiology in the search for the Korean identity by examining a Re-orienting Fashion that is being reinterpreted. Re-orienting Fashion performs the role of signs that act in the spread of Oriental culture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in the Orient. It also has a meaning that converts the world of fashion to a new direction. When analyzing the system of signs and symbols in Re-orienting Fashion (based on the theories of semiology) the conclusions are that an eclectic symbol system has been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ursuit of modernization in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with post-modernism. A nature-friendly symbol system has been shaped as a natural silhouette in terms of the combination with Eastern philosophy that searches for a harmony with nature according to ecological trends. The ideal of a symbol system means the introduction of design elements in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of the East as a reje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as an alternative to the fixed pattern of the West.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용. (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2. 김현진, 채금석. (2003).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복식표현 연구-조선시대 여자복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희정, 이경희. (2000a).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4(1), 24−33
  4. 김희정, 이경희. (2000b),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4(3), 313−322
  5. 박상오. (2004), 오리엔탈리즘 패션디자인의 아시아 지역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1), 91−99
  6. 신항식. (2003). 롤랑바르트의 기호학. 서울: 문학과 경계사
  7. 에코, 움베르토. (1980). 기호: 개념과 역사. 김광현 역 (2000).서울: 열린 책들
  8. 음정선, 채금석. (2005). 한국과 일본의 전통색채관과 복색에 관한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은령, 배주원, 이경희. (2004), Japanism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전개에 관한 비교 연구, 복식, 54(2), 39−52
  10. 이은영, 박하나. (2004), 한국 패션의 오리엔탈리즘.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811−819
  11. 이은숙.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25−33
  12. 임영자, 김선영. (2000), 현대 패션에 표현된 NEW ORIENTALISM에 관한 연구, 복식, 50(4), 37−51
  13. 소두영. (1997). 상징의 과학 기호학. 고양: 인간사랑
  14. 조정미, 김예형. (2000),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zen; 선)양식에 관한 연구, 복식, 50(6), 263−175
  15. 채금석. (2000). 한국 전통복식의 정신문화 연구: 포(袍)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53(11), 13−30
  16. 채금석. (2004a).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복식,54(3), 113−127
  17. 채금석. (2004b),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반꾸밈 미학. 복식, 54(8), 129−146
  18. 소쉬르, 페르디낭. (1972). 일반언어학 강의. 오원교 옮김(1974). 서울: 형설출판사
  19. 한명숙. (1987). 한국 복식현상의 구조적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한명숙. (1988). 복식표현의 위상. 서울: 경춘사
  21. Niessen, S., Leshkowich, A. M., & Jones, C. (2003). The globalization of Asian dress: Re-orienting Fashion. S.A.:Be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