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corrido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 김진경;조형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

환경영향평가 협의시 생물이동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적 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view for Improving Bio-Mobility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심윤진;정규종;어양준;유윤진;박현경;장민호;이태호;김중권;박수곤;장은혜;추연수;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5-155
    • /
    • 2018
  •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in ecological pathways created b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were found based on 504 expost environmental impact survey reports submitted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2016. A total of five improvement plans have been proposed. First, the concept and composition principle of ecological pathways should be unified. Second, Guidelines for consultation on the EIA should be provided for each stage to be applied on-site. Third, if ecological pathway is constructed differently than the consultation, the punishment clauses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formal composition of ecological pathways. Fourth, We need to prepare measures to strengthen basic research for the installation of ecological pathways. Fifth, We need to strengthen the expost inspection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poorly created of ecological pathways. It is believed that the problems of ecological pathways created by consulta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uld be corrected in the future. And it is deemed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ecological pathways.

댐유역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한 생태보전우선지역설정 -용담다목적댐 유역을 사례로- (Prior Eco-preserve Zoning through Stream Ecosystem Evaluation on Dam Basin -A Case of Yongdam-dam Watershed, Jeollabukdo Province-)

  • 임현정;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댐 유역 하천코리도 생태경관 구역의 설정과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해서 생태적 가치가 높은 보전지역을 설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09년까지 수행된 "용담 다목적 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생태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에 기초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용담호는 그 유역면적이 $930km^2$로서 진안, 장수, 무주에 걸쳐 있으며, 주요 유입하천에는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구량천 등이 있다. 이 댐 호는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유역 내 골프장, 체육공원 등의 난개발이 발생하여 수질오염 및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하천코리도의 경관단위구역은 조사 및 도면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250mm, 500mm, 750mm의 3단계 세부구역으로 구분하였다. 하천생태계 평가는 하천환경평가와 코리도권 식생환경평가의 2가지로 구분하였다. 하천환경평가에서는 어류 및 저서 생물의 종다양성과 고유화 빈도, 하천환경의 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식생환경평가에는 임상도, 식생보전등급, 조류 및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법정 보호종의 유무 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각각의 생태공간정보를 그 중요도에 따라 3등급화하였고, 최종적으로 이를 중첩하여 보전우선가치가 높은 지역을 설정하였다. 법정 보호종 출현지점은 절대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지역의 보전가치를 평가하는 댐 유역 하천생태계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개별적 생태조사의 결과를 통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야생동물의 행동권과 계절별 서식환경, 생물종 간 관계 등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에코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 곡릉천 곡릉2보 철거를 대상으로 -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am Removal - Focused on Gokreung River Gokreung 2 Small Dam Removal -)

  • 안홍규;우효섭;이동섭;김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0-54
    • /
    • 2008
  • Small and large dams are installed in the course of a stream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stream or obtaining agricultural water. Currently about 18,000 of them are installed in Korea to supply water. However,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mall dams are well known : the interruption of stream eco-corridor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aches of the small dam, changes in the habitats of riparian organisms, damages to the stream scenery. In a very few of these small dams artificial eco-corridors like fishways are installed, but the number is very minimal.Accordingly, to efficiently restore stream eco-corridors by removing these small dams,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phys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riverbed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stream caused by the removal, chem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and biolog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habitats of organisms, and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in advance, and have these technologies verified through demonstration application in the si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al, chemical and ecological impacts of the removal of the above-mentioned small dams,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he demonstration small dam removal project for a spot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small dam removal will restore the eco-corridor, there by improving the habitat of fishes and crustaceans. The number of major underwater organisms inhabiting the Gokreungcheon, such as Korean spotted sleepers, Chinese minnows, Microphysogobio yaluensis, Abbottina rivularis, stone morokos, striped shinners, long-nosed barbels, and Chinese mitten crab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e food chain in the ecosystem will improve so that species diversity will improve as well.

유형별 녹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단지 내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 분석 (Simulation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of Green Area Types in Apartment Complexes)

  • 지은주;김다빈;김유경;이정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53-165
    • /
    • 2023
  •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바람의 흐름과 열쾌적성을 고려하여 녹지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녹지 계획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사례 대상지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수집된 온도 및 불쾌지수 자료를 비교하여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로 선정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지 현재의 열환경과 바람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녹지의 패치와 코리도 형태의 요소를 고려하여 시나리오 1(패치), 시나리오 2(코리도), 시나리오 3(패치+ 코리도)의 세 가지 시나리오를 계획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나리오별 풍속, 풍향, 그리고 열쾌적성을 ENVI-met로 분석하여 도시 열섬현상의 완화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패치 형태의 녹지는 풍속의 증가 및 풍량 개선에 기여하여 예상온열감(PMV)가 31.20%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시나리오 1), 열쾌적성 지표(PET)가 68.59%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리도 형태의 녹지로 계획한 경우 바람길의 연결이 용이하여 패치 형태의 녹지 계획에 비하여 풍속이 더욱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나 예상온열감(PMV)은 92.47%, 열쾌적성 지표(PET)는 90.14% 감소하였다 (시나리오 2). 녹지 패치와 녹지 코리도를 복합적으로 계획한 경우 가장 큰 풍속의 증가와 연결성을 보여 예상온열감(PMV)에서 95.75%, 열쾌적성 지표(PET)에서 95.3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시나리오 3). 그러나 대상지 내에서 협소한 지역의 경우 패치형 녹지계획이 코리도형의 녹지 계획에 비하여 열쾌적성을 개선하는 데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도시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패치형태의 녹지와 코리도 형태의 녹지의 계획의 복합적인 형태로 계획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형 아파트단지의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계획의 가이드를 제시하여 도시열섬현상에 따른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수변(水邊) 복원(復元)의 이해와 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의 검토 (A Review and Understanding of Stream Corridor Restoration)

  • 우효섭;김성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26-144
    • /
    • 2000
  • The river environment of many streams in Korea has been deteriorated throug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early 1960s. Deterioration includes single-purpose channel works for flood control and dense riparian land uses such even as the covering of the channel, as well as water pollution. As a result, many streams have lost their precious river environment such as ecological habitat, river friendliness and riparian scenery. In the early 1990s, however, the necessity of restoring those channelized streams was felt among the river engineers as well as environmentalists in Korea. This article describes a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stream restoration guidelines and relevant publication including those published in Japan, Europe and USA. A special focus is on the Stream Corridor Restoration, which was recently in the USA in 1998. First, the meaning and background of stream restoration is reviewed. Last, a draft of the contents of the stream restoration guideline, which is being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their colleagues, is briefly introduced.

  • PDF

편복도형 아파트의 복도 외벽체 개구부 형태에 따른 환기성능 및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and Fire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Types of Openings in External Wall of One Side Corridor Type Apartment)

  • 고명진;최두성;도진석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87-93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afety in case of fire and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different wall construction approaches in a stairways apartment house. In order to confirm that case_1, which is current case that most of wall is opened and the case 2, which upper part of wall is limitedly opened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simulations of fire, escape and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The analysis reveals that possible escape time for case 1 was more than 600 seconds and for case 2 was 195 seconds. Since the escape times for both cases were over 128 seconds, it w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every resident would escape. The simulation results on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shows the air change per hour of case 1 and case 2 were .19n/h and .16n/h and there was 1.2 times difference. However, the difference was too insignificant and it could be seen as that different approaches on wall construction woul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보 철거를 통한 하천 생물이동통로의 생태적 복원 (Stream Corridor Ecological Restoration by Small Dam Removal - Removals of Gongreung2 & Gotan Small Dams in Korea -)

  • 안홍규;김시내;우효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171-184
    • /
    • 2012
  • 하천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 할 목적으로 조성되는 크고 작은 보는 용수공급 시설로 이용되고 있으나, 하천 생물이동의 차단, 보 상류부의 수질악화, 수변 생물서식처의 변화, 하천경관 훼손과 같은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이용의 변화,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 정도의 보가 폐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하천에 설치되었으나 용도와 기능이 상실된 보를 철거하여 생태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하천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주며, 하천의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 및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보 철거 시범사업으로 공릉천에 설치된 길이 76m, 높이 1.5m의 공릉2보와, 한탄강에 설치된 길이 190m, 높이 2.8m의 고탄보를 철거하였고, 각 시범사업 대상지의 물리/화학/생태특성 모니터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철거 직후 보의 직 상류부에 전체적으로 침식이 발생하고, 보 하류부는 여울, 하중도, 사주, 침식 등 다양한 지형으로 변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천복원의 취지에 맞는 하천 본래의 모습에 가까운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능 및 용도가 상실된 보의 경우는 기존의 보체를 개량하거나 어도를 설치하여 주는 것 보다 구조물 자체의 완전철거를 통한 생물 이동통로 조성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의왕시 오봉산 육교형 생물 이동통로 모니터링에 의한 관리 및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and Administration of Ecoduct through Monitoring in Uiwang's Mt. Obong)

  • 전익요;한봉호;홍석환;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06
  •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Ecoduct located in Uiwang's Mt. Obong, Gyeonggi province. The inner planting of Ecoduct is not very related to the flora of mountain areas nearby. The difference in the index of plant crown volume(GVZ), the similarity index(S.I.), and monitored animals is significant between Ecoduct and mountain areas. Putting together all of the results, the initial selection of movement and target species is excessive in number. Target species must be selected again. They will be species that are currently found on the site. The Ecoduct space must be divided into two parts: buffer planting space and wildlife corridor. Reforestation is needed since the GVZ is remarkably lower in Ecoduct than in the nearby mountain areas. Besides the vegetation of Ecoduct is densely planted in guidance planting space to connect the souther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the northern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roper upkeep after construction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maintain the procedure of natural change.

해상컨테이너를 이용한 대학생기숙사 거주 활용 계획 연구 - 암스테르담 대학생기숙사 키트보넨 사례를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Schematic Design for Student Housing Using Shipping Containers - Focused on the Student Housing of Keetwonen -)

  • 이종찬;강윤도;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59-6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ggested to establish of student housing by using shipping container. The research method are a study of shipping container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 housing by using shipping container, compared typically student housing with student housing by using shipping container. Also there are planning though a case study of various planes and survey based on the student housing city in Amsterdam, Netherland, is called Keetwonen. It is a planning for housing unit to actual build at the part of land to devise master plan The 40FT(High Cube) Shipping Container housing unit are double occupancy room with toilet and balcony. The common areas are the kitchen, laundry facilities, conference room and lounge are available on the first floor with a lightweight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applied for obtain substantive utilization of the space. Considering into the type and scale of site shall be planning in the form of side corridor and central corridor, which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interior space into two areas by a central corridor to secure personal privacy. Also, planning such as a separate exterior panel, color and landscape design to improve the external image of the container and block the solar radiation heat influx with a pitched roof. Allow 24 college students shall live at the site of Seongnae-dong, Gangdong-gu in Seoul, Korea (site area $330.9m^2$), including common facilities and a lounge with a building that has three stories above ground were established to build plans to target the actual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