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xicit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생물유래 살조물질 (Naphthoquinone 계열) (Novel Algicidal Substance (Naphthoquinone Group) from Bio-derived Synthetic Materials against Harmful Cyanobacteria, Microcystis and Dolichospermum)

  • 주재형;조훈;한명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1호
    • /
    • pp.22-34
    • /
    • 2016
  •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의 친환경적인 제어를 위해 생물유래 물질을 기반으로 한 Naphthoquinone(NQ) 계열의 녹조제어 물질을 개발하였다. NQ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치환기 ($R_n$)를 변화시켜 총 92종의 NQ 유도체를 합성 확보하였고, 대상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농도별 살조효과를 평가하여 $1{\mu}M$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제어가 가능한 NQ 화합물을 각각 22종을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NQ 40 물질은 최적 적용 농도인 $1{\mu}M$에서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에 각각 99.6%과 100%의 높은 제어효과가 관찰되었다. NQ 40 물질 ($1{\mu}M$)은 규조류 Stephanodiscus, Cyclotella와 와편모조류 Peridinium에는 살조효과가 없었으며, 대상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NQ 40 물질의 급성독성을 평가 결과, Selenastrum capricornutum, Daphnia magna 및 Danio rario 종에 대하여 $EC_{50}$/$LC_{50}$ 값이 각각 3.2, 14.5 및 $15.7{\mu}M$로 측정되었다. 더불어, D. magna를 이용한 만성독성 평가 결과, NQ 40 물질 $1{\mu}M$에서 생존, 성장, 번식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NQ 40 물질을 현장에서 $1{\mu}M$로 적용한다면, 다른 수생생물에 미치는 영향 없이 대상 조류인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만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친환경적인 살조물질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연 나노 입자와 산화아연 나노 입자의 특성과 식물독성 (Characterization and Phytotoxicity of Zn, Zn Oxide Nanoparticles)

  • 김성현;백주형;송이레;신민주;이인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9-1134
    • /
    • 2009
  • 나노기술이 발전하면서 나노 입자의 특성과 나노 독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의 식물독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Zn, ZnO 나노 입자의 각 농도 별로 오이 묘목을 수경 재배하여 식물독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Zn, ZnO 나노 입자의 특성은 deionized water에서 보다 영양용액에서 응집이 더 일어났다. 오이 묘목의 생체량은 100 mg/L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독성은 $Zn^{2+}$> Zn> ZnO 나노 입자순으로 나타났다. TEM 사진 결과, Zn, ZnO 나노 입자는 뿌리 세포벽에 붙어 있었으며 뿌리 세포 내에서도 응집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재활용 인산석고의 조류 및 물벼룩에 미치는 생물독성 평가 (Ecotoxicity Evaluation of Phosphogypsum Recycle for Algae and Daphnia magna)

  • 박수호;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28-532
    • /
    • 2012
  • 국내에서 발생되는 인산석고를 매립성토재로 활용 가능성과 수중생물인 담수조류, 해조류 및 물벼룩에 미치는 생물독성을 평가하였다. 인산석고 혼합에 따라 담수조류의 비성장속도는 대체적으로 해조류에 비해 높았으며, PG30 조건에서는 담수조류 성장이 1.7배 정도 컸다. 물벼룩의 경우는 PG50에서는 다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독성값(TU)값이 0.3으로 독성기준치 1 이하로 나타나 인산석고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산석고를 일반토사와 혼합할 경우, 환경학적으로 폐기물 재활용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생물의 독성 실험결과 PG30 조건에서 매립성토재로 사용할 경우 생물독성의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 배출해역 퇴적물의 생물학적 독성평가 연구 (Biological Toxicity Assessment of Sediment at an Ocean Dumping Site in Korea)

  • 석형주;김영윤;김태원;황철희;손민호;최기영;김창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배출해역의 퇴적물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6~2019년 3개 배출해역; 동해병, 서해병, 동해정 해역의 9개 정점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들을 대상으로 국내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저서성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와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상대평균생존율(저서성단각류)과 상대발광저해율(발광박테리아)이 각각 30 % 이하로서 '독성없음'으로 판정되었으나, t검정을 이용한 독성 평가 결과에서는 총 12개(2016년 6개, 2017년 1개, 2018년 1개, 2019년 4개)의 저서성단각류 시료에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서성단각류의 독성원인 탐색을 위해 퇴적물 내 8종 중금속 함량(Cr, As, Ni, Cd, Cu, Pb, Zn, Hg)과 저서성단각류 상대평균생존율의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Cr의 저서성단각류 독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p=0.000, R2=0.355). 또한, 매년 독성영향이 가장 높은 정점(DB-85)의 시료에서 Cr이 여전히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해양환경기준을 매년 초과하였다.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생태독성판정 기준 적용 시 '독성없음'으로 평가되는 퇴적물 오염도가 대조구와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 독성원인확인 평가를 적용할 경우 독성영향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종민감도분포곡선을 활용한 정량적 위해성 평가를 통한 준거치를 도출하여 생태독성 영향 판단 기준의 재설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 신뢰도를 높인 친환경 인증마크의 등급제 제안 (Improvement of Consumer's Reliability on the Eco Label by Suggestion of Quantifying Rating System)

  • 나동규;김지수;김민섭;나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83-795
    • /
    • 2017
  • This study measured consumer's recognition, reliability, emotion and images about current eco-marks as well proposed an eco-mark rating scale and mark designs to improve consumer's trust on the fashion product marks. We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data from 150 persons about knowledge, interests, and practice on eco fashion products in relation to trustfulness and positive images for three domestic and three international eco-marks. We evaluated and gave eco scores to six fiber-type products (cotton, organic cotton, wool, polyester, biodegradable polyester and nylon) in terms of consumer's use, water & land consumption, waste amount, carbon footprint, and toxicity. We suggested a new 5-level rating scale for eco marks, which quantifie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fiber products. The design for eco-mark of rating scale showed the total grade with two sub scores of environmental sides and human sides developed with an improved visual understanding for consumers. The design is one through benchmarking the energy-consumption efficiency mark, which is familiar to consumers such as a half circle shape to save environment resources to alarm consumers to environment problems.

알루미늄 가공 공장 배출 방류수의 독성 원인물질 탐색 (Application of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Procedures for Toxic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 나진성;이지호;김기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05-313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acute toxicity in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that violate the discharge limits in Korea. Methods: Whole effluent toxicity tests (WET) were conducted on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following the US EPA WET test methods. We collected effluent samples three times and evaluated acute toxicity by using Daphnia magna. We employe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TIE) procedure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toxicity in the effluent. Results: No specific chemical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seven different manipulations applied to the of wastewater effluent samples showing 1.3 toxic units (TU) according to the TIE phase I procedures. Water quality parameters for water hardness, electric conductivity and heavy metals (Mn) were 4,322 mg/l as $CaCO_3$, 11.39 mS/cm, and $5,551{\mu}g/l$, respectively. Considering water hardness and reference toxicity, high concentrations of Mn can be disqualified from the causative toxicants. Consequently, high ionic concentrations of $Na^+$(1,648 mg/l), $Ca^{2+}$(1,048 mg/l), $Mg^{2+}$(1,428 mg/l) and $SO_4{^{2-}}$(7,472 mg/l) were identified to be causative toxicants. Water hardness and electric conductivity exceed the $EC_{50}$ value obtained by biological toxicity tests using Daphnia magna. Conclusion: According to TIE procedures, high salt concentration is determined to be a major toxicant in the effluent of agr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eceiving wastewater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어류급성독성 시험에 의한 ACQ 방부목재의 환경 독성 (Environmental Toxicity of ACQ-Treated Wood Based on the Fish Acute Test)

  • 우지근;김두원;김성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5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ish acute toxicity that is dependent on the harmfulness of ACQ (Alkaline Copper Quat)-Treated Wood and Oryzias latipes mortality in a comprehensive way, provide objective verification method on the eco-toxicity and environment-friendliness of landscap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utilize it as a basic datum for evaluation criteri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harmfulness characteristics, each experimental plot showed different valu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in proportion to the volume of testing materials, COD and Cu increases at a constant rate, compared to the input water. In the plot C with three testing materials, COD increased 67 times more than that of the input water, and Cu increased up to 12.36mg/L. 2. In case of fish toxicity, plot C, B, A all showed a mortality rate of 100%, indicating that fish toxicity is strong. In particular, the mortality rate of each plot within the initial time of one and a half hour showed clearly, which suggests that the fish toxicity is influenced by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epending on the volume ratio of testing materials. 3.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harmfulness and fish toxicity, the harmfulness showed different values on each experimental plot but, we found that the changing rate of values of toxicity of COD and Cu is mutually similar to that of mortality in the initial hour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fish toxicity, which shows that COD and Cu are major factors to increase fish toxicity.

멀구슬과 고삼을 원료로 한 식물추출물의 주요해충과 천적에 대한 독성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 황인천;김진;김형민;김도익;김선곤;김상수;장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7-94
    • /
    • 2009
  • 멀구슬나무와 고삼 식물추출물을 활용한 KNI3126의 주요 해충 6종에 대한 살충효과와 천적류에 대한 영향평가를 하였다. 벼멸구에 대한 KNI3126의 살충효과는 약제처리 후 5일째에 95% 이상이었으며, 목화진딧물은 처리 후 3일째에 95% 이상을 나타냈지만, 5일째에는 다소 살충효과가 떨어졌다. 오이총채벌레에서는 68.1%로 일반 살충제처럼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추좀나방의 경우는 95% 이상의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어 친환경자재로서 난방제 해충의 밀도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점박이응애에서는 살포 1일째부터 80% 정도의 살비율을 보여 5일째에는 90% 이상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냈다. 포식성 천적인 이리응애류에 대한 영향평가 결과 국제생물방제협회(IOBC)의 생존율 40%이하인 선택독성이 중간정도로 판정되었으며, 기생성 천적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벼멸구에 대한 기피효과는 약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급성경구, 급성경피, 어독성에서 저독성으로, 피부자극성과 안점막자극성시험에서는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시험생물종을 이용한 산업폐수 생태독성 평가 및 원인물질 탐색 (Ecotoxicity Test of Wastewater by a Battery of Bioassay an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 류태권;조재구;김경태;양창용;정기은;윤준헌;최경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207-214
    • /
    • 2010
  • Toxicit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dustrial effluent on the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measure the potential and real toxicity of mixed chemicals in the effluents, the biological method (i.e., WET test) should be used as well as chemical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WET test for various kinds of industrial effluents using aquatic organisms such as water flea (Daphnia magna), algae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fish (Oryzias latipes, Danio rerio), and microorganism (Vibrio fisheri). In addition, we carried out chemical analysis and TIE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for efflu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stances causing toxicity. Among the 30 kinds of wastewater, S13 showed the highest eco-toxicity and $Ca^{2+}$ and $Cl^-$ ion were suspected as major compounds causing toxicity for aquatic organisms. In order to confirm these suspected compounds, various confirmation procedures need to be carried out.

Removal of sulfate ion from semiconductor wastewater by ettringite precipitation

  • Chung, Chong-Mi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3권4호
    • /
    • pp.183-189
    • /
    • 2022
  • This study seeks towards an optimal way to control sulfate ions in semiconductor wastewater effluent with potential eco-toxicity. We developed a system based on ettringite (Ca6Al2(SO4)3(OH)12·26H2O). The basic idea is that the pH of the water is raised to approximately 12 with Ca(OH)2. After, aluminium salt is added, leading to the precipitation of ettringite. Lab-scale batch and continuous experiment results with real semiconductor wastewater demonstrated that 1.5 and 1 of stoichiometric quantities for Ca2+ and A3+ with pH above 12.7 could be considered as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 with 15% of sludge recycle to the influent. A mixed AlCl3 + Fe reagent was selected as the beneficial Al3+ source in ettringite process, which resulted in 80% of sludge volume reduction and improved sludge dewaterability. The results of continuous experiment showed that with precipitation as ettringite, sulfate concentration can be stably reduced to less than 50 mg/L in effluent from the influent 2,050 ± 175 mg/L on average (1,705 ~ 2,633 m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