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co-agri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3초

느타리 수확후배지를 이용한 가축분퇴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vestock manure compost using spent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ubstrate)

  • 장재은;임성희;신민우;문지영;남주희;임갑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8-125
    • /
    • 2023
  • 현물 상태의 느타리 수확후배지를 사용하여 기존 가축분퇴비에서 수분조절제로 사용되는 톱밥을 대체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느타리 수확후배지 40%+ 가축분 60% 혼합후 1차, 2차 발효 및 50일 이상 후숙하면 기존 톱밥 혼합 가축분퇴비에 비해 퇴비 제조기간이 동일하였으며 부숙과정동안 온도가 70℃ 이상 높아져 충분히 부숙이 되었으며 발효 및 후숙과정을 거치면서 가축분퇴비의 수분함량이 55% 이하로 비료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또한 퇴비 부숙기간 및 비료성분 등에 차이가 없었으며, 유기물 함량, 수분, OM/N, 부숙도, 중금속 등 비료공정규격에도 적합하게 나타났다. 톱밥을 혼합한 가축분퇴비에 비해 퇴비 제조기간중 암모니아 가스 발생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 수확후배지를 혼합한 가축분퇴비의 미생물 밀도를 조사한 결과 세균, 방선균 밀도가 톱밥을 혼합한 퇴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공정화된 퇴비 제조 과정을 통해 충분한 부숙기간을 거치면 느타리 종균은 퇴비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영동군의 농촌지도사업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YoungDong County , ChunaBuk Province)

  • 전태하;최창욱;정한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65-74
    • /
    • 2000
  •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YoungDong county, ChungBuk province have tried and changed many things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since localization of extension services in 1997. The county Rural Guidance Office changed the name of the office as 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 (ATEC), and has been operated as a service center for all people who need help in agriculture. The recent efforts of the ATEC have been placed on eco-friendly agriculture and sustainable agriculture for prot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unty as well as production of safe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overcame difficult situations under the IMF, the ATEC has tried to find new ways for the extension services because of reduced extension educators under the IMF restructuring. The followings were a few examples of many efforts in various fields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in the rural county; 1) The ATEC has supported services to produce safe and high 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increase their high value through extension services for food processing. 2) The ATEC has opened experimental fields for farmers who want to learn new technologies to cultivate grapes, persimmons, apples and pests etc., specialty fruit trees in the county. 3) The ATEC has implemented many kinds of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tension educators to serve better.

  • PDF

친환경 식품 전문점의 점포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배송 서비스의 조절효과 (Effect of Eco-Friendly Food Store Attributes 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Moderating Effect of Delivery Service)

  • KIM, Jin-Kyu;PARK, Jong-Hyun;YANG, Jae-Jang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51
    • /
    • 2022
  • Purpose: The online market is growing the most in history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commerce. In addition, as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food safety, and environment increases,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in the case of a specialty store that sells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 marketing strategy that can increase customer loyalty by reflecting these consumer needs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store attributes of eco-friendly food stores are classified into location, assortment, price, quality, and employee service, and the effect of each store attribute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is investiga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ustomers who visited an eco-friendly food store. Of the 511 survey responses, 311 were us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excluding 200 who had not visited within the last 3 months. For statistical analysis, Smart PLS 3.0 was used, and after check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ssortment, quality, and employee service among store attributes had a positive (+) effect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Second, loc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hird, price did not appear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utilitarian value,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hedonic value. Fourth,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livery service had an effect on store attributes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employee service and hedonic value. Conclusions: Among eco-friendly food store environment management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food that meets the tastes and needs of consumers by diversifying the taste, standard, and quality grade of food, and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In order to unlike other stores, eco-friendly food stores have high price resist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so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promotional media such as YouTube and SNS to raise awareness of eco-friendly organic food.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 정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and Promotion Strategy of Lifetime Tracing(Traceibility)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RFID)

  • 김종삼;이국철;이성현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5-427
    • /
    • 2009
  • 정보화는 산업, 문화, 환경 등 많은 부분에서 변화와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정보화 기술의 가속화를 기반으로 U-시대로 발전하고 있는 현재 우리 사회는 RFID/USN기술을 적용한 산업 및 생활환경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U-city, U-eco, 모니터링시스템, 유통 및 물류의 위치추적 시스템 등 U-IT 발전은 RFID/USN 기술이 핵심이다. 농업분야 즉 농작물 재배부터 생산, 운송, 유통 등 많은 부분에서 RFID/USN기술 적용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RFID/USN기술 도입 전 후의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고, 동시에 RFID/USN기술을 이용한 국내 농산물이력추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경기 북부 내 직거래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Farmers' Market Produce in Northern Gyeonggi-do)

  • 임정화;박포현;임부건;유경신;강민성;송서현;강남희;유나영;김정은;강충원;김윤호;서정화;최옥경;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51
    • /
    • 2020
  • 경기 북부 내 직거래 매장에서 유통 되는 농산물 207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로컬푸드와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 매장을 대상으로 일반농산물 94건, 친환경농산물 113건의 다소비 채소류를 수거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GC/ECD, GC/NPD, GC-MS/MS, LC/PDA, LC/FLD, LC-MS/MS를 이용하여 263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검체는 모두 로컬푸드 매장에서 수거한 일반 농산물로 14건의(6.8%)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그 중 1건에서(0.5%) 잔류농약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총 16개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작물은 시금치, 얼갈이, 깻잎, 아욱, 오이, 부추, 미나리였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하였으며, %ADI 값의 범위는 0.0134-61.6259%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새만금 원예·축산단지 용수공급 방안 연구 (A Study on Water Supply Plans for Horticulture and Livestock Complexes within the Saemangeum Area)

  • 최경숙;김해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125-132
    • /
    • 2012
  •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is the world's largest tidal flat reclamation project. It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nd proceeding with phased developments. The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areas within the Saemangeum reclamed lands is also a part of this project. These areas will have multi-functional complexes aiming to produce mainly eco-friendly horticultural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for the purpose of export. The major concern is to obtain sufficient water with appropriate quality to supply to those are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provide available water supply plans for agricultural purpose, especially for horticulture and livestock complexes. Alternative methods for water supply are purifying water from the Saemangenm lake or using water supply services providing by K-water o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o find an economical water supply plan through comparisons of these methods. As a result,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with Saemangeum lake water could be advantageous for given water supply conditions to horticulture and livestock complexes.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분석 (An Analysis of Consumer's Taste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 이종성;오주성;손흥대;양원진;정원복;정순재;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3-441
    • /
    • 200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반응과 친환경 농산물 구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경험적 통계학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소비 확대와 친환경 농업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소비자들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주요 구입처, 친환경 농산물의 단점,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 등 구입 실태에 대한 것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친환경 농산물 구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ANOVA분석, 상관분석으로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성향 분석 결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구입이 있는 소비자는 전체 응답자의 88.2%였으며, 채소류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이유는 건강이나 질병치료를 위해서가 많았으며, 대부분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의 가격이 높아 구입이 어렵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리고 일반농산물과의 선호도에서는 85.8%가 친환경 농산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장래에도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 유통과정이 확실하면 계속 구입하겠다는 의견이 89.3%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에서 나타난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 저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재배 및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소비자에게 알려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철저한 품질인증 관리와 함께 관행재배 농산물이 유사 판매되지 않도록 하며, 잔류 농약으로부터 안전한 건강식품이라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 판로를 다양하게 하고, 고소득층이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일반 생필품과 함께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확대하는 한편, 생산 및 유통 판매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이 절감시켜 지나치게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지 않도록 하여 친환경 농산물이 일반 농산물보다 더 비싸게 받아야 하는 이유를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시하는 등 소비 확대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도 화성시 초.중학교 급식품 공급의 공간구조 (A Spatial Structure of School Meal Foo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Hwaseong City, Korea)

  • 윤찬란;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03-319
    • /
    • 2013
  • 본 연구는 화성시에 입지한 초 중학교를 사례로 하여 급식품의 원산지 공급지역의 계절별 변동을 파악하고 급식품 마일리지의 변화를 산출하여 그 공간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대상 학교의 급식품 대장이었고, 급식품 공급의 계절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3, 6, 9, 12월을 대상으로 했다. 화성시 초 중학교 급식품은 공급자들의 수의계약, 제한경쟁, 견적입찰로 4개의 급식품 공급의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지산지소의 화성시 곡식류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친환경 채소류, 국내의 친환경 채소류와 과일류, 일반 과채류, 해외의 수입산 가공식품과 농산물로 공급의 분화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를 식품 마일리지로 보면, 화성시를 중심으로 각각 약 17톤${\cdot}km$, 약 26톤${\cdot}km$, 약 11,000톤${\cdot}km$의 권 구조를 형성하여 급식품 공급의 공간구조는 곡식류와 친환경 농산물 및 수입산 가공식품과 농산물 공급량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Using UPLC-MS/MS

  • Cho, Il Kyu;Rahman, Md. Musfiqur;Seol, Jae Ung;Noh, Hyun Ho;Jo, Hyeong-Wook;Moon, Joon-Kw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8-374
    • /
    • 2020
  • BACKGROUND: The residual analysis of polar pesticides has remained a challenge.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simultaneously analyze multiple polar pesticides.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are typical examples of highly polar pesticides. The existing methods for the analysis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are complex and time consuming. Therefore, a simple, quick and effective method was developed in the represent study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meat and fat using UPLC-MS/MS. METHODS AND RESULTS: Sample extraction was carried out using acidified acetonitrile and water and re- extracted with acidified acetonitrile and combine the extracts followed by centrifugation. The extract was then cleaned up with a HLB cartridge after reconstitution with acidic acetonitrile and water. The method was validated in quintuplicate at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0.0015 and 0.005 mg/L, respectively. Matrix suppression effect was observed for all of the analytes. A seven point matrix matched calibration curve was constructed for each of the compound resulted excellent linearity with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 0.991.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method was calculated from the recovery and repeatability and ranged from 62.4 to 119.7%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less than 18.8%. CONCLUSION: The recovery and repeatability of the developed method were in the acceptable range according to the Codex Alimentarius guideline. The developed method can be applied for the routine monitoring of diquat, paraquat, and chlormequat in animal products, meat and f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