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ern idea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양명심학의 3대 강령 (The Three Theses in Yang-Ming Studies)

  • 선병삼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177-207
    • /
    • 2016
  • 본고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학문의 본령, 둘째 학문의 방법, 셋째 학문의 비전이다. 학문의 본령은 공부의 목적, 학문의 방법은 공부 방법, 그리고 학문의 비전은 공부의 달성 결과를 염두에 둔 표현이다. 학문의 본령으로 성인지학을 거론한 것은 양명심학의 목적이 성인지학임을 분명히 밝히고자 함이다. 양명학이 성인지학을 추구했다는 평가는 극히 상식적인 것 같지만 의외로 많은 경우 이에 대한 이해가 미묘하게 갈린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 데에는 신유학의 발단인 송대 이학이 성학을 강하게 추구했다는 것이 상식이 된 마당에, 주자학을 비판한 양명학이 성학을 확고하게 추구했다는 것은 언뜻 보기에 타당한 주장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학문의 방법으로 거론한 치양지가 양명학의 핵심 공부론임은 굳이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치양지 공부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에 있어서는 명대 양명후학들의 분화가 보여주듯이 다양한 견해가 병존한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주자가 즉물궁리설(卽物窮理說)를 제창한 이유를 밝힘으로써 주자학 공부론과 양명학 공부론에 대한 기존의 '일존일폐(一存一廢)' 식의 지리한 논의를 반성해보고자 하였다. 둘째는 치양지 공부론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범하는 실수를 검토해 보았다. 이는 양지학(良知學)을 올바로 이해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학문의 비전에서는 양명심학 안에서 천지와 한몸이 되는 경지를 추구하는 인(仁)의 철학을 살펴보았다. 통상적인 양명학 연구는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양명학의 의의 또는 한계를 논하는 것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서, 양명 철학 안에서 '만물일체지인(萬物一體之仁)'을 주목하는 경우는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본고에서 상정한 3대 강령들을 한편의 논문에서 다루는 작업은 필연적으로 철학 논문이 갖추고 있는 구체적이고 자세함의 미덕을 희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대신에 양명심학의 전체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그 핵심을 파악하고자 하는 비양명학 전공자들에게는 충분히 일독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회재(晦齋)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의 경세론적 이해 (A Confucius Political Economics Based Understanding of the Chungyongkugyongyonui(中庸九經衍義))

  • 김인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55호
    • /
    • pp.35-58
    • /
    • 2014
  • 이 논문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중용구경연의"를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회재는 16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일찍이 조한보(曺漢輔, ?~?) 사이에 벌어졌던 태극논쟁(太極論爭)은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을 조선에 정착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아울러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한 학자이기도하다. "대학"과 "중용"에 담긴 지치주의 이념을 군주(君主)에게 진헌하고자 저술된 책이 바로 회재의 "대학장구보유"와 "중용구경연의"이다. 회재는 수기(修己)의 도(道)에 속하는 조목에 있어서 "대학"이 "중용"보다 더 체계적이고 자세한 반면에 치인(治人)의 도(道)에 해당하는 조목은 "중용"이 "대학" 보다 더 구체적이라고 하여 '표리(表裏)의 관계'로 파악하고, 이 둘을 함께 보아야만 제왕위치(帝王爲治)의 규모가 갖추어 진다고 하였다. 특히 "중용구경연의"는 송나라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와 명나라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모방하여 당시의 군주였던 명종(明宗)으로 하여금 이제 삼왕(二帝三王)의 지치(至治)를 실현시킬 목적으로 저술된 책으로, 이는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동서양 종교와 철학의 기초 - '죽음'의 문제를 바라보는 두 눈 -

  • 유흔우
    • 대순사상논총
    • /
    • 제16권
    • /
    • pp.69-85
    • /
    • 2003
  • Death has been one of the basic objects in philosophy and religion. Why do people feel afraid about death? Maybe it is because they don't know the situation after death or because they have a wrong idea about it. Someone may think that he/she doesn't care the situation. But this attitude is wrong. We must understand that our attitude about life is shaped by our knowledge of the situation after death. A recurrent theme about death in popular thought is the idea that death is mysterious. As we have seen,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satisfactory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death. If it is impossible to analyse the concept of death, then it is impossible to explain precisely what we mean when we say that something dies. It might be said therefore that, in virtue of this fact, death is mysterious. Of course, death is not distinctively mysterious - all other unanalysable concepts are equally mysterious in this way. Reflection on death gives rise to a variety of philosophical questions. One of the deepest of these is a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death. Typically, philosophers interpret this question as a call for an analysis or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death. Plato, for example, proposed to define death as the separation of soul from body. However, this definition is not acceptable to those who think that there are no souls. It is also unacceptable to anyone who thinks that plants and lower animals have no souls, but can nonetheless die. Others have defined death simply as the cessation of life. This too is problematic, since an organism that goes into suspended animation ceases to live, but may not actually die. The eastern philosophers proposed to define death as the nonduality of life and death. Taoists, for example, do not believe in the Wheel of Life of the Buddhists nor in the Heaven or Hell of Christianity. Taoists view existence as glorious. The whole Universe, they teach, is a marvelous, vibrant Unity wherein everything, visible and invisible, pulses with energy and changes. As being develops through the experience of existence, its vessels are swept onwards by the mighty stream of the eternal TAO to other forms of expression and activity. Man does not die; he merely extends into new fields. Taoists teach that the end of a person is the return to the Ultimate Reality. "Life is uncertain - Death is certain": This is a well known saying in Buddhism. Knowing very well that death is certain and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everyone has to face, we should not be afraid of death. Yet, instinctively, all of us fear death because we do not know how to think of its inevitability. We like to cling to our life and body and so develop too much craving and attachment.

  • PDF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Visual Representations for Improving Proportional Reasoning in Solving Word Problems)

  • 임재훈;이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89-206
    • /
    • 2015
  • 비례 추론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학습 지도 개선 방향으로 시각적 표상의 활용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과서의 비와 비율,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에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표상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나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내용을 시각적 표상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시각적 표상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전개한다. 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은 각각 다중 묶음 관점과 변동 부분 관점에서 비례 맥락에 내재된 공변 관계와 불변성을 인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초등학교 교과서의 비례식 및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의 유형별로 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이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예시하였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 및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의 각 유형은 두 관점(다중 묶음 관점과 변동 부분 관점) 및 두 모델(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과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분석은 비례식과 비례배분 교재 구성 및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론(理論, Theoria)에 있어서의 실기의 의미 (The Meaning of Practice in Theory)

  • 강태성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호
    • /
    • pp.7-22
    • /
    • 2003
  • What is 'Art Theory'? In the western sense, the term poses a vague ambiguity, and in the eastern, it is rather an abstract and metaphysical concept. As for etymology, theory is derived from theoria and theoria from theoros. It refers to an act of viewing or seeing, of course not in a metaphysical sense. Plato understood it as 'eide'. During the time of Plotinus, theoria encompassed gazing at every possible reality, and this gazing, that is theoria, is closely related to reality as aunit that theoriacan perceive. However, we tend to distinguish, as other scientists of dualism have done, studio art from theory since a pre-modern approach to art has been particularly tuned to studio practice, set apart from theory. Therefore, in studio classes,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the subject based on the foundational curriculum methods such as medium, genre, technique:, rather than bringing out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discussing theories. As a result, students have become artists, who are not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art. Art professors who conduct class in studio are required to proceed with specific 'theories' as well as 'intellectual reflections'. In this respect, this thesis presents poiesis and an idea of 'acting out'. Although art history and aesthetic theory tend to view art as a finished product, actual art-making and related theories should not only be acknowledged as 'completion' (finition) but also be accompanied by theoretic interpretations of the act itself and process. Accordingly, it is to accept and appreciate art as finished result in view of current theory and aesthetics thus boils down to aisthesis. Likewise, poietics starts from a point where an artist is related to studio and examines the 'work process' that extends as far as to the exact end of work. Through the study of such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hat theory understands 'studio' and 'process', and an artist can grant an independent meaning to studio where s/he pours her/his heart out creating a work of art. Theory is a study on artistic discovery thus should be equipped with functions that can accommodate fortuity, imitation, thinking, culture, and surrounding.

  • PDF

양주전세문헌소견지의료무술고찰(兩周傳世文獻所見之醫療巫術考察) (A Research on the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in the Zhou Dynasty)

  • 조용준;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1-354
    • /
    • 2013
  • Objective :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through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in the Zhou Dynasty. The ancient shaman played a bridge role between human beings and supernatural things like ghosts. Even though he didn't have the super power, the ancients believed that he could take care of all kinds of illnes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dicine of the Zhou Dynasty was still under the shamanism although it had already started to be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Method : This article is going to look into the detailed aspects of the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for example, divination of illness, Zhuyou(祝由), shamanistic preventive medicine, and so on, through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of Zhou Dynasty. Result : The medical knowledge of that time stayed in the early stage, so it was simple and raw. Also it had scientific and unscientific characters in itself at the same time. That's why it could be included in the shamanism. And about the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seen on underground written attestations, they will be offered through another article of mine, entitled A Research of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on Underground Written Attestations in the Zhou Dynasty(兩周出土文獻所見之醫療巫術考察), which is being written now. Conclusion : From beginning of the Eastern Zhou period, the medicine gradually got to be specialized. And then specialized medical treatments and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began to be divided as the different two occupations. However, it is an unchangeable truth that the ancient sham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was in the very special position in th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양주시기중국의학적전업화소고(兩周時期中國醫學的專業化小考) (A Review on the Specialization of Chinese Medicine in Zhou Dynasty)

  • 조용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5
    • /
    • 2013
  • Objective :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The ancient shaman played a bridge role between human beings and supernatural things like ghosts. Even though he didn't have the super power, the ancients believed that he could take care of all kinds of illnes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dicine of Zhou Dynasty was still under the shamanism although it had already started to be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And it was the important role of the ancient shaman of that period that gave patients the shamanistic treatment on the ground of the specialized medical knowledge, which was commonly activated during that time. Method : This article is going to look into the detailed aspects of the specia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through the some kinds of written attestations of Zhou Dynasty. Result : The medical knowledge of that time stayed in the early stage, so it was simple and raw. Also it had scientific and unscientific characters in itself at the same time. That's why it could be included in the shamanism; the details can be offered through another article of mine entitled A Research of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on Written Attestations in the Zhou Dynasty(兩周時期的醫療巫術), which is being written now. Conclusion : From beginning of the Eastern Zhou period, the medicine gradually got to be specialized. And then the specialized medical treatment and shamanistic medical activities began to be divided as the different two occupations. Searching for various written attestations of that period, we can see lots of records about the specialized medicine treatment such a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the medical substances.

환동해(일본해) 권교통체계네트워크 (The Japan Sea (The Eastern Sea) Rim Traffic System Network)

  • 적지행진
    • 화약ㆍ발파
    • /
    • 제11권4호
    • /
    • pp.38-44
    • /
    • 1993
  • 환동해(일본해)권는 EC등과 같이 정치 ·경제 문화적인 면으로 하나의 이념하에서 형성된 권역은 아니다. 현재, 특히 냉전후, 5본은 대중제국과 지방 자치체나 민간의 레벨에서, 우의적인 면에서 경제적인 면으로 교류가 넓어지고 있다. 앞으로 국제적인 경제론 중으로 한 권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골격이 될 국제교류네트워크와 교통기관별 교통체계의 확립과 정비의 추진이 불가피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국의 국토계획 지역계획의 수정이 기본이 되고, 기술적으로는 국제해협등의 해양토목기술에 관한 연구와 관발, 그리고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구축기술의 연구와 자동차 ·전차등의 차량개발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번에는 이들의 교통체계와 교통시스템의 꿈에 대하여 기술자의 눈으로 본 방책등을 제기 한다.

  • PDF

환일본해(동해) 권교통체계네트워크 (The Japan Sea (The Eastern Sea) Rim Traffic System Network)

  • 적지행진
    • 한국기술사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사회 1992년도 제22회 한일기술사 합동 Symposium자료
    • /
    • pp.143-150
    • /
    • 1992
  • 환일본해(동해)권는 EC등과 같이 정치ㆍ경제 문화적인 면으로 하나의 이념하에서 형성된 권역은 아니다. 현재, 특히 냉전 후, 일본은 대안제국과 지방자치체나 민간의 레벨에서, 우의적인 면에서 경제적인 면으로 교류가 넓어지고 있다. 앞으로 국제적인 경제를 중심으로 한 권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골격이 될 국제교류네트워크와 교통기관별 교통체계의 확립과 정비의 추진이 불가피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국의 국토계획ㆍ지역계획의 수정이 기본이 되고, 기술적으로는 국제해협등의 해양토목기술에 관한 연구와 개발, 그리고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구축기술이 연구와 자동차ㆍ전차등의 차량개발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번에는 이들의 교통체계와 교통시스템의 꿈에 대하여 기술자의 눈으로 본 방책등을 제기한다.

  • PDF

이[슬(蝨)]를 소재로 한 고전산문의 전개양상 고찰 (A Study of Premodern Korean Proses with Lice as a Subject Matter: Their Story Developments)

  • 조상우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113-132
    • /
    • 2009
  •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이규보의 <슬견설(蝨犬說)>을 비롯하여 시기적 순서에 따라 조선 전기에 곽열의 <노인탐슬변(老人探蝨辨)>과 조선 후기에 유신환의 <소유(小喩)>와 허전의 <잡설(雜說)>을 중심으로 '이'가 어떤 의미로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규보는 <슬견설>을 통해서 크고 작은 것에서 오는 편견을 버리고 작은 미물들도 큰 동물과 마찬가지로 느끼고 생활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규보의 <슬견설>은 크기에서 오는 편견을 극복한 작품임을 규명하였다. 곽열은 <노인탐슬변>에서 몇 십 년 더 인생을 산 사람의 연륜이 중요함을 지적하고, 늙은이의 지혜가 때로는 젊은이보다 낫다는 주장을 하였다.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곽열이 노년에 자신의 처지와 심정에 대해 비유적으로 서술한 작품으로 추정하였다. 유신환은 <소유(小喩)>를 통해서 각자의 행동에 대해 나름대로 이해를 해주며 스스로 인식하기를 바라고 있으면서도 그 근본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역으로 주장하였다. 유신환의 <소유(小喩)>는 봉서자와 동자의 문답을 통해서 인간이 자신의 근본을 잊고 사는 것을 경계한 작품임을 밝혔다. 허전은 <잡설>에서 '이'의 생태를 설명하고, '이'가 사람에게 끼치는 죄가 무엇인지를 서술하였다. <잡설> 후반부에서는 '이'보다 인간이 더 나쁜 존재이고 임금과 간신을 '이'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어 혼탁한 시기에 충신이 없음을 역설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작품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