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quake magnitud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3초

단일 지진관측소의 지반가속도 구간 누적값 및 최대값 파라미터를 이용한 실시간 지진규모 추정 연구 (Real-time Estimation of the Earthquake Magnitude Using the Bracketed Cumulative and Peak Parameters of the Ground-motion Acceleration of a Single Station)

  • 연관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29-36
    • /
    • 2014
  • In industrial facilities sites, the conventional method determining the earthquake magnitude (M) using earthquake ground-motion records is generally not applicable due to the poor quality of data. Therefore, a new methodology is proposed for determining the earthquake magnitude in real-time based on the amplitude measures of the ground-motion acceleration mostly from S-wave packets with the higher signal-to-ratios, given the Vs30 of the site. The amplitude measures include the bracketed cumulative parameters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As). The cumulative parameter is either CAV (Cumulative Absolute Velocity) with 100 SPS (sampling per second) or BSPGA (Bracketed Summation of the PGAs) with 1 SPS. The arithmetic equations to determine the earthquake magnitude are derived from the CAV(BSPGA)-As-M relations. For the application to broad ranges of earthquake magnitude and distance, the multiple relations of CAV(BSPGA)-As-M are derived based on worldwide earthquake records and successfully used to determine the earthquake magnitude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pm}0.6M$.

지진특성 및 가옥의 노후도를 고려한 역사지진의 지진규모 추정 (Estmation of Magnitude of Historical Earthquakes Considering Earthquake Characteristics and Aging of a House)

  • 서정문;최인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10
    • /
    • 1998
  • 지진규모, 진앙거리, 지반조건 및 가옥의 노후도를 고려하여 역사지진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진진규모 6-8, 진앙거리 5 km-350km, 단단한 지반 및 연약 지반 특성을 갖는 18개의 인공지진파를 작성하여 우리 나라 전통 초가삼간에 대한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옥의 경년에 따른 노후도는 목조 프레임의 수평내력에 관한 이력특성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가정하였다. 초가삼간을 1질점계의 1자유도 모델로 모델링하였으며, 비선형 이력특성은 개량형 Double-Targe모델을 이용하였다. 해석결과 원거리 지진에 대해서는 지진규모, 지반조건 및 노후도에 상관없이 매우 적은 피해를 보였다. 중거리 지진의 경우 연약지반에서 규모 6.5 이상의 지진시 반파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근거리 지진의 경우 지반조건 및 노후도에 상관없이 규모 6.5 이상에서 반파 이상의 피해를 나타내었다. 우리 나라 역사지진의 규모는 약 6.2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에 적합한 지반가속도-진도의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 PDF

영월 및 인접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고찰 (Earthquakes occurred around the Yeongweol area)

  • 추교승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1997
    • /
    • pp.94-97
    • /
    • 1997
  • The December 13, 1996 Yeongweol earthquake of magnitude 4.5 was felt almost everywhere in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eju Island, even though not feld in Tsushima Island at other places in Japan near to Korea. Production lines of semiconductor disk in electronic engineering companies of Gumi manufacturing complex were seriously affected by the shake of this earthquake. Total 17 earthquakes of magnitude 4 or above occurred within the area of 50km radius from Yeongweol in the period from the year 1400 to 1996. This group of earthquakes includes 12 events of magnitude 5.0 or above and 3 events of magnitude 6.0 or above. Among these events, 13 earthquakes are historical events of years 1400-1904. Most of them occurred in 15-16 centuries. The February 21, 1596 Jungseon-Pyeongchang event of magnitude 6.5 is the largest one up to now in the area. There are four instrumental earthquakes (years 1905-1996) of magnitude 4.0 or above in this area. An earthquake of magnitude 4.4 occurred on 5th of November, 1919 at almost the same place as the December 13, 1996 earthquake of magnitude 4.5. Thus this event is preceded with the previous one by 77 years.

  • PDF

국내 지진규모를 고려한 케이슨 안벽의 지진시 수평변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ismically-induced Lateral Displacements of Caisson Quay Walls Considering Seismic Magnitude in Korea)

  • 박근보;차승훈;최재순;김수일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90
    • /
    • 2002
  • There are few earthquake records in Korea and the Japanese or American representative earthquake records have been generally used in the seismic design. In this study, some earthquake records which the range of earthquake magnitudes varies from 5.3 to 7.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ssess which record can rationally reflect Korean seismic characteristics. In this assessment, each seismic energy and acceleration spectrum were analyzed with the unified maximum ground acceleration. Several numerical analyses on Korean representative caisson structures were also carried out to compare each dynamic displacement. In these numerical analyses, soil conditions and the dimension of structure such as height and width were changed. Through this assessment, it is found that the compatible earthquake magnitude in Korea is lower than 7. From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es, it is shown that horizontal dynamic displacements corresponding to earthquake magnitudes over than 7 are quite larger than those below earthquake magnitude 7.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hat Korean seismic design guideline will refer earthquake magnitude criteri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conomical aseismic structure.

  • PDF

단층요소로부터 최대 잠재지진 평가에 관해서 (Estimation of the Maximum Potential Earthquake from the Fault Parameters)

  • 장천중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0
    • /
    • pp.33-40
    • /
    • 2000
  • The assessment of earthquake hazards involved consideration of earthquake magnitude, frequency, last movement and probability of occurrence. The appraisal of earthquake potential is feasible because historical data show a good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 size and the fault rupture parameters of length, displacement, and area.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fault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 earthquake potential magnitude.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earth quake potential by the fault behavioral patterns, based on the experimental background which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domains, such as strike, width, fault tip patterns, and orientation of secondary shears reflect sliding behavioral patterns in each section, the straight sections of A, D and E domains were examined to the creeping section of stably sliding. In contrast, the curved section of B domain was examined to the locked section of stick-slip movement. These results of studies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earthquake potential magnitude from the fault structural parameters.

  • PDF

기상청 지진 자료를 이용한 내진설계 지진규모의 신뢰구간 추정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of the Earthquake Magnitude for Seismic Design using the KMA Earthquake Data)

  • 조홍연;이기섭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62-66
    • /
    • 2017
  • 최근 발생한 기록적인 5.8 규모의 경주지진으로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규모에 대한 관심과 해안구조물에 대한 내진 설계검토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진규모 자료(규모 3.5, 4.0 이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모수적인 극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지진규모와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지진규모 4.0 이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재현기간 50, 100년에 해당하는 지진규모는 각각 5.81, 5.94, 추정 지진규모의 90% 신뢰구간은 각각 5.52-6.11, 5.62-6.29 범위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지진규모는 공간적인 지진위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규모를 극치해석과 가용한 자료의 한정된 기간을 반영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연안 구조물의 설계 관점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경상분지내 미소지진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Micro Earthquake Records Occurred in Kyungsang Basin)

  • 박정옥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41-48
    • /
    • 1999
  • Small earthquake records with magnitude 2.7-4.8 recorded in Kyungsang Basin during 1995-1997 were analysed. Total of 87 records consisted of 16 events instrumented at 11 stations,. Mean dominant period at each station mean zero period accel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th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a were analysed. Spectral value increases as magnitude increases and the predominant frequency band expands to low frequency zone as magnitude increases.

  • PDF

지진 기록의 확대(Scaling) 기법과 압력토오 말뚝모형실험에의 적용 (Scaling Technique of Earthquake Record and its Application to Pile Load Test for Model Driven into Pressure Chamber)

  • 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2호
    • /
    • pp.19-32
    • /
    • 1996
  • 시간영역의 지진 가속도-시간 이력을 주파수 영역의 courier 진폭-주파수 이력으로 변화시키는 Trifunac의 경험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 지진 관측소에서 측정된 임의 규모의 실제 지진기록들을 필요한 규모의 지진기록으로 유사화시키는 지진 확대 (scal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진 규모(M) 5.6의 지진기록을 이용하여 지진 규모(M) 8.0의 유사지진을 작성하여 동적 재하 시험 장치에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지진 확대 (scaling) 기법은 MMI(modified mercalli intensity), 지진기록 부지의 조건,진앙거리,지진 가속도 성분의 방향, 해석의 신뢰도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진 기록들에 적용가능하였다.유사지진은 수평방향의 성분들만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압력토조내에 설치된 모형인장말뚝과 개단압출말뚝에 대한 유사지진 진동에 의한 동적 말뚝재하시험이 가능하였다. 정적 말뚝재하시험시 인장말뚝과 압축말뚝의 거동은 매우 상이하였는데, 인장말뚝은 2~3회의 급작스런 미끄러짐 변위를 수반하였다. 또한, 유사 지진 진동중 인장말뚝과 개단압축말뚝의 거동특성은 매우 상이하였으며, 지지력 감소특성도 크게 달랐다.

  • PDF

구조물의 시간이력 지진해석을 위한 암반지진기록의 특성분석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of the Bedrock Earthquake Records for the Structural Time-History Seismic Analyses)

  • 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89-95
    • /
    • 2008
  • 최근까지도 많은 시간이력 지진해석이 연약지반의 증폭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연약지반 위 지표면에서 기록된 지진거동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합리적인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위해서는 지반조건을 고려하고 암반지진기록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를 위해 태평양지진연구센터(PEER)에서 제공하는 공개된 1557개의 지진기록 중에서 26개 암반지진기록을 선정하고 암반지진 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반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지진규모로부터 지진가속도를 추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며, PEER 데이터베이스 암반지진기록으로는 지진가속도, 지진규모, 진앙거리 사이의 일반적인 상관관계를 추정하는 것도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선정한 26개 암반지진기록은 구조물-지반체계의 시간이력 지진해석을 위해 암반지진기록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이 지진기록을 사용할 때에도 지진가속도, 지진규모, 진앙거리 및 지반조건이 유사한 지진기록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진도평가와 한반도의 지진에너지감쇠 특성 (Evaluation of intensity of 13 December 1996 Yeongweol earthquake and attenuation properties of Korean peninsula)

  • 조봉곤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1997
    • /
    • pp.21-26
    • /
    • 1997
  • For 262 locations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tensities of 13 December 1996 Yeongweol earthquake are estimated to make an isoseismal map and investigate attenuation propertie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e to the inherent uncertainties in the estimation of intensities, obtained intensity map show quite scattered pattern of intensity distribution. Estimated intensities range from III to possibly Ⅷ. In case of intensity larger than Ⅵ, considerable damages such as fracturing of walls are report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intensity map is, considering its magnitude 4.7 reported by KMA, the felt area is appeared to be unusually large covering most of the Korean peninsula except Cheju island. This result indicates ether the magnitude is underestimated or the focus of this earthquake is much deeper. Assuming shallow(less than 10km) intraplate earthquake, we obtained average magnitude 5.6 by using the area encircled by isoseismal contour lines from intensity IV to intensity Ⅶ. This ambiguity can be clarified if more reliable focal depth is estimated by using teleseismic earthquake records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