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dam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칡소 씨수소의 MC1R 유전자형과 자손의 모색 발현 (Sires' MC1R Genotypes and Coat Color of the Offspring of the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 박재희;이창우;이해이;최재원;최연호;권아남;지연희;김종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C1R genotypes of the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sires on the coat colors of their offspring. In this study, 15 Chikso sires with known MC1R genotypes were used for breeding in the Gangwon Province Livestock Research Center, the Chungbuk Institute of Livestock and Veterinary Research, and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Jeonbuk Institute of Livestock and Veterinary Research from either 2011 or 2012 to 2013. There were 6 sires with $E^+E^+$ genotypes and 9 sires with $E^+e$ genotypes, and their coat colors were all whole brindle (more than 50 of the body). Among the 90 calves produced in 2011~2013 or 2012~2013 from the 15 sires, 50 (55.6%) of them were females and 40 (44.4%) of them were males. Coat colors of the offspring were determined when they reached over 6 months of age. Calves with whole brindle, part brindle, brown and black coat colors were 42 (48.3%), 11 (12.6%), 18 (20.7%) and 16 (18.4%), respectively. Ratio of calves with whole brindle coat color was higher than any other coat colors. Among the offspring with whole brindle color, 20 (41.7%) calves were female and 22 (51.3%) calves were male. By determining the MC1R genotypes of the dams and calves in this study along the family lines, and investigating other genes that may be involved in the coat colors of the Chikso, better breeding system may be established to increase the brindle coat color appearance in the future.

흙댐의 누수구역 판별을 위한 물리탐사와 온도 모니터링 자료의 해석 (An Analysis of Geophysical and Temperature Monitoring Data for Leakage Detection of Earth Dam)

  • 오석훈;서백수;김중열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63-572
    • /
    • 2010
  • 흙댐에서의 누수 구역을 판별하기 위해 다채널 연속 온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물리탐사를 함께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사면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내부는 시간과 위치에 따라 상이한 온도 분포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분포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댐 구조물의 경우 과도 침투수나 누수에 의한 위험 대역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도 측정 방식은 대형 구조물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동시에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한 새로운 온도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하여 댐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실내 시험을 통해 누수 대역이 온도 분포의 이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음을 관측하였다. 또한 대상 댐의 전 구역에 걸쳐 전기비저항 조사를 수행한 결과와 온도 모니터링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누수구역의 판별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WAT-MODFLOW를 이용한 영덕 오십천의 지하댐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a Groundwater Dam in Osibcheon, using SWAT-MODFLOW)

  • 김종태;정일문;김남원;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79-186
    • /
    • 2011
  • 지표수와 지하수의 연계 해석은 지하수 이용에 의한 문제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건설 예정지인 경상북도 영덕군 오십천 유역의 현장조사 및 지하수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표수 및 지하수 연계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이용하여 지하댐의 지하수위 변화에 대해 해석하였다. 또한 지하댐 건설을 위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하댐 상부에서 양수를 하였을 경우 지하수위 변화를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한국형 지하댐 건설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확률론적 응답면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제체의 침투수량 해석 (The Analysis of the Seepage Quantity of Reservoir Embankment using Stochastic Response Surface Method)

  • 봉태호;손영환;노수각;최우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75-84
    • /
    • 2013
  • The seepage quantity analysis of reservoir embankment is very important for assessment of embankment safety. However, the conventional analysis does not consider uncertainty of soil properties. Permeability is known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larger than other soil properties and seepage quantity is highly dependent on the permeability of embankment. Therefore, probabilistic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for seepage analysis. To designers, however, the probabilistic analysis is not an easy task. In this paper, the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probabilistic analysis easily and efficiently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based commercial program is proposed. Stochastic response surface method is used for approximate the limit state function and when estimating the coefficients, the moving least squares method is applied in order to reduce local error. The probabilistic analysis is performed by LHC-MCS through the response surface. This method was applied to two type (homogeneous, core zone) earth dams and permeability of embankment body and core are considered as random variables. As a result, seepage quantity was predicted effectively by response surface and probabilistic analysis could be successfully implemented.

Hydraulic behaviour of dune sand-bentonite mixtures under confining stress

  • Gueddouda, M.K.;Lamara, M.;Abou-bekr, N.;Taibi, S.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권3호
    • /
    • pp.213-227
    • /
    • 2010
  • Compacted layers of sand-bentonite mixtur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in a variety of geotechnical projects as engineered barriers for the enhancement of impervious landfill liners, cores of zoned earth dams and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valorization of local materiel such as dune sand from Laghouat region and mine bentonite intended for the realization of liner base layers in the conception of insulation barriers for hazardous waste centers. In the practice we try to get an economical mixture that satisfies the hydraulic and mechanical properties specified by regulation rules. The effect of the bentonite additions on the mixture is reflected by its capability of clogging the matrix pores upon swelling. In order to get an adequate dune sand-bentonite mixture, an investigation on hydraulic and mechanical behaviours is carried out in this study for different mixtures. Using oedometer test, the adequate bentonite addition to the mixture,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s on permeability, is found to be around 12% to 15%. These results are also confirmed by direct measurement using triaxial cell.

여수로 구조물 하부 암반 내 발달한 절리들을 통한 지하수 누수량 분석 (Evaluation on the leakage of ground-water through fractured rock under a spillway)

  • 김형수;정의진;이주현;이중우
    • 지구물리
    • /
    • 제9권2호
    • /
    • pp.129-134
    • /
    • 2006
  • Recently, spillways are need to control stable water level for supporting main dams because of floods by unusual change of weather such as Typhoon Rusa.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amount of leakage through the rock mass distributed fractures and joints under the opened emergency spillway.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amount of leakage as these affect stability of spillway by interaction between effective stress and pore pressure. The commercial program MAFIC has been used for analyzing groundwater flow in fractured rock ma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of range, average and deviation of leakage were 2.85∼3.79×10-1, 3.32×10-1 and 1.70×10-2 m3/day/m2 respectively. Secondary, we have estimated the effect of grouting after the transmissivity(Tf) of joint 1 as main pathway of leakage known from above results was changed from 1.78×10-7 to 1.59×10-9 m2/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of range, average and deviation of leakage were 7.80×10-4∼1.53×10-3, 1.18×10-3 and 1.32×10-4 m3/day/m2 respectively. As the result, the amount of leakage after grouting has been decreased by a ratio of 1 to 277.

  • PDF

Liquefaction susceptibility of silty tailings under monotonic triaxial tests in nearly saturated conditions

  • Gianluca Bella;Guido Muss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3호
    • /
    • pp.247-258
    • /
    • 2024
  • Tailings are waste materials of mining operations, consisting of a mixture of clay, silt, sand with a high content of unrecoverable metals, process water, and chemical reagents. They are usually discharged as slurry into the storage area retained by dams or earth embankments. Poor knowledge of the hydro-mechanical behaviour of tailings has often resulted in a high rate of failures in which static liquefaction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dam collapse.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the static liquefaction of coarse soils in saturated conditions. This research provides an extension to the case of silty tailings in unsaturated conditions. The static liquefaction resistance was evaluated in terms of stress-strain behavior by means of monotonic triaxial tests. Its dependency on the preparation method,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the void ratio,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was studied and compared with literature data. The static liquefaction response was proved to be dependent mainly on the preparation technique and degree of saturation that, in turn, controls the excess of pore pressure whose leading role is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 Skempton parameter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A preliminary interpretation of the static liquefaction response of Stava tailings is also provided within the Critical State framework.

Earth-Rockfill Dam사면파괴에 대한 신뢰도 연구(I) (A Reliability Analysis of Slope Stability of Earth-Rockfill Dam)

  • 박현종;이인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3호
    • /
    • pp.21-3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복합 zone을 가진 rockfill dam성토 재료의 강도정수들과 core zone에서의 간극 수압의 불확정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성토 재료의 공간적인 변화의 불확실성, 시료수의 제한에 의 한 불확정성에 실험실 결과와 현장 결과와의 차이에 따른 model 오차의 영향을 고려한 종합적인 설계변수들의 불확정성을 규명하였으며 core zone의 간극수압과 rockfill zone의 내부 마찰각을 bayeg 이론을 이용하여 불확정성을 Updating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면 안정 해석에서 시공직후 상, 하류, 만수위 상, 하류 수위, 급강하 시의 2차원 사면안정해석 과 end effect 영향을 고려한 3차원사면 안정해석을 하였다. 본 목적을 위하여 복합 zone을 가진 rockfill dam의 사면 안정해석에서 end effect의 영향을 고려한 3차원 사면안정해석 Program인 "ESTABL"을 개발하였으며, 파괴 사면의 강도정수와 간극수압의 변동계수를 구하는 프로그램 "COV", 복합 zone사면 안전율의 변동계수를 구하는 프로그램 "PCOV"을 개발하였다. 사면안정해석 결과 3차원안전율이 2차원안전율보다 약 200A정도 크게 나타나므로 end restraint 효과가 상당히 큼을 알 수 있다. 3차원사면안정은 근본적으로 system reliability 문제이 므로 안전율의 평균간보다 그 불확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또한 기초설계 치로 설계 를 마친후 시공중 혹은 추가로 각종 계측치가 있을 때 updating 이론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증가시 킬 수 있음을 보여주며 강도계수의 변화에 의한 파괴확률의 변화는 점착력의 불확정성이 내부마찰 각의 불확정성보다 민감하게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찰 각의 불확정성보다 민감하게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PDF

벽체(壁體)의 변위(變位)와 토압분포(土壓分布)와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 -비점성토(非粘性土)의 지표면(地表面)이 경사(傾斜)질 경우- (A Study on the Effects of Later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on the Distribu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In the Case of Sloping Noncohesive Backfills-)

  • 조희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4
    • /
    • 1973
  • $C_{\small{OULOMB}}$$R_{\small{ANKINE}}$의 토압론(土壓論)에 기초(基礎)하여 중력식구조물(重力式構造物)이나 deflection 성구조물(性構造物)에 흔히 발생(發生)한 B형변위(型變位)에 대하여 연구고찰(硏究考察)함으로써 식(式) $$E=1/2\;H^2\frac{sin(u-{\varepsilon})cos({\alpha}+{\varepsilon})}{cos(u+{\alpha})}{\cdot}cot(u+{\rho})$$을 얻었는데 이식(式)은 토압재분배(土壓再分配)를 고찰(考察)한 식(式)이므로 실용도(實用度)가 높으리라 생각되며 본식(本式)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토압(土壓)은 벽고(壁高)의 자승(自乘)에 직비례(直比例)한다. 2. 토압(土壓)은 지표(地表)의 경사도(傾斜度)에 정비례(正比例)하며 벽체(壁體)의 변위(變位)에 반비례(反比例)한다. 3. 토압선도(土壓線圖)는 이차포물선(二次抛物線)으로 분포(分布)한다(그림 5의 b). 4. 토압강도(土壓强度)는 정수압적분포(靜水壓的分布)를 한다(그림 5의 c).

  • PDF

사력댐에서의 표면파 기법 적용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urface wave method to rock fill dams)

  • 김종태;김동수;박헌준;방은석;김성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1호
    • /
    • pp.9-23
    • /
    • 2010
  • 댐의 심벽부 및 사력부의 전단파 속도는 내진응답해석 시 매우 중요한 물성이나, 일반적으로 현장 시험을 통해 획득하는 사례가 많지 않았다. 시추공 탐사법의 경우 댐 체의 안정성 및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고, 표면파 기법은 열악한 현장조건 때문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영의 내진응답해석 시 현장 시험결과 없이 물성을 가정하여 적용하거나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력댐에서의 전단파 속도의 획득 및 신뢰성 있는 전단파 속도 측정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존하는 'M' 댐의 마루 및 사면에서 표면파 기법을 수행하였으며, 표변파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댐체 각 부의 전단파 속도를 도출하였으며, 수치해석과 탄성파 탐사 및 표면파 기법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사력댐에서의 표면파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