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stage tongue cance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구강 설 편평 상피 세포암의 임상적, 치료적 고찰 (Clinical and Therapeutic Aspec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 류삼열;이창걸;박인규;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05-110
    • /
    • 1987
  • 구강 내 설암은 설의 전방 삼분의 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치적 요법으로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같은 병기에서 두 요법간의 완치율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조기병소(T1, T2)에서는 이 두 요법간에 비슷한 국소 퇴치율을 보이므로 치료법의 선택에는 그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 손상 및 미용적 결손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큰 기능적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는 첨단부 및 배부의 작은 병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조기병소는 방사선 요법으로 정상적인 발성 및 연하작용을 유지하며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진행된 병소(late T2, T3) 중 하부 침윤이 심하지 않으면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치될 수 있으며 수술은 방사선 치료 후 재발암의 구원요법으로 유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의 방법으로는 외부 조사법 외에 자입요법 등이 있으나 최대의 국소 퇴치를 위해서는 자입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입요법으로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고 투여되는 선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국소 퇴치율의 향상을 기대하고 나아가 생존율을 높일 수 가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elective neck dissection on early (stage I, II)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tongue

  • Sung, Ki-Woong;Kim, Soung Min;Myoung, Hoon;Kim, Myung-Jin;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3호
    • /
    • pp.147-151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s of partial glossectomy with or without elective neck dissection in patients with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SCC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ongue SCCa and underwent partial glossectomy between 2005 and 2014 were evaluated. Only 14 patients received elective neck dissection, and 84 patients received only partial glossectomy. Results: There were 56 men and 42 women with a mean age of 57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of 33.7 months. There were 70 patients graded as T1 and 28 as T2. The total occult metastasis rate was 17.3%.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83.3% with elective neck dissection and 92.4% with observation.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in 70.7% in the elective neck dissection group and 65.3% in the observation group. Conclusi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98 patients with tongue SCCa.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underwent elective neck dissection and those who did no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undergoing partial glossectomy with or without elective neck dissection.

반대측 경부 림프절로 전이된 초기 설암의 치험례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EARLY TONGUE CANCER : A CASE REPORT)

  • 권명희;김성일;김평수;임대호;신효근;고승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376-379
    • /
    • 2009
  • Likely to be the most common or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SCC) of the tongue accounts for about 20% of all oral and pharyngeal cancers. SCC of the tongue frequently arises in the lateral border, and if it metastasize, it occurs on submandibular gland and neck lymph nodes. Location of the primary lesions and neck lymph node metastasis affect the prognosis and decreas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gue. The authors experienced the patient with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SCC of the tongue. The patient came to our department with chief complaint of elevated lesion on left lateral border of the tongue. The mass was diagnosed as $T_2N_0M_0$, Stage II invasive SCC of oral tongue. Computed tomography(CT) &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hich were taken before the operation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 of metastasis. Surgical mass removal and preventive neck dissection on the left side were done. While follow up PET/CT,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right side, level II) was detected, and re-operation(Rt. side RND) was done.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related with SCC of the tongu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uncommon case of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ccurred in the $T_2$-stage of SCC of the tongue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구강내(口腔內) 편평상피암(扁平上皮癌)에 관(關)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N THE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재승;정봉희;김용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23-33
    • /
    • 1990
  • A clinical study of selected patients with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were managed in the Department of Oral Oncology of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1982 to August 1989 was done.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les were involved more than females by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a ratio of 4:1. and most of the cases occurred in the 7th and 6th decades (69%). 79% of total patients and 92.5% of males were. 2. The mean duration of symptomatic period was 5.9 months. 3. The common symptoms were swelling (63%), pain (40%), ulceration (33%), and trismus (23%) 4. In the histologic findings, well differentiation comprised 58.0%. 5. The primary sites were the upper alveolar mucosa (32%), the floor of the mouth (21%), the lower alveolar mucosa (19%), tongue (14%), retromolar trigone (8%), palate (7%) and buccal mucosa (3%). 6. According to TNM system, Stage I, Stage II, Stage III, and Stage IV comprised 4%, 15%, 32%, and 49% respectively. 7. In the management of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surgeries were done in the 32 cases, 23 cases of which were managed by radiation therapy or chemotherapy concurrently. And radiation therapy alone was received in 35 cases. 8. Overall 3 and 5-year survival rates without regarding to stage were 27.6% and 21.4%. 9. 3-year survival rate of female patients was 47.2% and that of male patients was 22.6%. 10. 5-year survival rate was 53.9% for "early" cancer (stage I and II) and 15.6% for "advanced"cancer (stage III and IV). Survival rate of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cancer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p<0.05).

  • PDF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내에 발생한 설암 환자에서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경험 : 증례보고 (Conformal Radiotherapy in a Patient with Cancer at the base of the Tongue in a Previously Irradiated Area)

  • 조문준;김기환;김병국;송창준;김준상;김재성;장지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2
    • /
    • 2001
  • Objectives: We report an interim result of conformal radiotherapy in a patient with early stage cancer at the base of the tongue, which developed in a previously irradiated area. Materials and Methods: A 64-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4N0M0 supraglottic cancer. He received 72Gy of radiation therapy from 21 November 1988 to 24 February 1989. He had local failure and underwent a salvage total laryngectomy on 28 August 1989. Subsequently, he did well. In early 1999, he suffered from throat pain. He had a 2.5cm ulcerative mass at the base of his tongue, in the area that had been irradiated previously. Biopsy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After workup, he was diagnosed with base of tongue cancer with T2N0M0. Surgery was not feasible because the morbidity was not acceptable. Since it was difficult to re-irradiate the area with a curable dose using conventional 2D radiation therapy with an acceptable morbidity, we decided to try conformal radiotherapy. We used 7 static beam ports with field sizes from $7x6.4\;to\;8x8cm^2$, using 6 and 10MV photons. The fractionation regimen was 1.8Gy, 5 times per week. He received 64.8Gy in 36 fractions from 9 April 1999 to 1 June 1999. Results: In the 21 months since radiotherapy, the patient has not experienced any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such as xerostomia. He experienced relief of pain shortly after the start of radiotherapy, showed a complete response, and is still doing well. Conclusion: Conformal radiotherapy can be used to treat cancer that develops within a previously irradiated field, with curative intent.

  • PDF

구강암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for Oral Cavity Cancer)

  • 심재원;류성렬;고경환;조철구;윤형근;김재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67-275
    • /
    • 1993
  • 1985년 3월부터 1990년 9월까지 구강암으로 진단받고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85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방사선 단독치료가 37예였고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48예였다. 방사선치료 방법으로는 70예에서 $^{60}Co$와 전자선에 의한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시행하였고 조직내삽입 복합요법이 7예, oral cone추가사용이 8예였다. 전체환자중 설암이 40예로 가장 많았고 구강저부암이 17예, 구개암이 12예, 후구치삼각부암을 포함한 치육암이 10예, 구협암이 5예, 구순암이 1예였다. 병리소견상 편평상피세포암이 77예로 가장 많았으며, AJC TNM 병기에 의한 병기 I+II기는 28예였고 병기 III+IV기 환자의 3년생존율은 각각 $60.9\%$$23.1\%$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상 원발병소의 크기가 유의하였다(P<0.01). 기타 나이, 원발병소의 위치, 림프절 전이여부, 치료방법(수술여부), 조사선량, 종양세포의 조직학적 등급 등에 의한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중 치료방법에 따르면, 원발병소의 크기가 클수록, 혹은 림프절 전이여부를 막론하고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군에서 방사선 단독치료군보다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1). 결론적으로 조기구강암에서는 방사선 단독치료가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에 비해 비슷한 치료성적을 보이면서도 특히 해부학적, 기능적 장애를 야기하는 수술에 비해 더 효과적이며 진행성구강암에서는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가 적절하다고 사료된다.반응율은 높으나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국소관해율 및 생존율의 향상으로는 연결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진행된 비인강암에서의 화학요법은 좀더많은 비교대조군 연구(controlled clinical trial)를 통해서만 역 할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formance status(KPS), 침습부위, 수술적 제거여부 및 제거정도, 방사선치료선량, 방사선조사야, 화학요법 병행 여부에 따라 생존률을 분석한 결과 연령 (p=0.0121), KPS(p=0.0002), 조직학적 등급(P=0.0001), 수술적 제거 (p=0.0240)가 유의한 예후인자로 분석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천막하병소가 천막상부 병소에 비해, 부분조사가 전뇌조사에 비해 높은 생존률을 보이는 매개변수로 분석되었다.련된 생존율에 영향을 주었던 인자로는 나이 (p<0.0291), 병기(p<0.0001), 전신상태(p<0.0041), 초기 혈색소 수치 (p<0.0001), 강내 조사(p<0.0004)였고, 조직학적 소견(p<0.29), 유도 화학요법과의 병행치료(p<0.87)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

  • PDF

구인두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Results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Oropharyngeal Cancer)

  • 남택근;안성자;정웅기;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6
  • 목적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 또는 유도 화학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구인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치료방법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1월부터 1993년 4월까지 구인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47명의 환자들 중, 26명은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치료만을, 나머지 21명은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화학요법의 약제는 대부분 Cisplatin과 Pepleomycin으로 2회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환자 특성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MV-LINAC으로 1일 선량 1.8-2.0 Gy씩 원발병소에는 54.0-79.2 Gy까지, 경부 임파절 병소에는 병소의 크기에 따라 55.8-90.0 Gy까지 조사하였다. 추적 기간은 3개월에서 102개월로 중앙값은 20개월이었고, 연령 분포는 33세에서 79세로 중앙값은 58세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39\%$였고, AJCC에 의한 병기별 3년 생존율은 I기 (n=5), II기 (n=11), III기 (n=12), IV기 (n=19)에서 각각 60, 55, 33, $32\%$이었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별 3년 생존율은 T1+2, T3+4와 No, N+에서 각각 55, $18\%$ (p=0.005)와 43, $36\%$ (p>0.1)이었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 $43\%$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원발병소 부위별 3년 생존율은 편도암(n=32), 설근암(n=8), 연구개 및 구개수암(n=6), 인두벽암(n=1)에서 각각 36, 38, 67, $0=%$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편도암 환자 32명 중, 22명은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있었고 그렇지 않은 군(10명)과의 3년 생존을은 24 대 $60\%$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8). 전체 환자에 대하여 원발병소 부위, 원발병소의 병기,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 방사선 치료 기간, 나이, 유도 화학요법 사용 유무 등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원발병소의 병기만이 유의한 예후 인자였다. 결론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3년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이와 같은 치료방법으로 구인두암의 조기 병변, 특히 연구개암과 구개수암, 또는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없는 편도암에서 근치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진행된 병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나 유도 화학요법 대신 다분할 조사 또는 가능한 수술적 방법의 추가나 동시적 화학 방사선 병용요법 등 보다 적극적이고 다면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강인두 종양의 방사선 치료 성적 (Primary Radiotherapy of Oropharyngeal Carcinoma : Experience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1980. 1-1986. 12))

  • 박영환;박우윤;조철구;고경환;류성렬;심윤상;오경균;이용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89-198
    • /
    • 1990
  • 저자들은 1980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66명의 구강인두 편평상피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얻었다. 구강인두 종양의 원발 부위별 환자분포를 보면 편도부위 종양이 42예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 종양이 12예, 구강저 종양이 9예 그리고 측인두 및 후인두벽 종양이 3예순이었다. 구강인두 부위에 침범한 병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경우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국소관해율은 T1과 T2 그리고 T3와 T4 병기에서 각각 80%와 77% 그리고 73%와 40%였고 전체적으로 70%의 국소관해율를 보였다. 국소관해율은 원발병소의 병기가 낮을수록, 또한 원발부위로 볼때 연구개부위 종양에서, 그리고 분화도상에 미분화된 세포를 가진 경우에 가장 높았다. 국소적 임파선의 병기에 따른 국소임파관해율은 N1과 N2 그리고 N3 병기에서 각각 96%와 63% 그리고 40%였으며 전체적으로 70%의 국소임파관해율를 보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T1과 T2에서 73%, T3와 T4에서 46%였다(p<0.05). 또한, 편도부위에 생긴 종양의 경우 5년 생존율은 주위조직으로의 침범이 없는 군이 있는 군보다 통계적인 유의차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볼때 방사선 요법이 해부학적 형태 유지 및 기능적인 보존측면에서 구강인두 종양에 대한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