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gene

검색결과 1,299건 처리시간 0.036초

애엽(艾葉) 및 구진(灸津) 약침(藥鍼)이 일과성(一過性) 전뇌(前腦) 허혈(虛血) 손상(損傷)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Folium Artemisiae Argyi and Moxa Tar' Herbal Acupuncture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c Injury in Rats)

  • 김재효;이관형;안영남;김용득;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3호
    • /
    • pp.61-80
    • /
    • 2003
  • Objectives :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have been used to prevent and treat the cerebrovascular accident, such as a stroke, and many studi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ncerning to the stroke have been undertaken in the human and various animals. Recently, the new therapeutic tool, that is herbal acupuncture,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1950' and applied to various diseases including the cerebrovascular accid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erbal acupuncture are a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It was not well known the therapeut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herbal acupuncture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c injury, although it has been used frequently in clinics. Methods : In this study, effects of folium Artemisiae Argyi and moxa tar' herbal acupuncture on the $GV_{20}$, named Baek-Hue, on neuroprotection after the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were investigated in Sprague-Dawely rats. Expressions of cFos, FosB and BDNF protein in the hippocampus and cortex were observed at 2 hrs and 48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by immunohis- tochemistry and ELISA technique. Results : Expression of cFos protein was increased slightly in the hippocampus and cortex at 2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but FosB protein was increased highly comparing to cFos protein. However,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 or moxa tar' herbal acupuncture on $GV_{20}$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cFos protei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FosB protein compared to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se features were observed in the motor cortex and retrosplenial granular cortex as well as the hippocampus. Also,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 and moxa tar' herbal acupuncture on$GV_{20}$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DNF protein in the hippocampus and the cortex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48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 or moxa tar' herbal acupuncture on $GV_{20}$ has neuroprotective effect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and theherbal acupuncture on $GV_{20}$ may be related to antioxidative function.

  • PDF

Use of Real-Time Quantitative PCR to Identify High Expressed Gene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 Lee, Yong-Gyoo;Chun, So-Young;Lee, Hae-Ahm;Sohn, Yoon-Kyung;Kang, Ku-Seong;Kim, Joung-Ok;Yun, Sang-Mo;Kim, Jung-Wan;Jang,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1호
    • /
    • pp.69-75
    • /
    • 2006
  •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HNS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among men in the developed world affecting the tongue, pharynx, larynx and oral cavity. HNSCC is thought to represent a multistep process whereby carcinogen exposure leads to genetic instability in the tissue and accumulation of specific genetic events, which result in dysregulation of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cell loss and the acquisition of invasive capacity. Despite therapeutic and diagnostic progress in oncology during the past decades, the prognosis of HNSCC remains poor. Thus it seems that finding a biological tumor markers which will increase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monitoring rat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respect to improving prognosis. In an effort to identify gene expression signatures that may serve as biomarkers, this study several genes were selected, such as H3,3A, S100A7, UCHL1, GSTP1, PAI-2, PLK, TGF${\beta}$1 and bFGF, and used 7 HNSCC cell lines that were established various anatomical sites, and also 17 other cancer cell lines were used for control group using real-time quantitative RT-PCR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is with a monoclonal antibody. In this study, S100A7 showed a clearly restricted occurrence in tongue originated cell line, and GSTP1 expression level in the pharynx originated cell line was very increased, relative to corresponding other cell li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100A7 and GSTP1 genes' expression can occur during tongue and pharynx originated head and neck tumorigenesis and that genetic change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carcinogenesis process. This data indicate that S100A7 and GSTP1 expression pattern in HNSCC reflect both diagnostic clue and biological marker. And this is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ite-specific diagnostic strategies and treatments for HNSCC.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Apolipoprotein A-I cDNA의 구조, 분자계통 및 발현 특징 분석 (Characterization of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polipoprotein A-I: cDNA Cloning, Molecular Phylogeny and Expression Analysis)

  • 이윤호;노재구;김근용;조영선;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2
    • /
    • 2007
  • 우리나라 주요 담수어종인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로 부터 apolipoprotein A-I (apoA-I) cDNA를 분리하고 그 구조, 분자 계통 및 발현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꾸라지 apoA-I cDNA는 254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는 762 bp의 ORF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아울러 24 bp의 5'UTR 및 293 bp의 3'UTR(종결 코돈 및 poly A tail 제외)를 갖고 있었다. 미꾸라지 apoA-I은 여타 척추동물 apoA-I과의 다중배열 시 염기서열에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단백질의 구조적 특징은 높은 상동성을 보였고, 또한 척추동물의 apoA-I들과의 분자계통을 분석한 결과, 종래 알려진 분류학적 위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미꾸라지 apoA-I mRNA는 RT-PCR 분석을 통해 간 및 뇌 조직에서 분석한 다른 조직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간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 수정시부터 부화 후 14일까지 초기 발생 및 치어에서의 apoA-I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수정 8시간째부터 급격한 발현의 증가가 시작되어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유지하였다.

비소세포 폐암에서 C-erbB-2와 VEGF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C-erbB-2 and VEGF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신종욱;하경원;최재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유재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43-50
    • /
    • 2007
  • 배경 및 목적: 인체암에서 C-erbB-2의 과발현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지만, 임상적 의의에 대해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은 암의 진행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 폐암에서 C-erbB-2의 과발현의 의미, 암조직의 신생혈관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VEGF의 발현 및 두 표지자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파라핀 포매된 95예의 비소세포 폐암조직을 이용하여 avidin-biotin complex 법에 의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재료는 원발성 편평세포암종 60예 그리고 원발성 선암종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비소세포 폐암에서 선암종의 C-erbB-2의 과발현은 편평세포암종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임상병기에 따른 C-erbB-2와 VEGF의 과발현은 진행암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초기암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선암종에서 C-erbB-2와 VEGF의 발현은 유의하게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C-erbB-2의 과발현은 암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erbB-2의 과발현이 높게 나타나는 선암종에서는 이 성적과 암세포의 VEGF의 발현이 상관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첨가제의 종류와 동해방지제의 농도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D형 유생의 냉동보존 효과 비교

  • 조필규;최윤희;강경호;고강희;고창순;김병학;임한규;최철영;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7-82
    • /
    • 2002
  •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thylene glycol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circ}C$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1$^{\circ}C$/분의 냉동율로 -12$^{\circ}C$까지 냉동한 후 10분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식빙하고 -35$^{\circ}C$까지 재냉동한 다음, 즉시 액체질소통에 저장하였다. 1.0 M과 2.0 M ethylene glyc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첨가제별로 D형 유생을 냉동한 결과, 0.5 M sucrose에서 생존율이 각각 50.5 ${\pm}$ 1.3%, 51.9 ${\pm}$ 1.7%로 가장 좋았다. 0.5 M sucrose를 첨가한 ethylene glycol의 농도별 냉동에서는 2.0 M이 생존율 51.9 ${\pm}$ 1.7%로 가장 높았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생을 관찰한 결과, 냉동 전, 후 유생의 외부형태 및 세포내 구조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청개구리속 2조의 종분화에 관한 연구 (Speciation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Hyla (Anura) in Korea)

  • 양서영;박병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0
    • /
    • 1988
  • 한국산 청개구리속 2종의 종분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이들의 분포, 번식시기를 조사하고 7개 집단을 대상으로 형태 및 유전적 변이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Hyla japonica의 번식 시기는 4월 초에 시작되어 5월 초에 그 절정에 달하는 반면 H.suweonensis는 5월 하순에 mating call정취되고 번식 시기는 6월 중순에 절정에 달하여 이들사이에는 약 45일간의 차이가 있다. H.japonica는 남한의 전역에 넓게 분포하는 반면 H.suweonensis는 경기도 일원의 평야 지대에 국한되어 분포하였다. 7개 형질을 이용하여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를 실시한 결과 두 종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었다. 유전적 변이정도를 비교한 결과 H.japonica는 H.suweonensis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변이가 컸다. H.japonica의 집단 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893인 데 반하여 H.suweonensis의 집단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964로 집단간의 차이가 매우 적었다. 반면 두 종의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520으로 이 값은 일반적으로 양서류의 종 간 근연치와 일치하였다. 번식시기, 분포, 종내 집단간 유전적 차이, 분화년대 및 분포경로 등을 종합검토한 결과 H.japonica에서 H.suweonensis가 분화되었다고 추정되며 분화시기는 플라이오세 말기에서 플라이스토세 초기 사이로 추측되었다.

  • PDF

Rimmed vacuole을 가진 원위부 근육병증의 전체 엑솜 서열분석을 이용한 유전적 원인 규명 (Distal Myopathy with Rimmed Vacuoles Confirmed by Whole Exome Sequencing)

  • 서승돈;박형준;송현석;김혜진;박진모;홍영빈;정기화;최병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1-317
    • /
    • 2014
  • Rimed vacuole을 가진 원위 근육병(distal myopathy with rimmed vacuoles, DMRV)은 제2형 유전성 봉입체 근육병으로도 불리며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여 원위부의 근력약화를 보이는 임상양상과 rimmed vacuole의 근육병리소견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열성의 근육병이다. 이러한 DMRV의 원인은 UDP-N-acetylglucosamine 2-epimerase/N-acetylmannosamine kinase (GNE) 유전자의 돌연변이임이 밝혀져 있다. 저자들은 원위부 근력약화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을 이용하여 GNE 유전자의 복합 이형접합성 돌연변이(p.Asp176Val 및 p.Val572Leu)를 확인하여 DMRV를 진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근육병의 정확한 분자진단에 있어서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의 유용성을 보여주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Effects of 1,25-dihydroxyvitamin D3 o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like cells

  • Kim, Hyun-Soo;Zheng, Mingzhen;Kim, Do-Kyung;Lee, Won-Pyo;Yu, Sang-Jou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1호
    • /
    • pp.34-4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5-dihydroxyvitamin $D_3$ on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rix mineralization of MC3T3-E1 osteoblast-like cells in vitro. Methods: MC3T3-E1 osteoblastic cells and 1,25-dihydroxyvitamin $D_3$ were prepared. Cytotoxic effects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ssay, ALP staining, alizarin red S staining,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or osteogenic differentiation markers such as ALP, collagen type I (Col-I), osteocalcin (OCN), vitamin D receptor (VDR), and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Results: The MTT assay showed that 1,25-dihydroxyvitamin $D_3$ did not inhibit cell growth and that the rate of cell prolifer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at all concentrations. ALP activity was also higher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at low concentrations of 1,25-dihydroxyvitamin $D_3$ ($10^{-10}$, $10^{-12}$, and $10^{-14}M$). RT-PCR showed that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ALP, Col-I, OCN, and vitamin D receptor (VDR) were higher at a low concentration of 1,25-dihydroxyvitamin $D_3$ ($10^{-12}M$). Alizarin red S staining after treatment with 1,25-dihydroxyvitamin $D_3$ ($10^{-12}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degree of calcification. In contrast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formation of bone nodules was induced in the early stages of cell differentiation. Conclusions: We suggest that 1,25-dihydroxyvitamin $D_3$ positively affects cell differentiation and matrix mineralization. Therefore, it may function as a stimulating factor in osteoblastic bone formation and can be used as an additive in bone regeneration treatment.

위 선암종에서의 E-cadherin, $\beta$-catenin 및 c-Met 단백 발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Expression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in Gastric Adenocarcinomas)

  • 조성진;김민경;신봉경;민연기;조민영;서성옥;원남희;채양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92-99
    • /
    • 2001
  • Purpose: E-cadherin is an adhesion molecule essential for tight connection between cells, forming the cadherin/catenin complex. Truncated $\beta$-catenin disrupts the interaction between E-cadherin and $\alpha$-catenin, leading to the loss of intercellular adhesion. Met protein, the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plays important roles in signal transduc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ressio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 and the clinicopathological and prognostic parameters in gastric adeno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ter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 expression were studi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archival tissues from 76 surgically resected gastric adenocarcinomas. Results: Increased expressio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were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early gastric cancers (EGC) than in advanced gastric cancers (AGC) (P=0.002, P=0.003 and P=0.026). The positive immunoreactivities of all three markers were markedly lower in signet ring-cell type and poorly differentiated type lesions than in intestinal-type lesions. Decreased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protein correlated well with increased tumor invasion depth (P=0.039), and increased lymph node metastasis correlated well with reduced expression of c-met (P=0.046). Conclusion: In gastric cancers, reduced expressions of the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s may play some role in poorer tumor differentiation, deeper tumor invasion, and increased lymph node metastasis. Also, the c-met gene is thought to play a specific role in the mechanism of the yet unknown catenin action.

  • PDF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이 kainic acid에 의해 유발된 mouse의 해마체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ldahansotang after kainate administration in the mouse hippocampus area)

  • 김일환;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299
    • /
    • 1999
  • 1. 연구목적 kainic acid를 실험동물에 주입할 경우 간질발작을 일으키고 변연계 특히 해마체 부위에서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사람에 있어 측두엽성 간질에서 보이는 구조적 변화와 유사한 것이다. 본 실험은 신경독성 물질인 kainic acid로 마우스의 해마체에 손상을 유발하고 이 경우에 열다한소탕이 신경보호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고자한 것이다. 2. 연구방법 kainic acid를 경구투여하고 열다한소탕을 3주일간 복용시키면서 각각 1, 2, 3일과 1주, 3주에 조직을 관찰하였다. 조직손상은 해마체의 CA1, CA3과 thalamus, amygdala 등에서 c-fos 와 DNA fragmentation의 출현 율로 지표를 삼았으며 광학현미경하에서 육안적 관찰을 병행하였다. 3. 결과 및 결론 kainic acid만을 투여한 대조 군에서는 실험 3주째에도 손상지표인 c-fos 와 DNA fragmentation이 발견되었으나 열다한소탕을 투여한 실험 군에서는 실험 약 3일 째부터 손상지표의 발현이 줄어 7일째에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미경 하의 육안적 관찰에서도 실험초기 많은 손상을 보였던 신경세포가 2주일 후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열다한소탕이 kainic acid로 유발된 실험동물의 해마체손상에 대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 및 손상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