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 length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1초

하천변 농경지에서 질소 시비량 차이가 옥수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itrogen R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Maize in Agricultural Fields with the Stream)

  • 임정택;장재혁;노예진;류진희;정덕영;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01-108
    • /
    • 2014
  • 본 연구는 하천변 농경지에서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살펴보고 광합성 측정과 성분 분석을 통해 질소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하천변 농경지 재배에서 질소 시비의 필요성과 적정 질소 시비를 통한 수량 증대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질소 처리에 따른 옥수수 생육특성은 초장과 착수고의 경우 질소 시비량에 의한 큰 차이가 없었다. 광합성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36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옥수수의 NDF와 ADF 함량은 처리구간 차이 없었으며 NDF는 출웅 후 8일 이후 감소하였으며, ADF는 출웅 후 15일 이후 감소하였다. 옥수수 잎의 질소 흡수량은 출웅기에 36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이삭길이와 100립중의 경우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삭직경과립수의 경우 무처리구와 9 kg 처리구에 비하여 18 kg 처리구와 36 kg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과피는 18 kg 처리구와 36 kg 처리구에 비하여 무처리구와 9 kg 처리구에서 두꺼웠고,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8 kg 처리구, 36 kg 처리구, 9 kg 처리구가 많았다. 옥수수 종실의 전분함량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총당은 18 kg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아밀로펙틴은 18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아밀로오스는 18 kg 처리구에서 가장 낮아 18 kg 처리구에서 찰성이 가장 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하천변 농경지에서 옥수수 재배시 질소시비가 필요하며 가장 이상적인 질소 시비량은 10a당 18 kg 정도로 판단된다.

Alpha-1,3-galactosyltransferase-deficient miniature pigs produced by serial cloning using neonatal skin fibroblasts with loss of heterozygosity

  • Kim, Young June;Ahn, Kwang Sung;Kim, Minjeong;Kim, Min Ju;Ahn, Jin Seop;Ryu, Junghyun;Heo, Soon Young;Park, Sang-Min;Kang, Jee Hyun;Choi, You Jung;Shim, Ho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439-445
    • /
    • 2017
  • Objective: Production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alpha}GT$)-deficient pigs is essential to overcome xenograft rejection in pig-to-human xenotransplantation. However, the production of such pigs requires a great deal of cost, time, and labor. Heterozygous ${\alpha}GT$ knockout pigs should be bred at least for two generations to ultimately obtain homozygote progeni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alpha}GT$-deficient miniature pigs in much reduced time using mitotic recombination in neonatal ear skin fibroblasts. Methods: Miniature pig fibroblasts were transfected with ${\alpha}GT$ gene-targeting vector. Resulting gene-targeted fibroblasts were used for nuclear transfer (NT) to produce heterozygous ${\alpha}GT$ gene-targeted piglets. Fibroblasts isolated from ear skin biopsies of these piglets were cultured for 6 to 8 passages to induce loss of heterozygosity (LOH) and treated with biotin-conjugated IB4 that binds to galactose-${\alpha}$-1,3-galactose, an epitope produced by ${\alpha}GT$. Using 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cells with monoallelic disruption of ${\alpha}GT$ were removed. Remaining cells with LOH carrying biallelic disruption of ${\alpha}GT$ were used for the second round NT to produce homozygous ${\alpha}GT$ gene-targeted piglets. Results: Monoallelic mutation of ${\alpha}GT$ gene was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fibroblasts. Using these cells as nuclear donors, three heterozygous ${\alpha}GT$ gene-targeted piglets were produced by NT. Fibroblasts were collected from ear skin biopsies of these piglets, and homozygosity was induced by LOH. The second round NT using these fibroblasts resulted in production of three homozygous ${\alpha}GT$ knockout pigle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alpha}GT$-deficient miniature pigs could be reduced significantly by postnatal skin biopsies and subsequent selection of mitotic recombinants. Such procedure may be beneficial for the production of homozygote knockout animals, especially in species, such as pigs, that require a substantial length of time for breeding.

사일리지용 옥수수 포장에서 메꽃 (Calystegia, japonica) 방제를 위한 Dicamba 액제 적정 시용수준 구명 (Optimum Application Level of Dicamba Herbicide for Control of Calystegia japonica in Silage Corn Field)

  • 서성;정의수;김종근;강우성;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9-264
    • /
    • 1999
  • 본 시험은 메꽃(Calystegia japonica) 발생이 심한 사일리지용 옥수수 포장에서 제초제 처리수준에 따른 메꽃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여 적정 제초제 시용수준을 구명하고자, 방치구(대조구)와 dicamba 액제수준 ($0.75{\ell},\;1.0{\ell},\;1.25{\ell},\;1.5{\ell},\;2.0{\ell}$)를 달리한 6처리를 두고 1995년도에 수원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실시되었다. 공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은 DK729였으며, dicamba 액제는 옥수수 4~5엽기때 경엽 처리하였다. 방치구의 옥수수 생육은 잡초와의 경합으로 저조하였으며, 제초제 처리구에 비해 출수기와 출사기가 1~4일 정도 늦었다. 메꽃 방제효과는 dicamba 액제처리시 74.3~94.6% 범위였으며, 제초제 처리수준간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Dicamba 액제 $1.25{\ell}$ 이상 처리구에서 옥수수의 생육초기에 약해가 관찰되었으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으며, $2.0{\ell}$ 처리구는 약해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수량, 암이삭의 길이와 비율 등은 dicamba 액제 처리구에서 양호하여 방치구의 건물수량(4,866ka/ha)은 제초제 처리구(14,960~16,340kg)의 30% 수준에 불과하였으며(P<0.05), dicamba 액제 처리수준간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없었으나 $1.5{\ell}$$2.0{\ell}$ 처리구에서 수량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중 암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방치구에서는 21.6%로 낮았으나 제초제 처리구는 33.6~39.4% 범위였다. 제초제 처리구에서 방치구에 비해 옥수수 경엽의 조단백질과 NFE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으며, 조섬유함량은 낮아 잡초 방제로 사료가치 개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암이삭에서는 제초제 처리에 의한 사료가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메꽃 발생 옥수수 포장에서 메꽃의 효율적 제거를 위해서는 dicamba 액제 처리가 바람직하며, 옥수수에 대한 약해 없이 높은 방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정 dicamba 액제 처리수준은 ha당 $0.75{\sim}1.0{\ell}$ 였다.

  • PDF

내도복 다수성 종실 및 사일리지 옥수수 신품종 '평강옥' (A New Single Cross Maize Hybrid for Grain and Silage, 'Pyeongangok')

  • 손범영;백성범;김정태;이진석;황종진;권영업;지희정;허창석;박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3-208
    • /
    • 2012
  • 평강옥은 자식계통 KS160과 KS155의 교잡으로 육성된 다수성인 단교잡종이다. 2007~2008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9~2011년 3년 동안 4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규 우량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강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출사일수는 종실용 옥수수 대비품종인 장다옥 보다 2일 빠르며 사일리지용 옥수수 대비품종인 광평옥과 같다. 간장은 장다옥 보다 길며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100주당 이삭수는 장다옥 보다 많았다. 이삭길이는 장다옥과 비슷하였으며, 100립 중은 장다옥 보다 가벼웠다. 이삭비율은 광평옥 보다 낮았다. 후기녹체성은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깨씨무늬병, 흑조위축병 및 조명나방에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이며, 그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도복에는 광평옥과 비슷한 정도로 강하였다. 종실수량은 7.66톤/ha로 장다옥 보다 많았고, 건물수량은 19.80톤/ha로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TDN 수량은 13.32톤/ha로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4 1 (모본 : 부본) 재식비율에서 동시 파종하여 채종한 결과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다.

논과 밭에서 재배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영양가치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Hybrids Grown at Paddy and Upland Field)

  • 고영삼;하준영;배환희;손재한;강경민;손범영;정태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9-257
    • /
    • 2022
  • 본 연구는 논과 밭에서 재배한 18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들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 가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논과 밭에서 출사일수는 조숙종인 신황옥이 78일로 가장 짧았고, 강다옥이 92일로 가장 길었다. 그리고 논과 밭의 출사 일수 차이는 조숙종(6일)보다 중·만생종(10일)에서 더 크게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장은 논에서 재배한 옥수수가 밭보다 5~10% 감소하였지만, 착수고율은 10~15%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도복과 후기녹체성은 논과 밭에서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일리지 사료가치를 증진시키는 옥수수의 암이삭 비율은 신황옥이 논과 밭에서 55.5%, 47.8%로 가장 높았고, 대부분 품종들은 밭보다 논에서 10~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삭길이도 10~25% 감소하였다. 생초수량은 다청옥이 밭에서 65,750 kg/ha, 논에서 33,880 kg/ha로 최고 수량을 보였다. 생초수량과 유사하게 건물수량도 다청옥이 밭에서 26,910 kg/ha, 논에서 21,670 kg/ha로, TDN수량은 밭에서 18,040 kg/ha, 논에서 14,390 kg/ha로 최고 수량을 보여주었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단백질, 전분을 종실에서 분석한 결과 논과 밭에서 재배한 품종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잎과 줄기, 종실을 이용하여 ADF와 NDF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잎과 줄기는 밭에서는 P3394, P1543 같은 수입종이, 논에서 재배할 때는 신광옥, 다안옥 같은 국산품종이 낮을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실에서는 밭보다 논에서 ADF와 NDF 함량이 일부 품종에서 감소하였지만, 대부분 품종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논과 밭에서 재배한 옥수수 품종들의 사료 가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배수 관리 등을 통해 생육을 정상적으로 재배한다면 논에서의 옥수수 수량성을 확보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작은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의 외부 형태 및 두개골 형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nd Crani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sian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hantungensis))

  • 김태욱;박수곤;김유경;박준호;;김가람;박선미;이준원;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41-449
    • /
    • 2015
  • 본 연구는 한반도, 울릉도, 제주도에서 수집한 작은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의 외부형태와 두개골 형질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외부형태 비교 결과, 수컷은 HBL, TL, EL, HFL 등 조사된 모든 크기 형질에서 (p<0.05), 암컷은 HBL, TL, HFL에서 세 집단 사이의 유의차가 관찰되었다 (p<0.05). 제주도 집단은 HBL이 한반도 집단보다 약 8.0 mm 이상 더 길고, TL은 약 4.0 mm 이상 더 길었다. 두개골 형질에 대한 분석결과, 조사된 16개 형질 가운데 13개 형질에서 작은땃쥐 세 집단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p<0.05). 주성분 분석에서 결정된 2가지 주성분들은 두개골의 전반적인 크기와 좌우 너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판별 분석결과에서 두개골 형질에 의한 제주도와 한반도-울릉도 집단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제주도 집단이 한반도 집단에 비해 외부형태와 두개골이 더 크다는 본 연구결과는 C. shantungensis가 제주도로 유입된 이후 빙하기를 거치는 동안 성공적으로 제주도 환경에 적응하면서 형태적으로 분화되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섬 환경에 적응된 집단에서 나타나는 섬 법칙을 지지하고 있으며, 향후 섬 동물의 생물지리학과 생태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흉노(匈奴)의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Xiongnu)

  • 김용문
    • 복식
    • /
    • 제63권3호
    • /
    • pp.1-16
    • /
    • 2013
  • Xiognu people were the first of the Central-Asian nomads to establish a nation in 209 B.C. They always moved around looking for places to breed their animals and fertile grounds, so they wore clothes made of fur and leather and covered their tents with felt from the livestock.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literatures, costumes and the achievemen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Furthermore, to investigate on costumes excavated of Xiongnu, we visited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and the Hermitage Museum. A corn-hat made of felt, a felt hat with ear flaps and a golden crown with a bird on the top were unearthed from a tomb of Xiongnu in Inner mongolia. Women usually wore pigtails, and men wore pigtails or ponytails but they cut their hair short when holding a funeral. Many pigtails discovered in Noyon uul tombs can be considered as their funeral customs. The Xiongnu wore a round or v-neck caftan attached straight sleeves reaching knees in the left folded style, and because they always rode horses, having the length of the caftan not go past their buttocks would have made it more convenient for them. During the period of Western Han, Ho refered to Xiongnu and it became a common name for northern races. They used leather belts and an animal-designed buckle was found. Women commonly rouged their cheeks for a vivid and cute look, and many ornaments were excavated including bracelets, rings and decorations made of gold, silver, copper and jade, among which there were hair ornaments used to identify one's class. A horse pattern with wings and a horn of Golmod T20 was substitution for the Schythian use of deer. Patterns or shape of unearthed articles present in the Xiongnu culture in Noyon uul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Altaic, Greek and Persian cultures. The Xiongnu clothing was made of animals' skin and fur, woolen textiles and felt. It was folded to the left for upper garments, and the pants were adjusted using a belt and shoes were made of leather, which was very suitable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horse riding. Mobil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lothing.

Variations in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of sows during the post weaning period and its relation to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 Weng, Ruey-Che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7호
    • /
    • pp.1138-1147
    • /
    • 2020
  • Objective: A study was made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body surface temperature changes after weaning in sows, whether these can be used to aid detection of natural estrus and how they relate to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Methods: A total of 132 sows were selected during summer from a breeding farm, with mean parity of 3.6±2.3 and 28.5±0.9 days lactation length. Four daily measurements (6:00, 8:00, 16:00, and 18:00) of vulva (VST), udder (UST), ear base and central back skin temperatures for individual sows were taken by an infrared thermometer, continuing up to 8 days post weaning. Results: The VST obtained from sows showing estrus at 4 days post-weaning (4DPW), 5DPW, and 6DPW showed a peak at the fourth day post-weaning, but then started to decrease. The VST of sows not detected in standing heat (NDPW) remained at a lower level during the experiment, but UST was increased soon after weaning. The VST-UST temperature differences during daytime of sows that were showing behavioural standing heat on 4DPW, 5DPW, 6DPW, and 7DPW were 0.46℃±0.123℃, 0.71℃±0.124℃, 0.66℃ ±0.171℃, and 0.58℃±0.223℃, respectively. The NDPW sows had the highest UST observed, but also the lowest VST so that a more negative value of temperature difference (-0.31℃) was seen during first few days post-weaning. A total of 119 sows were observed to show standing heat and were bred. The later the estrus, the smaller the litter size (p = 0.005). Conclusion: Sows which did not show behavior indicative of stable standing heat after weaning had a VST which remained at a lower level, but the UST increased soon after weaning. Therefore, for sow heat detection under field conditions, the changes of VST and UST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etection.

Effects of Heart Fatty Acid-binding Protein Genotype on Intramuscular Fat Content in Duroc Pigs Selected for Meat Production and Meat Quality Traits

  • Uemoto, Yoshinobu;Suzuki, Keiichi;Kobayashi, Eiji;Sato, Syushi;Shibata, Tomoya;Kadowaki, Hiroshi;Nishida, Ak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622-626
    • /
    • 2007
  • Using multi-trait animal model BLUP, selection was conducted over seven generations for growth rate (DG), real-time ultrasound loin-eye muscle area (LEA), backfat thickness (BF),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MF) to develop a new line of purebred Duroc pigs with enhanced meat production and meat qual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a heart fatty acid-binding protein (H-FABP) gene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MF) of this Duroc purebred population. The present experiment examined the RFLP of 499 slaughtered pigs. The DNA was separated from the blood or ear tissue of the pigs, which were slaughtered at 105 kg of body weight. Intramuscular fat content of the longissimus muscle was measured using chemical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breeding value of IMF among the H-FABP PCR RFLP genotypes. The AA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larger positive effect on the IMF breeding value than do the Aa and aa genotypes for the MspI RFLP. In addition, the DD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greater positive effect on IMF breeding value than the Dd and dd genotypes for the HaeIII RFLP. For the HinfI RFLP, the hh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larger positive effect on IMF breeding value than the HH genotyp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MF breeding valu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three H-FABP genotypes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genotypes to variation in IMF breeding values was approximately 40%.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FABP RFLPs affect IMF in this Duroc population.

교잡종 찰옥수수에 대한 연구 -II. 새로 육성된 찰옥수수 교잡종 "대덕찰"에 대한 농업적 특성 (Study on Waxy Corn Hybrid -II.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Waxy Hybrids "Daedekchals")

  • 이희봉;김효기;김동욱;김준표;정재영;최현구;강윤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2호
    • /
    • pp.1-4
    • /
    • 2002
  • 1. 새로 육성된 4개의 대덕찰 찰옥수수 교잡종에 대한 간장은 대조구인 찰옥 1호보다 큰 반면에 개화기는 약 4~7일 늦었으며, 모든 공시 교잡종의 주당 분얼수는 한 개이하의 무효분얼로 나타났다. 2. 새로 육성된 대덕찰옥수수의 이삭길이와 직경은 대조구인 찰옥 1호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덕찰옥수수 1호와 2호의 과피두께는 대조구보다 얇았고, 당도 역시 높게 나타나 우수 교잡종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