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도축돈 장분변으로부터 Shiga Toxin-Producing Escherchia coli의 분리 와 성상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the feces of slaughtered pigs)

  • 송영환;김지영;채미경;박창식;김명철;전무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51-559
    • /
    • 2004
  •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causes various clinical signs in human and animals, and has been indicated as a global enteropathogen with zoonotic importance. In this study, the feces of healthy pigs were collected from the slaughtered pigs of Daejon abattoir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1 to October 2002. Of 326 specimens, 13 STEC were confirmed by culture, PCR and colony hybridization. The isolates were further studied for toxin types, pathogenic factors, plasmid profil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to characterize the genetic and toxigenic properties. In PCR, all of 13 isolates were evident to have shiga toxin gene (stx). Of 13 isolates stx1 gene was detected in 4 and stx2 gene in 9. The genes of eaeA, hlyA and rfbE were not present in any isolates. In colony hybridization using shiga toxin common primer (STXc), 2 to 9 per 100 colonies subcultured from 13 isolates showed the positive reaction. In the examination for plasmid profiles of the isolates, one to eleven plasmids with varying sizes of 1.0 Kb to 100 Kb were detected, and the 13 STEC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 plasmid patterns.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the isolates were comparably corresponded with the plasmid profile patterns.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iarrheic Piglets in Korea

  • Kim, Sung Jae;Jung, Woo Kyung;Hong, Joonbae;Yang, Soo-Jin;Park, Yong Ho;Park, Kun Tae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1-278
    • /
    • 2020
  •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는 신생 및 이유기 돼지설사의 주요 원인체로서 전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 큰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러한 E. coli가 보유하는 다양한 병원성유전자의 분포 및 특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163개 양돈농장에서 이유기 설사증 개체로부터 면봉스왑 샘플을 채취하여 동일 농장의 개체일 경우 5개에서 10개 정도를 혼합한 후, MacConkey agar에 배양하여 최종 API 32E system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분리된 모든 균주에 대해서 3 가지의 다른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총 13 종의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총 172개의 최소 한가지 이상의 병원성 유전자를 가지는 E. coli 균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병원성 유전자의 분포는 (1) fimbrial adhesins (43.0%): F4 (16.9%), F5 (4.1%), F6 (1.7%), F18 (21.5%), and F41 (3.5%); (2) toxins (90.1%): LT (19.2%), STa (20.9%), STb (25.6%), Stx2e (15.1%), EAST1 (48.3%); and (3) non-fimbrial adhesin (19.6%): EAE (14.0%), AIDA-1 (11.6%) and PAA (8.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국내 양돈농장의 이유기 설사증에 관연하는 E. coli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병원성 유전자의 조합도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Effects of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 Ahn, In;Kim, Sam-Hyun;Maeng, Woon-Young;Lee, In-Eae;Chang, Ki-Woon;Lee, Jong-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56-562
    • /
    • 2013
  • The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requires the soil condition of pH 4.2 ~ 5.2 and high in organic matters for stable growth. Most of soil types of blueberry-growing land in Korea, however, belongs to alkaline soils with low organic matter conte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blueberry growers use peat moss and sulfur powder heavily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but the guideline on the effective use of organic materials wa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stur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s by using organic materials. Among 5 organic materials, the pH of soil was lowest in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pH 4.1) and followed by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pH 4.5), OrganicAcid +vinegar (pH 4.7), Sulfur powder (pH 4.8),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pH 5.2).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 (8.4%) >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7.8%) > Organic Acid + vinegar (7.2%) > Sulfur powder ${\fallingdotseq}$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6.3%). Although different in the degree, all organic materials treated was recognized a good material for improving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of blueberry were no clear difference among 5 organic materials. Another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mending soils with organic matter by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organic cultiv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il pH by pine needle mulching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was recognized in four test fields. Pine needle mulching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appeared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of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refore, pineneedle mulching in blueberry organic farming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ans of mulching cultivation for amending soil pH, weed suppression and moisture conservation among mulching materials.

천연 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한 오디균핵병 및 뽕나무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Study on Eco-friendly Contro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s on Mulberry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 안인;맹운영;이인애;김삼현;유지원;장기운;김배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8-342
    • /
    • 2013
  • 오디균핵병에 대한 친환경농자재 방제효과시험에서 2012년 3월 초 석회유황합제 살포, 4월초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포장에서 미생물 2종과 천연물 4종 혼합제를 교호적으로 처리한 결과 7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2013년도에는 약제 살포간격을 줄이는 등 더욱 철저히 방제 하였음에도 발병이 극심하여 미생물제 및 천연물합제 모두 17~64% 범위로 전년보다 효과가 저조하였다. 부안의 동일한 시험포장의 동일 조건하에서 지오파네이트메칠 농약을 3회 처리한 대조구에서도 약효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한편 뽕나무이에 대한 천연식물추출물 친환경농자재의 방제효과는 고삼추출물, 데리스추출물, 고삼+데리스+님오일 3개 처리구 모두 방제효과가 88~95% 정도로 우수하게 나타나 천연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어 뽕나무이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우수한 시험결과라고 판단되므로 오디 친환경 재배농가에 조속한 기술보급이 요망된다.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배당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다양한 계량경제모형의 적용 (Foreign Stock Investment and Firms's Dividend Policy in Korea)

  • 김영환;정성창;전선애
    • 재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9
    • /
    • 2009
  •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의 국내 상장기업에 대한 지분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외국자본은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과도한 배당을 요구하고 경영권을 위협함에 따라 기업들은 자사주 매입에 치중하여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부정적 시각의 주장이 사회적 논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사실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당수의 연구가 외국인 지분이 배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행 연구가 기업의 고유효과를 통제하지 못하거나 변수들 간의 역인과 관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등 분석방법론적 측면에서 한계점을 갖으며, 배당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들도 각기 상이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당을 측정하는 변수로 배당성향(현금배당/당기순이익), 배당률(현금배당/총자산), 그리고 배당수익률(현금배당/시가총액) 등 세 가지 변수를 대상으로 정태적 동태적 패널모형, 패널 벡터자기회귀모형 등 다양한 패널자료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지분이 배당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배당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지분의 증가가 총자산 대비 배당액을 증가시키나, 이는 기업이 창출한 수익에 대하여 배당을 증가시킨 것과는 무관한 것이다. 또한, 배당수익률은 시가기준으로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한 뒤 실질적으로 얻게 되는 배당수익률을 의미함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단기적 이익에 집착하여 고배당을 유도한다는 주장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지분이 배당수익률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하나, 분석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지분의 증가가 고배당을 유도하였다는 주장을 지지하지 않는다.

  • PDF

모바일 웹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WINC 확장 번호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WINC expansion number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mobile web service)

  • 심근호;고희애;김종근;조미화;임영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2011
  •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된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이동통신사의 자사 중심의 폐쇄적인 플랫폼과 콘텐츠 하나당 수천원이 드는 비싼 이용료 때문에 그동안 모바일 웹 관련 시장의 성적은 지지부진했었다. 그러나 최근 무선 인터넷의 질적 향상과 휴대폰 단말기의 발전, 이동통신사에서 앞다 투어 내놓은 무선 인터넷 정액요금제에 힘입어 모바일 웹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모바일 웹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전기가 찾아온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선 인터넷, 즉 모바일 웹의 이용이 불편하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요금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고 있는 지금, 어려운 접근 방식과 적고 부실한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모바일 웹의 이용을 외면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모바일 웹 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접근 방식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제공하는 WINC 번호를 이용한 WINC 확장 번호 시스템이다. WINC 확장 번호 시스템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제공하는 WINC 번호를 확장 시킨다는 개념인데, 특정 WINC 번호로 접속하면 모바일 웹 포탈 사이트가 있고, 사용자들을 자신이 부여받은 확장번호를 이용하여 개인 모바일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WINC 확장번호 시스템을 이용하면 WINC 번호를 구매하여 모바일 웹 사이트를 제작하는 것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모바일 웹을 제작하고 이용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웹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하려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전기로 분진이 첨가된 유리의 중금속 안정화 특성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Glasses Containing EAF Dust)

  • 은희태;강승구;김유택;이기강;김정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51-857
    • /
    • 2004
  • 전기로 제강분진(EAF dust)이 첨가된 규산염 유리, 붕규산염 유리 그리고 납규산염 유리 내의 중금속 안정화 특성을 독성용출 시험법(TCLP)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XRD와 FT-IR 방법을 통하여 EAF dust 첨가량에 따른 유리의 구조변화가 TCLP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모유리에 EAE dust를 30 wt%까지 첨가하여도 규산염 유리, 붕규산염 유리, 납규산염 유리 계열의 시편 모두 결정화가 발생되지 않고 비정질을 나타내었다. TCLP법에 의한 유리시편의 중금속 용출량은 EAF dust의 첨가량과 함께 증가되었다. 중금속 용출이 가장 적은 시편은 규산염 유리 계열이었으며 납규산염 유리 계열의 시편은 붕규산염 유리 계열에 비해 중금속 용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단, 납규산염 유리 계열 모유리 조성에 포함되어 있는 납의 영향으로 Pb용출은 납규산염 유리 계열시편에서 가장 많았다. Oxygen/network former ratio 값을 이용하여 같은 계열 시편 간의 화학적 내구성을 비교할 수 있었으나 다른 계열 시편 간에는 적절치 않았다. EAF dust가 첨가되면 규산염 유리 계열의 시편에서는 유리구조 내 Si-O-Si 대칭성이 감소되고 비가교 산소가 증가되어 유리의 구조를 약화시키고 화학적 내구성을 감소시켰다 붕규산염 유리 계열 시편에서 EAF dust가 첨가되면 tetraborate group이 diborate group으로 변화되고 2차원 층상구조인 pyre-와 ortho-borate도 형성되어 결국 구조약화를 가져왔다. 3가지 계열의 유리조성 중에서 EAF dust내의 중금속들을 안정화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규산염 유리 계열의 시편으로 판단되었다.

Meat Tenderizer 제조에 관한 연구 -(제1보) 시판(市販) meat tenderizer의 연육효과- (Study on Meat Tenderizer -Part 1. Tenderizing ability of commercial meat tenderizer-)

  • 양융;김건화;이정희;윤정의;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1-228
    • /
    • 1975
  • 고기는 그 품질은 논할 때 tenderness가 주요 항목이 된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meat tenderizer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plant origin proteolytic enzyme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역우(役牛)로써 사용되어온 소를 도살하여 우육(牛肉)을 공급하는 비율이 크므로 질이 낮은 우육(牛肉)을 이용할 때는 특히 meat tenderizer의 이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가격이 저렴한 meat tenderizer의 제조가 요청되므로 본 연구실에서는 그 제조연구를 위한 조사연구로 시판(市販) meat tenderizer의 연육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1. Commercial meat tenderizer의 protein함량은 4.9%(Kjeldahl법(法))로 $E^{1%}_{1cm}\;basis$로 계산하면 $1{\sim}2%$에 지나지 않았다. 2. 기질과 연육소의 비율이 4 : 1, 온도가 $40^{\circ}C$ 이상에서 연육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3. 시판(市販) meat tenderizer의 substrate-selectivity는 $casein{\gg}$ water-soluble muscle protein> myofibrillar protein의 순으로 보다 개량된 meat tenderizer의 제조가 요구된다고 생각되었다.

  • PDF

광주지역 한우 분변 내 설사병 병원체 조사 (Prevalence of enteropathogens in the feces from diarrheic Korean native cattle in Gwangju area, Korea)

  • 고바라다;김효중;오아름;정보람;박재성;이재기;나호명;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3-112
    • /
    • 2019
  • Calf diarrhea is a common disease in young claves and is still a major cause of productivity and economic loss in livestock farms. Fecal samples from Korean native cattle (n=100) with diarrhea from 64 farms in Gwangju area, Korea from september 2017 to December 2018 were examined for shedding of important protozoan parasitic, viral and bacterial pathogens using culture, rapid test kit and PCR methods. Of 57 (89.1%) of the 64 Korean native cattle farms examined had samples inf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vestigated pathogens. Among 100 fecal samples, 88 samples were positive for at least one the twelve pathogens and 51 samples were simultaneously positive for two or more pathogens by culture and PCR assay. Bovine group A rotavirus (BRV)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found in 43/100 (43.0%) samples on 32/64 (50.0%) farms. Subsequently, kobuvirus (30.0%), pathogenic E. coli (29.0%), bovine parvovirus (17.0%), Giardia spp. (13.0%), Eimeria spp. (10.0%),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8.0%), bovine torovirus (8.0%), bovine viral diarrhea virus (6.0%), bovine coronavirus (5.0%), bovine norovirus (2.0%) and Cryptosporidium spp. (2.0%) were detected. Nebovirus, kırklareli virus, bovine adenovirus, Salmonella spp. and intestinal parasites were not detected. Of the 72 calves sampled in this age group, 64 (88.9%) samples were positive for at least one enteropathogen. BRV was identified in 34/72 (47.2%) samples from 27/48 (56.3%) farms. Subsequently, pathogenic E. coli (30.6%), kobuvirus (29.2%), BPaV (22.2%), Giardia spp. (15.3%), Eimeria spp. (9.7%), BVDV (6.9%), Cl. perfringens type A (6.9%), BCoV (4.6%) and Cryptosporidium spp. (2.8%) were detected in fecal samples. A total of ninety-six strains of E. coli were isolated from one hundred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Korean native cattle with diarrhea. The presence of stx1, stx2, eaeA, LT, STa, STb, ehxA, saa, F4, F5(K99), F6, F17, F18 and F41 genes in the isolates was investigated by PCR. Out of ninety-six E. coli isolates screened for specific genes, 30 strains E. coli were identified to harbor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7 (7.3%),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8 (8.3%),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6 (6.3%), enterotoxigenic E. coli (ETEC) 2 (2.1%) and STEC/ETEC hybrid 7 (7.3%). This study provides epidemiologic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Korean native cattle's enteropathogens in Gwangju area, Korea, which would be used for cattle farmers and veterinarians to select appropriate therapeutic method.

규회석(珪灰石)의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수도(水稻)의 규산흡수(珪酸吸收)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Wollastonites on Silica Uptake by Rice Plant)

  • 이윤환;최대웅;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21-226
    • /
    • 1973
  • 현(現) 비료(肥料) 공정규격(公定規格)에 보증성분(保證成分)이 미달(未達)되는 규회석(珪灰石)의 비효(肥效) 및 규회석(珪灰石)의 가용(可溶)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을 검토(檢討)코져,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상이(相異)한 수종(數種)의 규회석(珪灰石) 및 규회석(珪灰石)과 가용성규산(可溶性珪酸)을 함유(含有)하지 않은 암석(岩石)의 혼합분말(混合粉末)을 광재(鑛滓)와 대조(對照)하여 벼에 대한 재배시험(栽培試驗)을 수행(遂行)하여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하고, 공시(供試) 규회석(珪灰石)을 수종(數種)의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하여 규산가용율(珪酸可溶率)과 식물체(植物體)가 흡수(吸收)한 규산함량(珪酸含量)과 상관관계(相關關係) 및 규회석(珪灰石)의 X-선회절분석(線回折分析)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N/2 HCl)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일수록 식물체중의 규산함량 및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2. 광재(鑛滓) 처리구(處理區)의 벼 짚중(中)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4.1%인 규회석분말구(珪灰石粉末區)와 같이 가장 낮았다. 3.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에 잡석(雜石)을 혼합(混合)하여 시비(施肥)하여도 수도체(水稻體)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동량(同量)의 가용성규산함량(可溶性珪酸含量)을 함유(含有)한 규회석(珪灰石)과 같은 효과이었다. 4. 각종(各種)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된 가용규산(可溶珪酸)과 짚중(中) 규산함량(珪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었으며 N/2염산(鹽酸) 침출규산(浸出珪酸) 분석법(分析法)도 규회석(珪灰石)의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으로써 충분(充分)히 사용(使用)될 수 있는 방법(方法)이었다. 5. 규회석(珪灰石)의 X-선(線) 회절(回折)은 규회석(珪灰石)의 조성(造成)을 찾아낼 수 있으며, 결정(結晶)이 불량(不良)한 규회석(珪灰石) 일수록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