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G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9초

2개 대비 1개의 난할기 선발배아 이식에 따른 임상 결과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Compared to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Performed at the Cleavage Stage)

  • 강상민;이상원;정학준;채수진;윤산현;임진호;이성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49-359
    • /
    • 2010
  • 목적: 시험관아기 시술에서 3일째의 배아들 가운데 우수한 배아를 선발하여 1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eSET)한 주기와 2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eDET)한 주기의 임상적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대구마리아에서 첫 번째나 두 번째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를 시행한 36세 미만인 환자들 가운데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 이상이고 정상적인 수정란이 3개 이상이면서 적어도 1개의 우수한 배아를 지닌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SET는 167주기에서 실시하였고 eDET는 163주기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eSET군의 임상적 임신율, 진행 임신율 및 출산율 (각각 53.3%, 47.3% 및 44.9%)은 eDET군의 것들 (각각 60.7%, 54.6% 및 50.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착상률은 eSET군이 eDET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각각 53.9%와 40.2%, p<0.001), 쌍태아의 임신율은 eSET군이 eDET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각각 1.1%와 32.3%, p<0.001). 또한, 잉여배아들을 유리화하여 보관하게 된 환자의 비율은 eDET군보다 eSET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을 뿐만 아니라 (각각 68.7%와 89.2%, p<0.001), 환자당 보관된 잉여배아의 수도 eSET군에서 eDET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각 $3.2{\pm}2.6$$2.1{\pm}2.4$,p<0.001).결론: 채취당 임신율을 높이고 다태아의 임신에서 기인한 합병증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원한 첫 번째나 두 번째 IVF-ET 환자들 가운데 36세 미만이고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이상이며 3일째에 우수한 배아가 하나만 있더라도 eDET보다 eSET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Viualization of Progesterone Binding to Plasma Membrane of Xenopus Oocytes

  • Ju, Jung-Won;Im, Wook-Bin;Kwon, Hyuk-Bang;Choi, Hueng-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1호
    • /
    • pp.51-57
    • /
    • 2001
  •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oocyte maturation is induced by an immobilized progesterone, progesterone-3-carboxymethyloxime - bovine serum albumin conjugate (P-BSA) in Rana dybowskii.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maturation inducing activity of P-BSA on Xenopus oocyte and examined the binding character of the immobilized progesterone on the surface of Xenopus oocytes after removal of the vitelline layer. P-BSA induced maturation of Xenopus oocytes but E-BSA failed to do so as observed in Rana. Binding of the immobilized progesterone, fluorescein isothiocyanate-labeled progesterone-3-0-carboxymethyloxime-BSA (P-BSA-FITC) on the devitellined oocytes surface was examined by fluorescence confocal microscopy. The binding affinity of P-BSA-FITC to the devitellined oocyte was higher than that of estrogen-BSA-FITC (E-BSA-FITC) or testosterone-BSA-FITC (T-BSA-FITC). The binding disappeared in the presence of excess free progesterone but not in the presence of free estrogen. Maximum binding occurred after two-hours of incubation with P-BSA-FITC at pH 7.5. Stronger binding occurred in oocytes at stage Vl than stage IV, and in vitro treatment of hCG enhanced the binding.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pecific receptor for progesterone exists on the plasma membrane of Xenopus oocytes and that progesterone acts initially on this putative receptors and triggers generation of membrane-mediated second messengers during the early stage of oocyte maturation In amphibians.

  • PDF

생쥐의 생식소 분화과정중 난소내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ene in Mouse Fetal Ovary during Gonad Differentiation)

  • 윤성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2호
    • /
    • pp.189-202
    • /
    • 1997
  • The hypothalamic peptide GnRH plays a central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mammalian reproductive axis.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GnRH stimulates or inhibits the ovarian steroidogenesis and gametogenesis directly. Our previous report indicated that GnRH gene is expressed in adult rat ovary as well as in hypothalamus and that the expressed GnRH may induce the follicular atresia and apoptosis of ovarian granulosa cells in rat. Therfore, we studied whether GnRH gene is expressed in the mouse fetal ovary, when the germ cells are degenerating by apoptosis during gonad diffeerentiation. Mouse fetal gonads were obtained on the 12, 15,18 and 20th day of gestation from the mother mice superovulated (10 IU PMSG and 10 IU hCG) and m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fetal ovaries were examined histochemically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The fetal sex was confirmed by PCR methods for sexing. RT-PCR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GnRH gene and the sex steroid hormones were determined by conventional radioimmunoassays. The levels of estradiol (E) and progesterone (P) were increaseduntil 18th day of gestation and then E was decreased just before parturiti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fetal gonadal tissue sections showed the ovarian development and coincided with the result of PCR analysis for sexing using ovary- or testis-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Immunoreactive GnRH in placenta was decreased gradually until the end of gestation but fetal brain and ovarian GnRH were increased. The level of GnRH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during fetal ovarian development from 12 till 18th day and decreased suddenly on 20th day just before birth.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ovarian GnRh may play a regulatory role on the germ cell differentiation of fetal ovary.

  • PDF

녹차 염색 견포의 카테킨 함량 및 색상변화 (Catechins Content and Color Values of Silk Fabrics Dyed with Korean Green Tea Extracts)

  • 손지현;이명선;천태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9
    • /
    • 2006
  • Despite several recent attempt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individual catechins by HPLC, it has not been so easy to separate catechins accurately.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provide a proper condition for separating each component of catechins by HPLC analysis, and also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ing color differences, and metal ion contents after dyeing and mordanting. Four kinds of Catechins, (-)-epicatechin(EC), (-)-epicatechin gallate(ECG), (-)-epigallocatechin(EgC), (-)-epigallocatechin gllate(EgCG) were isolated from the residues after dyeing. Catechins in Korean green tea leaves are richer when e tea leaves are younger. Higher concentration of catechins owes it to e way it is processed. The contents of catechins adsorbed in silk fabrics after dyeing were in order of EGCG>ECG>EGC>EC. We have found $68\%$ uptake of EGCG, and 116.8mg of EGCG in the silk fabrics after it was dyed with $1\%$ Korean green tea extracts. The absorbance intensity and K/S values of dyed silk fabrics were increased with dyeing temperature and time. Only the surface color of the silk fabric dyed with green tea extracts was yellowish red, but it changed from yellowish red to red with an increase in the mordant concentration. Post-mordanted silk fabrics with ferrous sulfate changed from yellowish red to red and purple color shade. In a practical evalu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color after twenty times of the continuous dry cleaning process. However, post-mordanted fabrics with ferrous sulfate faded the brightness of color after dry cleaning. Dyeing silk fabrics with a Korean tea extract reduced the metal ion contents in the silk fabrics when compared to the untreated silk fabrics. Metal contents in silk fabrics dyed and post-mordanted with $1\%$ each metal solution were 0.194 ppm for Aluminum, 1.601ppm for Copper, and 0.334 ppm for Iron. After the post-mordanting process, the heavy metal ion absorption increased, which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catechins and polyphenols in dyed silk fabrics.

체외수정 환자에서 난자회수 2일째의 자궁 내막의 Pinopode의 발달 (Pinopode Development 2-days after Oocyte Retrieval in the Human IVF Patients)

  • 이경아;한세열;최동희;이우식;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51-58
    • /
    • 1998
  • 본 연구는 체외수정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환자에 있어서 난자회수 이틀째의 자궁내막의 발달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pinopode의 발달상태, 에스트로젠 및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생검한 자궁내 막 조직 을 양분하여, 절반은 전사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pinopode를 관찰하기 위하여 2.5% glutaraldehyde와 2% paraformaldehyde로 고정하였고, 나머지 절반은 dating 및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면역조직화학적 측정 (immunocytochemistry)을 위하여 10% formalin으로 고정하였다. 모두 12명의 환자중 8명에서 pinopode가 관찰되었으며, pinopode 발달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들은 hCG 주사를 맞는 날의 estradiol (E2)의 혈중농도가 600 pg/mL이하로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자궁내막의 발달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dating이나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면역조직화학적 측정법 이외에도 pinopode를 관찰함으로써 조금 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되며, pinopode의 발달은 E2의 혈중농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omparison of Effects of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on Development of Rabbit Embryos Reconstituted with Fetal Fibroblast

  • Lee, H.J.;Yoo, J.G.;Cho, S.R.;Lee, S.L.;Chong, J.R.;Yeo, H.J.;Hwang, J.M.;Park, J.S.;Yea, E.H.;Rho, G.J.;Choe, S.Y.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22
    • /
    • 2001
  • To produce reconstituted rabbit embryos with fetal fibroblasts, the present study was evaluated the efficiencies of the different fusion and activation conditions as assessments of subsequent development and chromosome in the embryos.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used throughout the study. Fetal fibroblasts collected from 22-d of fetuses were cultured in DMEM + 10% FBS in 5% $CO_2$ in air. The culture was maintained for 10 passages. In every passage half of cell suspension were kept In frozen. From rabbits treated with FSH in 30% PVP solution and hCG, oocytes were surgically collected from oviducts at 14 h post-hCG injection and stripped off their cumulus cells by re-pipetting in a 300 IU hyaluronidase solution. Oocytes with an extruded first polar body and dense cytoplasm were enucleated by micromanipulation in Ham's F-10 medium+7.5 g/$m\ell$ cytochalasin B. Euncleation was confirm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5 g/$m\ell$ bisbenzimide for 2 min. Each enucleated oocyte was injected with a fetal fibroblast into a perivitelline space. Reconstructed eggs were compared fusion rates either at 2.0 ㎸/cm or 1.6 ㎸/cm(60 sec, double pulses). After fusion, all eggs were activated with the combination of 5 M ionomycin (5 min) and 10 g/$m\ell$ cycloheximide (CHX, 3h), and cultured in CRlaa medium and transferred into TCM199+10% FBS on day 3.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 in fusion rate between treatments (60%, 2.0 ㎸/cm vs. 79.4%, 1.6 ㎸/cm), none of them in the eggs fused with 2.0 ㎸/cm developed to blastocyst. In comparison of development and chromosome status between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Group 1; 5 M ionomycin/10 g/$m\ell$ CHX, Group 2; 5 M ionomycin/5 g/$m\ell$ CHX + 2 mM DMAP after fusion with 1.6 ㎸/cm), there were not differ in cleavage and development rates (67.3% and 28.9% in Group 1; 67% and 33% in Group 2). All out of 8 embryos evaluated in Group 1 appeared a normal diploid chromosome sets and mean number of cells (Mean SEM) on day 4.5 of culture was 141.5 23.15 (n=8).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cycloheximide has not happened in chromosome abnormalities, and fetal fibroblasts can be used for cloning in rabbit.

  • PDF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이연근;박진기;민관식;성환후;임기순;양병철;김진회;류재웅;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8-58
    • /
    • 2001
  • 본 연구는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 Cel D(Cellulase Digestion)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 생산을 통하여 섬유소 함유 사료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장기이식동물 및 고가의 의료용 단백질 생산가축을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에 있다. 섬유소분해 유전자의 크로닝 및 조직 특이적 발현벡터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소의 위중 제4위 내의 미생물로부터 전체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렇게 작성된 DNA library에서 섬유소분해 관련 유전자인 약 2.0 kb의 Cel D유전자를 크로닝하였으며, 췌장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rat elastase I: 약 200bp)를 크로닝한 후, 미세주입용 형질전환 재조합 벡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rElastase I 프로모터 하류에 섬유소 분해 유전자(Cel D)를 연결하여 약 3.0 kb 크기의 재조합 벡터를 준비하였으며, 재조합 유전자를 1세포기 수정란 전핵내에 미세주입 하기 위해 Sal I과 BglII를 이용 유전자 단편을 만들었다. 구축된 유전자를 미세주입하기 위한 수정란을 회수하기위해 총68두의 돼지를 4-5두씩 분리사육하면서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유기를 위해 PG600, Altrenogest, FSH, hCG를 투여하였으며 hCG투여후 약54시간에 외과적 방법에 의해 총 1,359개의 수정란을 회수하였고, 이중 미세주입가능한 1세포기 수정란은 1,296개로 두당 평균 15.9개 였다. 1,296개의 1세포기 수정란 중에서 재조합 유전자(rE I-CelD)가 미세주입된 660개의 수정란을 32두의 수란돈에 외과적 방법에 의해 이식하였으며, 이식되어진 모돈 13두가 분만하여 40.6%의 임신율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분만된 13두에서 총 65두(암:33두, 수:32두)의 자돈이 생산되었으며, 형질전환 여부를 판명하기 위해 자돈의 꼬리조직으로 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 PCR 검정을 실시하였다. PCR 검정 결과, 섬유소 분해 유전자가 도입된 자돈은 5두 이었으며, 그 결과를 Table에 나타내었다.(Table Omitted) Table 1 에서와 같이 섬유소 분해효소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자돈은 65마리 중 5마리로 7.69%의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으며, 5마리의 자돈중 2두(암:1두, 수:1두)는 분만 후 즉시 폐사되었으며 2두(암:1두, 수:1두)는 86일령 그리고 14일령에 폐사하여 현재 1두(암)가 생존하여 섬유소 분해 사양 실험 중에 있다.

  • PDF

IVF/ET Program에 있어서 과배란 유도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timulation Protocols in IVF/ET Program)

  • 황인구;김선행;나중열;구병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211-220
    • /
    • 198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ponse and their outcome of superovulation induction protocol in IVF-ET program. One hundued seventy seven infertile women were stimulated by FSH/hMG(group I, N=128), clomiphene citrate/hMG(group II, N=51), and hMG(group III, N=18) for the purpose of ovulation ind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s of patients were $31.9{\pm}3.8$ in group I, $30.6{\pm}3.3$ in group II, and $29.3{\pm}2.5$ in group III. 2.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as $11.1{\pm}1.8$ in group I, $12.1{\pm}2.0$ in group II, and $13.7{\pm}6.8$ in group III. The hCG administration day of group III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with that of group I (p<0.001). 3. The terminal E2 pattern in group II was different from those of group I and II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mean numbers of mature eggs aspirated were $5.5{\pm}3.8$ in group I, $5.0{\pm}3.3$ in group II, and $5.6{\pm}5.4$ in group I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numbers of mature eggs retrieved among the three groups. 5. The fertilization rate of egg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67.9%) than that of group I (52.2%)(p<0.001). 6. The cleavage rate of group I (67.0%)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II (93.2%) and group III (95.8%) (p<0.0001). 7. The mean numbers of embryos transfered were $3.3{\pm}1.4$ in group I, $3.1{\pm}1.3$ in group II, and $3.2{\pm}1.6$ in group III and the ET rate was 69.0% in group I, 77.3% in group II, and 100% in group II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T rat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p<0.005). 8. The pregnancy rates per OPU cycle or ET cyc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delivered and ongoing pregnancy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36.8%) and group II (p<88.8%) (p<0.05).

  • PDF

생리신호 분석을 이용한 실내온열환경에서의 수면 쾌적성 평가 (Evaluation of Sleep Comfort for Indoor Therm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 이낙범;임재중;금종수;이구형;최호선
    • 감성과학
    • /
    • 제3권2호
    • /
    • pp.75-84
    • /
    • 2000
  • 문명의 발달과 함께 수면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최근 수면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열환경 조건에서의 쾌적한 수면을 위한 온열환경을 제시하기 위해, 5명의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22$^{\circ}C$, 26$^{\circ}C$, 3$0^{\circ}C$의 일정온도 조건과 $25^{\circ}C$에서 1시간 후와 2시간 후에 각각 1, 2$^{\circ}C$를 상승시켜주는 변동온도 조건하에서 수면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면단계 평가를 이용하여 총 수면시간, 깊은 수면의 비율, 그리고 최초 수면시작 시간에서 최초의 서파 수면이 나타나기까지의 지연시간 등의 수면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일정온도 조건에서는 26$^{\circ}C$에서 총 수면시간(466.7$\pm$10.25분)과 깊은 수면의 비율(33.1$\pm$4.95%)은 타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최초 서파수면까지의 지연시간(9.8$\pm$3.33분)은 타 조건에 비해 낮게 나타나 쾌적한 수면을 위한 가장 적절한 온열조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변동온도 조건에서는 4가지 온열조건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조건에서 일정온도 조건보다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면 중 신체 움직임과 설문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면생리신호를 이용한 수면 쾌적성 분석은 수면의 질적인 상태를 관찰하는데 매우 적합한 파라메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수면환경 조건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e results suggest that hCG treatment at 7 days after insemin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and transfer, and only the recipients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dl were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hCG./TEX>이었으며, 이는 화성 기원을 지시한다.sucrose를 이용한 2단계 희석이 수정란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육 단계별 생존성에 있어서는 발육이 진전된 확장배 반포 시에 동결하는 것이 배반포기에 동결하는 것 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ody를 사용하여 flow cytometery해석을 실시하는 한편 125I-hGH binding assay에 의하여 hGH 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GH signal transduction의 target genedf으로 알려져 있는 serine protease inhibitor 2.1(Spi 2.1) gene의 promotor activity를 검토한 결과 hGHR을 transfect한 CHO Cell에 있어서 hGH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loning한 cDNA hGHR는 native hGHR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것으로 판명되었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 PDF

발생단계에 따라 Prostaglandins가 생쥐배아의 팽창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staglandins on Embryonic Expansion and Hatching by Developmental Stage in Mouse)

  • 전용필;김정훈;윤용달;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79-187
    • /
    • 1998
  • 부화 및 착상에서 prostaglandins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배아단계에 따라 포배의 팽창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prostaglandins를 발생단계에 따라 처리하거나, indomethacin과 prostaglandins의 양 변화를 통해 팽창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배아 단계별 PG $E_2$와 PG $F_2$$_{\alpha}$의 생합성양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100$\mu$M이 상 농도의 PG $E_2$처리시 거의 모든 상실배가 퇴화하는 유해성을 보이나 PG $F_2$$_{\alpha}$에 있어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PG $E_2$나 PG $F_2$$_{\alpha}$ 모두에서 배아의 부화를 억제하지만 팽창포배로의 발생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hCG 주사 후 84시간과 96시간 단계 배아에 처리한 경우 부화율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팽창포배로의 발생은 대조군과 유사하였고 PG $E_2$에 의한 세포독성은 발생단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다. 한편 배아 단계와 관련없이 PG $F_2$$_{\alph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부화가 억제되었다. Indomethacin과 PG $E_2$나 PG $F_2$$_{\alpha}$를 함유한 배양액에서 각 단계의 배아를 배양할 경우 prostaglandins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부화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PG $E_2$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 부화율이 대조군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PG $E_2$ 합성은 발생단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 반면 PG $F_2$$_{\alpha}$는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PG $E_2$에 의한 세포독성은 배아 단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고, 고농도의 PG $F_2$$_{\alpha}$는 배아의 부화를 억제하였으며, 발생 단계에 따라 prostaglandins의 요구 양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생 단계에 따라 prostaglandins의 요구 양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