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balance

검색결과 1,034건 처리시간 0.031초

볼기근 근력강화 운동과 병행한 발목관절 펌핑 운동이 엉덩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허벅지 둘레, 보행능력,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Ankle-Joint-Pumping Exercise to Gluteal-Muscle-Strengthening Exercise on Thigh Swelling,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

  • 이현국;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GMSE) with ankle joint pumping exercises (AJPE) on thigh swelling,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METHODS: A total of 38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1 week prio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group that performed only GMSE (CG; n = 19) and a group that performed GMSE and AJPE (EG; n = 19). The CG group performed GMSE for 30 min, and the EG group performed GMSE for 30 min followed by AJPE for 15 min. Exercises were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0 times over 4 weeks in both groups. Thigh swelling (thigh size), 10 m walking test (10MWT)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results, pain level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Short Form 36 health survey (SF-36), and hip outcome scale (HOS)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high size, 10MWT, TUG, VAS, SF-36, HO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 < . 05). However, only thigh siz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measurement time (p < . 05). CONCLUSION: GMSE combined with AJPE might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and GMSE may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igh swelling and gait ability than GMSE without AJPE.

허리 불안정성이 있는 만성 허리통증 환자의 중간볼기근 약화 유무에 따른 허리 안정화 운동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luteus Medius Muscle Weakness in Chronic Lower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 김대호;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4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ain level, lower back pain dysfunction level, psychosocial level, hip abductor strength (HAS), number of positive lumbar instability tests, and dynamic balance (DB) by apply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luteus medius muscle weakness in chronic lower back pain (CLBP)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METHODS: Thirty-five CLBP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were divided into the gluteus medius weakness (n = 18) and gluteus medius non-weakened (n = 17) groups using the gluteus medius manual muscle test. Intervention applie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to both groups that last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o compare the intervention effects, the quadruple visual analog scale (QVAS),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HAS, lumbar instability tests positive response counter (LIC), and DB were measur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for QVAS, K-ODI, FABQ, HAS, LIC, and DB for both groups pre- and post-intervention (p < .05). Compared to the gluteus medius weakness group, the gluteus medius non-weaken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in the changes in QVAS, K-ODI, FABQ-W, FABQ-total, and HAS. CONCLUSION: In CLBP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having gluteus medius weakness was less effective in improv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han gluteus medius non-weakness regarding pain level, lower back pain dysfunction level, psychosocial level excluding physical activity, and hip abductor strength. Therefore, additional gluteus medius strengthening exercises are necessary for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and gluteus medius muscle weakness.

수심이 얕은 저수지에서 용존산소 동적 모니터링을 통한 인 내부부하 평가 (Evaluation of Internal Phosphorus Loading through the Dynamic Monitoring of Dissolved Oxygen in a Shallow Reservoir)

  • 박형석;최선화;정세웅;지현서;오정국;전항배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553-562
    • /
    • 2017
  • 최근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과 함께 지역의 관광, 문화, 위락시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농업용 저수지들은 부영양호로 분류되며 높은 유기물 오염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45년 이전에 준공된 노후화된 농업용 저수지의 44.7%는 농업용수 수질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노후화된 저수지의 경우 외부기원 오염부하 이외에 누적된 퇴적물로부터 발생하는 내부부하는 영양염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심이 얕은 M 저수지(평균 수심 약 1.7 m)를 대상으로 2015년과 2016년에 수심별 수온과 저층 용존산소(DO) 농도를 연속 측정하여 저층 수환경의 동적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영양염류의 내부 부하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또한, 물질수지해석을 통해 내부 인부하가 저수지 전체 인부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수심이 얕은 M 저수지에서 약한 수온성층과 강한 DO 성층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저수지 저층에서 DO의 동적변화를 관찰한 결과, 여름철 무강우 기간동안 지속적인 저산소 (DO 2 mg/L 미만) 상태가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87일과 98일간 발생하였다. DO 농도는 대기온도 강하와 강우발생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질수지분석결과, 수온상승과 함께 조류성장이 촉진되는 8월에는 $PO_4-P$ 내부 부하량이 무강우시 전체 부하량 대비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37.9%와 39.7%로써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층 저산소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퇴적층의 영양염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한 DO 공급 대책이 유효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의 동적 평형 위치 예측 모델: 감천-낙동강 합류점 중심 분석 연구 (Dynamic Equilibrium Posi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Confluence Area of Nakdong River)

  • 김민식;신혜인;남욱현;김원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435-445
    • /
    • 2023
  • 삼각주는 하천이 운반하던 퇴적물이 호수나 바다, 하천의 본류와 같은 상대적으로 저 에너지의 환경을 만나 쌓인 퇴적 지형이다. 그 중 하천의 합류 지역에 생긴 삼각주는 하천 기하와 수리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하천 관리 및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최근 낙동강 내 대규모 준설과 보 건설로 하천 합류 지역의 평형상태가 깨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의 자연 회복성으로 인한 지속적인 퇴적으로, 인위적인 준설 이전의 자연상태로 되돌아가고 있다. 시계열 관측 결과 합류 지역의 삼각주는 준설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전반적인 크기의 변화없이 소규모의 성장과 후퇴를 반복하는 동적 평형상태에 이른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 지역 삼각주가 지류의 유사량과 본류의 유량에 따라 체결된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합류 지역의 퇴적-침식 작용을 설명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지류 공급 퇴적물의 퇴적과 본류로 인한 침식 작용, 두 가지 기작을 토대로 한다. 모델에 사용된 낙동강을 대표하는 침식 계수는 낙동강 내 주된 합류 지역을 이용하여 추정했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류 유사량과 본류 유량에 따른 합류 지역 삼각주 평형 위치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고, 이후 주된 합류 지역의 연평균 유량,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들의 동적 평형 위치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천-낙동강에 기록된 일별 유량과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발달에 대한 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델을 통해 각 합류부 삼각주의 형성 여부를 예측하였고,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거동의 경향 또한 잘 예측하였지만, 단순화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와 한계로 인해 감천-낙동강 삼각주에서 실제 발생하는 후퇴를 정확히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합류 지역을 통한 낙동강 본류의 유사 공급량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하천 정비 및 유지에 기초 모델로 사용할 수 있다.

한국형 동반성장 정책의 방향과 과제 (The Policy of Win-Win Growth between Large and Small Enterprises : A South Korean Model)

  • 이장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33권4호
    • /
    • pp.77-93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사회경제적 이슈가 되고 있는 동반성장의 개념과 실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반성장의 정책적 개념을 살펴보고 유사한 개념인 상생협력과 공생발전과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동반성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만들어 낸 선진국 사례들로부터 교훈을 찾아내고 우리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맞는 한국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은 미국의 시장중심형, 일본의 문화기반형, 유럽의 정책주도형 등의 장점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 모델은 공동체적 에너지를 창출해내는 한국인의 잠재력 활용, 통제와 자율의 융합형 제도 개선,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위한 기업들의 행동변화 등 세 가지 요인을 핵심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국형 모델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동반성장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Gait Pattern in the Elderly)

  • 최종환;신창섭;연평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503-509
    • /
    • 2014
  • 이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산림 걷기 운동이 어떻게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7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산림 걷기 운동 집단(n=19, $66.34{\pm}4.31$세)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n=18, $67.18{\pm}2.78$세)으로 구분되어, 12주간 주에 3회 80분 씩 각각 산림 걷기 운동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에 참여하였다. 기능적 체력(근력, 지구력, 유연성, 민첩성/평형성, BMI)과 보행형태(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 검사는 12 주간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가 이용되었으며, 독립 t-test와 반복 이원변량분석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하지 근력, 허리 유연성, 민첩성/동적 평형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에서 더 크게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상지 근력, 견관절 유연성, BMI에서는 두집단 모두 똑같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각-운동신경의 기능적 통합에 기초한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들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생활을 더 역동적으로 만들며,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귀신환이 난소적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isinhwan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김태희;강영금;안규환;김송백;조한백;유심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476-1484
    • /
    • 2004
  • Aging is characterized by an age-dependent reduction in bone density. Pronounced bone loss by postmenopausal estrogen deficiency induces a bad effect on dynamic balance of bone metabolism. When the bone density is reduced to the level below the fracture threshold, the risk for fracture is grea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uisinhwan(GSH : 歸腎丸)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Body weight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GSH-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albumin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at in GSH-treated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ALP activity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GSH-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phosphorous, calcium, GOT, GPT, T3 did not significant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The level of serum estrogen in control group showed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GSH-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T4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GSH-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rabecular bone area as well as trabecular thickness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ose in GSH-treated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rabecular number did not significant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Trabecular separation only in GSH-treate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Osteoclast number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at in GSH-treate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Oseoblast surface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GSH-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According to the above these results, GSH has shown to be capable of preventing and curing osteoporosis caused by old-aged and postmenopause.

육린주가 난소적출 백서의 골다공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klinzu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최상순;엄주오;김송백;유심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88-800
    • /
    • 2002
  • Aging is characterized by an age-dependent reduction in bone density. Pronounced bone loss by postmenopausal estrogen deficiency induces a bad effect on dynamic balance of bone metabolism. When the bone density is reduced to the level below the fracture threshold, the risk for fracture is grea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re the effects of the Yuklinzu(YLZ: 毓麟珠)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Body weight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albumin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at in YLZ-treated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ALP activity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phosphorous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calcium in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GOT in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GPT did not significant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The level of serum estrogen in control group showed sligh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T3 in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sham, and that in YLZ-treated showed no chang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level of serum T4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but that in YLZ-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Mechanical strength of the femur neck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at in YLZ-treated showed sligh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Trabecular bone area as well as trabecular thickness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ose in YLZ-treated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Trabecular number and did not significant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Trabecular separation only in YLZ-treate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Osteoclast number and oseoblast surface 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sham. Those in YLZ-treated showed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According to the above these results, YLZ has shown to be capable of preventing and curing osteoporosis caused by old-aged and postmenopause.

회전원판접촉법(回轉圓板接觸法)에 의한 폐수처리(廢水處理)의 모형(模型)에 관한 연구(研究) (Models of Wastewater Treatment by Rotating Discs)

  • 정태학;박중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39-46
    • /
    • 1982
  • 회전원판접촉법(回轉圓板接觸法)에 의한 폐수처리(廢水處理)의 이해(理解)를 증진(增進)시키고 여러가지 조건(條件)의 변화(變化)에 따라 달라지는 처리효율(處理效率)을 산정(算定)하기 위하여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하고 Simulation을 통하여 정상상태(定常狀態)와 비정상상태(非定常狀態)에서의 모형(模型)을 분석(分析)하였다. 회전원판(回轉圓板)에 의한 기질제거모형(基質除去模型)은 용액(溶液)으로부터 미생물막내부(微生物膜內部)로의 기질전달(基質傳達)과 미생물(微生物)에 의한 기질(基質)의 분해(分解)에 의해 처리(處理)가 이루어진다고 가정(假定)하고 정립(定立)되었고 모형(模型)은 여러개의 요소(要素)로 나뉘어진 액체막(液體膜)과 미생물막(微生物膜), 그리고 용액중(溶液中)의 기질농도(基質濃度)에 관한 일련의 물질수지식(物質收支式)으로 구성(構成)된다. 정상상태(定常狀態)에서 처리효율(處理效率)은 기질(基質)의 확산계수(擴散係數)와 미생물(微生物)의 최대기질분해율(最大基質分解率)에 의해 좌우(左右)되고 확산(擴散)에 의한 영향은 용액중(溶液中)의 기질농도(基質濃度)가 낮고 최대기질분해율(最大基質分解率)이 높을 경우 현저하게 나타난다. 기질제거효율(基質除去效率)은 미생물막(微生物膜)의 두께가 얇을 때는 거의 두께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나 두께의 증가(增加)에 따라 효율증가(效率增加)는 둔화(鈍化)되고 한계(限界)두께에 이르면 기질(基質)의 침투(浸透)가 불충분(不充分)하여 효율(效率)은 일정(一定)해진다. 비정상상태(非定常狀態)에서 유출수(流出水)의 수질(水質)은 반응조(反應槽)의 체적(體積)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반응조(反應槽)의 체적증가(體積增加)는 첨두부하(尖頭負荷)에 대하여 첨두농도(尖頭濃度)를 낮게하는 완충효과(緩衝效果)를 나타내기 때문에 반응조(反應槽)는 균등조(均等槽)의 역할을 한다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Skill Level and Feet Width on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during Jump Rope Single Under

  • Jang, Kyeong Hui;Son, Min Ji;Kim, Dae Young;Lee, Myeoung Gon;Kim, You Kyung;Kim, Jin Hee;Youm, Chang Ho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8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kill level and width between feet on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during jump rope single under with both feet. Method: Fifteen subjects in the skilled group (age: $10.85{\pm}0.40yrs$, height: $142.13{\pm}5.41cm$, weight: $36.97{\pm}6.65kg$) and 15 subjects in the unskilled group (age: $10.85{\pm}0.40yrs$, height: $143.31{\pm}5.54cm$, weight: $40.81{\pm}10.39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Participants in the skilled group minimized the anteroposterior displacement of their center of mass by modifying the width between their feet and decreased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ir trunk in the sagittal plane. The preferred width during the jump rope decreased by 5.61~6.11 cm (32~37%) in comparison to width during static standing. The induced width was increased by 16.44~16.67 cm (82~85%), regardless of skill level.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left and right legs of members of the unskilled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members in the skilled group regarding the ROM of the hip, knee, and ankle joint. Otherwise, the members of the skilled group were consistent in terms of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right and left legs. Conclusion: The preferred width between feet during the jump rope was found to be beneficial for maintaining dynamic stability. The unskilled group exhibited asymmetry in left and right motion within the ranges of motion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s, regardless of the width. Therefore, long-term accurate jump rope motions will contribute to an impr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imbalances of the entir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