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adic polic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삼변수 Max(N, T, D) 운용방침이 적용되는 조정가능한 M/G/1 대기모형의 busy period 기대값의 상한과 하한 유도 (Derivations of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riadic Max(N, T, D) Policy)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73
    • /
    • 2011
  •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riadic Max (N, T, D) policy,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and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better estimation.

삼변수운용방침이 적용되는 M/G/1 대기모형에서 가상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busy period의 기대값 유도 (Derivation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riadic Policy using the Pseudo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이한교;호현승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1-57
    • /
    • 2007
  •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riadic policy is derived by using the pseudo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actu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order to justify the approach using the pseudo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o derive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policy, well-known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policies are derived from the obtained result as special cases.

조정가능한 M/G/1 대기모형에 삼변수 Min(N, T, D) 운용방침이 적용될 때 busy period 기댓값의 상한과 하한 유도 (Derivations of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Triadic Min(N, T, D) Operating Policy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4
    • /
    • 2010
  •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in (N, T, D) operating policy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and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better approximations.

가상확률밀도함수를 사용하여 Max(N, T, D) 운5방침이 적용되는 조정가능한 M/G/1 대기모형의 busy period의 기대값 유도 (Derivation of the Expected Busy Period U sing its Pseudo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a Controllable M/G/l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Max (N, T, D) Policy)

  • 이한교;오현승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6-92
    • /
    • 2008
  •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riadic Max (N, T, D) policy is derived by using a new concept so called "the pseudo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order to justify the proposed approaches for the triadic policy, well-known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policies are recovered from the obtained result as special cases.

전주지역 자활 관련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in Chonju Area)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7-33
    • /
    • 2002
  • This study analyse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using data on the 31 organizations in Chanju area.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re operationalized in two ways: conference network and referral network. First,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Using block model, I can capture some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Major findings of block modeling are as follows: (1) Public organizations are more inactive to make a connect with other organizations. (2) Most of organizations incline to make a connect with same kind organizations. Namely, employment service organizations incline to flock together,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also much the same. Second,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Relations between pairs of organizations are modeled as a function of dyadic level covariates in accordance with resource dependence, transaction cost, and organizational domain theory. Measure of informal ties between organizations are also included as covariates. Applying logit and tobit regression methods, this study reveals that most variables have effects on the dyadic relations of organization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I can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elf-supporting programs in Korea.

  • PDF

일량제어정책과 단수휴가를 갖는 이산시간 대기행렬의 고객수 분석 (Queue Length Analysis of Discrete-time Queueing System under Workload Control and Single Vacation)

  • 이세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89-9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유휴기간을 갖는 서버의 재가동이 단수휴가와 그동안 도착한 고객들의 총 일량에 의해 결정되는 이중제어정책을 다룬다. 고객들은 베르누이 도착과정으로 시스템에 한 명씩 도착하며, 자기 차례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선착순으로 서비스를 받는다. 서버는 시스템 내에 더 이상 서비스할 고객이 없으면 유휴기간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이산확률변수 V의 휴가를 떠난다. 휴가 종료시점에서 대기 중인 고객들의 서비스 시간 총합이 일량 임계값 D를 초과하면 바로 서비스를 시작하고, 휴가 종료시점의 시스템 내 총 일량이 D 이하인 경우에는 일량 임계값을 넘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재가동한다. 이러한 혼합제어정책 하에서 운영되는 이산시간 Geo/G/1 대기행렬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유휴기간을 분석하고 안정상태 고객수 분포를 유도하였다.

삼변수 Med(N, T, D) 운용방침에 따른 Busy Period 기대값의 상한과 하한 유도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ed(N, T, D) Policy)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2013
  •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ed (N, T, D) operating policies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s.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or Max (N, T), Max (N, D) and Max (T, D) with the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without using any other types of triadic operating policies such as Min (N, T, D) and Max (N, T, D)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estimation of the expected busy period.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환자 가족의 평가와 의료진의 인식 차이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강경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1
    • /
    • 2013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tient family's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ED) service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se with ED staff perception of patient family's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wo surveys of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2008 National Survey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the 2008 Opinion Surve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were evaluated by Kruskal-Wallis tests and Wilcoxon-Mann-Whitney tests. Furtherm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were identified by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overall satisfaction with ED visit, length of stay in ED, enough explanation, physicians/nurses kindness, and ED facilities. Age and income in the patient family model,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 job satisfaction and year of service in the physicians model, and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 job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duty hour in the nurses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evaluation/ perception of ED service satisfaction. Conclusion: Pati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quality of care and service delivery in the ED. To improve and understand satisfaction in ED service, a dyadic view of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that i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the patient and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should be concerned.

치매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Virtual Reality Program for Dementia Education)

  • 김수현;박희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95-20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교육으로 제공한 국내·외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특성, 효과, 적용 전략 등을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0년 7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외는 CINAHL, Cochrane, EMBASE, Pubmed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국내는 RISS, KISS, DBpia에 대한 검색을 시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6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선정된 문헌의 연구대상자는 비전문 간병인 2편(33.3%), 일반인 1편(16.7%), 간호학생과 의학 및 약학대 학생을 포함한 학생들 3편(50.0%)이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총 5개(공감능력, 치매 지식과 편안감을 포함한 치매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 양자관계척도)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공감능력을 측정한 연구의 75%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인간중심적 간호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중고차 거래에서 품질위험을 높게 지각한 구매자의 신뢰형성: 구매자와 대리인 양자간 신뢰 (Trust Building of Buyers who perceive Quality Risk High in Online Used Car Transactions: A Dyadic Trust Relationship)

  • 이승창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3호
    • /
    • pp.49-69
    • /
    • 2009
  • 인터넷을 통해 중고차가 유통되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판매자와 중개인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면서 거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신뢰는 인터넷을 통한 거래(유통)에 있어서 주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인터넷에서 중고차 거래는 구매자와 판매자는 서로 볼 수 없고 모르기 때문에 신뢰는 더욱 중요하다. 특히, 중고차 사이트의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고차 거래에서 구매자의 신뢰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품질위험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구매자가 단지지각된 이점만으로 구매의도가 늘어나지 않고 중고차 사이트의 신뢰형성이 되어야 구매의도가 늘어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중고차 사이트 이용 경험자중 품질위험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델은 독립변수(지각된 이점, 구매자의 신뢰성향, 구전효과, 구매자의 지각된 크기, 검사 및 보증정책), 매개변수(중고차 사이트 신뢰도), 그리고 종속변수(구매의도)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 지각된 이점만으로 구매의도가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중고차 사이트 신뢰가 형성되어야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즉, 중고차 사이트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입증하였다. 중고차 사이트의 신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검사 및 보증 정책으로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과는 다른 중고차 거래 특유의 신뢰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각된 이점은 중고차 사이트의 신뢰를 통해서만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중고차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터넷 중고차 사이트의 신뢰를 향상 시키는 것이 선결 과제임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