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m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Identification of Attributes Constituiting Korean Social Support -Based on Middle-Aged Women-)

  • 오가실;박영주;오경옥;김정아;이숙자;김희순;정추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80-78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constituiting Korean social support and to validat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Search for the meaning of social support in Korean Society.’ The informants were 41 Korean middle-aged women in three cities Seoul, Daejun and Daeku.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interview guide from Jun. 1994 to Jun. 1995. The interview guide was developed in the simulated situations of ‘Stroke attack’ which expected to be in need of social support. The women were asked to answer what they felt and the appropriate terms representing the situation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Consequently, the Korean social support pyramid was modified as follows ; Support is the apex of the pyramid. The four sides of the pyramid are made up of ‘Jung’(Bound by ties of affection, regard or shared common experience, Connectedness), Do-oom(both emotional and material help), Mi-dum(Faith or belief in) and Sa-Rang(Love). The base of the pyramid is ‘yun’(the basic network of relationships in Korean culture) that connote the meaning of Eunhae(Benevolence), Euimu(duty, responsibility) and Dori(obligation).

  • PDF

디지털 분더캄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마크 레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Wunderkammer Focusing on the Artworks of Mark Leckey)

  • 김상민;박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74-682
    • /
    • 2018
  •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온 차세대 혁명인 4차산업혁명의 시대 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일상은 하루에도 몇 번씩 가상과 실제 사이를 오가고 있다. 이러한 일상 속에서 정보의 저장방식은 가상적인 방식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이제 한 사람의 디지털 기기는 그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서구 근세 시대 '분더캄머'의 공간이 가상적으로 변한 듯하다. 본 논문은 디지털 기기를 '디지털 분더캄머'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디지털 분더캄머'가 오늘날 현대인들의 일상 속 상호작용, 인지와 이해, 사고방식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진화하는 디지털 기술과 소통에 대해 작품활동을 펼쳐온 영국의 시각예술 작가인 마크 레키의 작품 시리즈 'Universal Addressability of Dumb Things'와 'UniAddDumThs'와 연결시켜 분석을 진행하였다.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오늘날의 디지털적 환경과 특성, 이의 시각적 표현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현 시대의 '디지털 분더캄머'의 특성과 연결지어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시대 속에서의 창의적 표현의 가능성 역시 확장되기를 바란다.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 심현보;서석민;최병희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25-34
    • /
    • 2002
  • 경기만 염습지의 식물상을 1999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만에 위치한 14개 내륙연안과 도서지역의 38개 지역에서 자연염습지, 사구, 폐염전 및 해안제방을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염생식물은 17과 32속 46종이었는데, 이중 자연염습지에만 자라는 식물은 지채 (Triglochin mariti-mum L.), 천일사초 (Carex scabrifolia Steud.),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 방석나물 (Suaeda australis (R. Br.) Moq.), 해홍나물 (S. martima Dum.), 칠면초 (S. japonica Makino), 기수초(S. malacosperma Hara) 등 7종이었으며, 사구에만 자라는 식물은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 갯사상자 (Cnidium japonicum Miq.), 모래지치 (Messerschmidia sibirica L.), 갯씀바귀(Ixeris repens A. Gray), 호모초(Corispermum stauntonii Miq.),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 fil.), 갯쇠보리(Ischaemum anthephoroides Miq.),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Ohwi) 등 8종이었다. 각 조사지 역별 염생식물은 교동도 21종, 석모도 17종, 강화도 남쪽해안과 동검도 28종, 장봉도 16종, 신,시도 16종, 대무의도 23종, 덕적도 23종, 이작도 10종, 영흥도 29종, 소래 25종, 대부도 15종, 쌍송리 6종, 호곡리 16종, 매향리 10종 등으로 조사되었다.

길이 비율 효율성 측정법을 이용한 자료포락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using Length Rate-based Efficiency Measurement)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43-149
    • /
    • 2021
  • 본 논문은 자료포락분석의 핵심인 상대효율을 계산하는데 있어 길이비율 측정법을 제안하였다. 상대효율을 계산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선형계획법이 알려져 왔다. 이 방법은 모든 의사결정단위들에 대한 단편적인 선형계획법을 풀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입력-출력 관계를 2차원 그래프 작도로 효율적과 비효율적인 의사결정단위를 구별하고, 비효율적인 의사결정단위의 현재 달성한 효율성은 길이비율 측정법으로 구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다양한 실험사례들에 적용한 결과 선형계획법의 적용 오류로 인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었으며, 항상 정확한 상대효율이 계산됨을 보였다. 또한, 이미 100% 효율성을 달성한 의사결정단위들을 제외하고, 단지 비효율적인 의사결정단위들에 대해서만 직선을 그려 기준 집합을 결정하고, 상대효율을 쉽게 구할 수 있었다.

한국의 묵논에서 멸종위기식물의 복원생태학적 연구 및 서식지 관리방안 (Study on Ecological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in Abandoned Paddy of Korea and Management Plan for its Habitat)

  • 이수인;이응필;홍용식;김의주;이승연;박재훈;장래하;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91
    • /
    • 2020
  • 묵논을 생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형이 다른 멸종위기식물 9종의 현지외보전 대상지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전통적인 논의 구성요소인 둠벙을 조성하기 위해 묵논의 일부를 변형하여 수분 환경을 다르게 하였다. 묵논에 각 식물들의 유성생식체(seed, sapling)와 무성생식체를 이식하여 1년간 생존률과 식물계절학 반응을 관찰하였고 그 후 2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묵논에 도입이 가능한 수생식물은 4 분류군 (가시연꽃, 삼백초, 전주물꼬리풀, 조름나물), 지중식물은 1 분류군 (큰바늘꽃), 반지중식물은 1 분류군 (독미나리) 이었다. 도입시 가시연꽃, 전주물꼬리풀, 조름나물은 둠벙에 도입해야하고, 삼백초, 큰바늘꽃, 독미나리는 논습지에 도입해야한다. 또한, 가시연꽃과 순채의 생육은 초본류에 의해 저해되었고 큰바늘꽃의 생식생장은 섭식자에 의해 저해되었다. 따라서 묵논에 도입한 멸종위기식물의 효율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서는 생육을 저해하는 초본류들의 제거와 섭식자의 관리가 필요하고, 논둑에 목본 또는 식생 매트를 형성하는 초본류를 식재하여 둑의 붕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묵논을 생태적으로 활용할 때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둠벙을 조성하여 수분환경을 다양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왕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보전방안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희천;황인천;임동옥;정철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8-515
    • /
    • 2011
  •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종은 둥근잎꿩의비름, 망개나무, 깽깽이풀, 노랑무늬붓꽃과 가시오갈피나무, 솔나리, 연잎꿩의다리 7분류군 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 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깽깽이풀, 망개나무, 솔나리 등 8과 9분류군, I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승마, 회리바람꽃, 돌마타리 등의 4과 5분류군, III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애기석위, 가침박달, 등칡 등 16과 18분류군, 2등급으로는 백작약, 나도바람꽃, 개불알꽃 등의 14과 18분류군, 1등급은 늦고사리삼, 홀아비꽃대, 백선 등 30과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 식물종은 호랑버들, 검팽나무, 할미밀망, 노랑갈퀴, 정영엉겅퀴 등의 총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나도닭의덩굴, 다닥냉이, 족제비싸리, 컴프리, 수박풀 등의 총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경관형용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엄성준;김남춘;김상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4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Hence, in this paper we utilized landscape adjectives as a way to enhance the objectivity of the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landscape assessment. More specifically, not only this study used a landscape image of an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to identify a landscape adjective suitable for the landscape elements but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landscape adjectives compar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and the public.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2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of deriving the landscape adjectives from the main landscape elements, there were nine landscape adjectives that were consistent with experts and the public, including "clear" and "Artless" for rice paddies and fields, while the mismatched landscape adjectives were 'traditional'. The accent planting was a combin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such as 'natural' and 'clear', while the windbreak trees was a consensus of all landscape adjectives. Only two adjectives, 'friendly' and 'wild', agreed on the dirt load, nine dum-bung(small pond), ten natural small river, nine duckery, eight one-storied houses, 10 pavilion, eight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and three natural waterways.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windbreak trees, pavilions, and natural small river, all 10 landscape adjective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ree of the 10 landscape types on the dirt road and the natural number are matched. Thus, additional management measure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Artless" and "friendly" 13 times. The landscape adjective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responded by expert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natural, clear, zingy, silent, traditional, artless, friendly, wild and Leisurely, and consistent with the general public's opinion.

콩콰 싸리속 귀화식물 2종: 자주비수리와 큰잎싸리 (Two naturalized plants of Lespedeza (Leguminosae) in Korea: L. lichiyuniae & L. davidii)

  • 한정은;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7-555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2종의 싸리속(Lespedeza) 귀화식물을 발견하여 보고한다. 자주비수리(L. lichiyuniae)는 비수리(L. cuneata) 및 땅비수리(L. juncea)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꽃이 분홍 또는 홍자색이고 잎 뒷면과 폐쇄화 열매에 털이 밀생하는 점에서 구분된다. 한편 큰잎싸리(L. davidii)는 큰 소엽을 갖는 특징에 의해 국내 싸리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되며, 같은 목본성 싸리아속 식물들로부터는 식물체 전체에 연모가 밀생하는 특징으로 식별된다. 국내에서 이 두 종은 새로 조성된 공원이나 도로변에서 발견된다.

다성분 산화물 요업체의 고온 물라이트화 반응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High-Temperature Mullitization from a Multicomponent Oxide System)

  • 신현호;김철수;김창욱;장순남;성완;장동환;강석원;최석홍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0
    • /
    • 1998
  • Mullitization in a multicomponent oxide system(alumina-kaolin-quartz-feldspar-talc) was studied as a function of sintering temperature from 1200 to 1500$^{\circ}C$ based upon a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In the present study mullite grew as wiskers and its formation reaction showed characteristic there stages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1255-1295$^{\circ}C$) an appreciable mullitization(nucleation) occurred while corun-dum dissolution into glass (increasing glass content ) limited the rate of the reaction. At 1295-1335$^{\circ}C$ (second state) the reac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a considerable glass consumption and with no appreciable change in corundum content. Finally (above 1335$^{\circ}C$) the reaction rate was attenuated re-markably with an apparent decrease in glass consumption rate. The impingement of mullite whiskers by oth-er whiskers and crystals was speculated to cause mullite growth in thickness direction with a slow growth rate resulting in the diminished reaction rate in the final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