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wning-ou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익사자수와 익사환경 노출인구 백분율을 이용한 익사관리지수 개발 (Developing Drowning Management Index from the Absolute Number of Drowning and Probability of Exposure in Drowning Environment in Public)

  • 강대영;허준행;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3-78
    • /
    • 2013
  • 본 연구는 특정 지역간 혹은 동일지역내의 기간별 익사관리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한 익사관리지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적으로 익사관리의 효율성을 평가하거나 익사현황의 심각성을 가늠하는 수단으로 인구 10만명당 익사자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별, 시기별로 사람들이 익사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는 확률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익사가능환경에 노출된 인구비율이 반영된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였다. 익사관리지수 개발을 위하여 익사 유발요인들을 파악하고, 사람들이 잠재적으로 익사할 수 있는 상황에 노출되는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결과 한국과 호주의 익사환경 노출 인구 백분율은 한국 11%와 호주 84%로 큰 차이를 보였다. 2008년 기준으로 한국과 호주의 인구 10만명당 익사자수는 1.7명과 1.4명으로 유사하지만, 익사관리지수는 한국 15.5와 호주 1.67로 9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익사관리 지수는 익사의 심각성을 가늠하고, 익사관리의 효율성 비교를 위한 유용한 지표이다.

The Utility of Non-Invasive Nasal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f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ar Drowning Patients

  • Kim, June Hyeong;Sun, Kyung Hoon;Park, Yong Ji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3호
    • /
    • pp.136-142
    • /
    • 2019
  • Purpose: Near drowning refers to immediate survival after asphyxia due to submersion or immersion in water, which is a crucial public safety problem worldwide. Acute lung injury 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a common complication of near drow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noninvasive nasal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NINPPV).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a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NINPPV was administered for moderate ARDS caused by submersion or immersion in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18 years,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8. We collected the demographic (age, sex, length of hospital stay, and outcome), laboratory (arterial blood gas, lactate, oxygen saturation, partial pressure of oxygen divided by the fraction of inspired oxygen, complete blood count,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and clinical data (acute lung injury index and ventilator failure) of the patients.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0.0 for Windows. Results: NINPPV treatment was provided to 57 patients for near drowning, 45 of whom (78.9%)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out complications; in 12 (21.1%), treatment was changed to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within 48 hours due to ARDS or acute kidney injury. NINPPV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1 (75.6%) out of 41 sea-water near drowning patients. They were more difficult to treat with NINPPV compared with the fresh-water near drowning patients (p<0.05). Conclusions: NINPPV would be useful and feasible as the initial treatment of moderate ARDS caused by near drowning.

결정입자 제어를 위한 젖산칼슘 용석결정화 기술 (Drowning-out Crystallization of Calcium Lactate for Crystal Size Control)

  • 김종민;장상목;김인호;구윤모;홍혜현;김우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40-7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L(+)-calcium lactate를 정밀 분리하기 위한 drowning-out 결정화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Calcium lactate 결정화는 calcium lactate 수용액에 반용매를 투입하여 유도하였으며 결정화 공정에서 결정입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결정화 공정에서 결정입자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반용매의 종류, 반용매의 조성 그리고 교반속도를 고려하였다. 반용매로서는 알콜류(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를 선택하였다. 결정화 실험에 앞서, 과포화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물-알콜 혼합용액에서의 calcium lactate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Drowning-out 결정화에 의해 fabric 모양의 calcium lactate 결정이 석출되었는데, 에탄올의 경우 fabric이 굵고 침상에 가까운 모양이었으며, 프로판올의 경우 hairy 모양에 가까웠다. 이러한 형상 특징으로 인하여 결정이 강하게 응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집경향은 수용액에 대한 알콜 조성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반면 교반은 응집된 결정입자를 파쇄하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결정화를 통해 얻어지는 결정입자의 크기는 반용매에 의한 결정입자 응집과 교반에 의한 결정입자 파쇄의 상대적 강도에 의존하였다.

익수자 구조를 위한 구조 장비 디자인 연구 (Design Research for Life-saving Rescue Equipment at Water)

  • 전영원;이혁수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3-19
    • /
    • 2012
  • This Design research is a design of rescue equipment combined with beach garbage can for prompt rescue at the time of the accident in water. As a usual, it is used as garbage can hanging a garbage bag on the holders located in both sides, and it can be used to rescue drowning men promptly taking out a rescue tube located inside of the equipment at the time of the accident in water. Support is consisted of beach one, wall-hanging one and pipe one, and it could be installed to match the situation because it can be combined with all main frames. As a usual, it is used as garbage can in seaside, but it can be used to rescue drowning men promptly taking out a rescue tube after pulling the handle located in front of main frame at the time of the accident in water, and it can be used to pull drowning men out of the water because rope is kept in rescue tube.

  • PDF

한국의 익사사고 특징과 대응체계에 대한 고찰 (Review of Features and Response system for Unintentional Drowning in Korea)

  • Kim, Junggon;Lee, Daesung;Lee, Jaeho;Han, Songe;Ho, Junb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18-12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익사사고의 특징을 분석하고 익사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우리나라는 바다보다 하천, 호수 등 내륙에서 익사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체계적인 신고 및 구급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나 사고 예방에 있어서는 관리 인력의 부족, 위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익사사고 예방 및 관리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며, ICT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위험지역을 감시 및 통제기술의 개발이 효과적이다.

익사(溺死) ($WHO-E_{929},\;E_{934}$)의 역학적(疫學的) 관찰(觀察) (An Observation on the Incidence of Drowning Death in Korea)

  • 지창용;김영춘;이병주;주인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권1호
    • /
    • pp.79-86
    • /
    • 1968
  • This paper describes the incidence and som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drowning accident out of a series of our study on the epidemiology of various accidents in Korea. By the daily press it is apparent from the frequent reporting of swimming accidents that the incidence would be high. In the rural areas, there are, at present, about 1,250 artificial lakes and farm ponds to be utlized for rice production. The reservoirs, irrigation ditches and riversides are also used for recreation. In most places facilities for aquatic activities is meager, and safety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drowning is not sufficiently enforced. In the survey crude data on drownings were collected from the concerned governmental statistic books for the period 1955 to 1967 which were compiled not in a uniform way. Drownings were class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ccidental drowning, E 929 and the other is due to cataclysm, E 934, according to the 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Epidemiological variables in relation to drowning accident were obtain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informations from the popular news papers. The following summary may be drawn; 1. The average number of deaths due to accidental drowning totaled 1,088 annually and the mortality rate per 100,000 population was 3.4, The 42.0% of all drownings were rescued and the remaining were not saved. 2. The sex ratio (M/F) of the victims for all ages was 5 to 1, which had a wide range of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The young ages less than 20 years occupied 68.0% of all deaths. 3.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the causes of accidents revealed 31.9% for careless swimming, 45.5% for unskilled, 10.6% for swimmer's cramp and 6.0% for drunked. The distribution of places where accidents occurred showed 88.0% for rivers, water reservoirs, irrigation ditches and 12.0% for regular swimming pools.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cases indicated 85.0% of the total were seen during the summer months, June-August, and 50.0% of them occurred on Sundays, 4. The average annual deaths due to cataclysm were 402 and mortality rate per 100,000 population was 1.6, but the number of victims due to cataclysm varied greatly each year. 5. The accident cases due to cataclysm were classified into 60.0% for injuries, 40.0% for deaths. The 26.8% of all deaths were missing cases. 6. The deaths due to either accidental drowning or cataclysm totaled 1,490, and the death rate per 100,000 for the whole country was 5.0.

  • PDF

결정화/응집 기법에 의한 구형 에너지 복합체 제조 및 그 열분해 특성 (Preparation of Spherical Energetic Composites by Crystallization/Agglomeration and their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 이은애;심홍민;김재경;김현수;구기갑
    • 공업화학
    • /
    • 제27권2호
    • /
    • pp.158-164
    • /
    • 2016
  • 결정화/응집(crystallization by drowning-out/agglomeration, D/A) 기법으로 구형 DADNE/AP 에너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DADNE 입자와 AP 입자의 응집은 가교액 주입량, 교반 속도, 체류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합체의 입도는 가교액의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교반 속도는 빠를수록, 체류 시간은 길수록 복합체의 입도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열중량 분석 결과 DADNE의 첨가는 AP의 저온 분해(Low temperature decomposition, LTD) 영역을 활성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순수한 AP는 LTD에서 약 30 wt% 정도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DADNE가 물리적인 혼합에 의해 제조된 복합체의 경우 AP의 70 wt%가 분해되었고, D/A 기법으로 제조된 복합체의 경우 AP의 LTD 분해가 90 wt%까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결정화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a Crystallization Proces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세은;김재경;한상근;채주승;이근득;구기갑
    • 공업화학
    • /
    • 제26권6호
    • /
    • pp.730-736
    • /
    • 2015
  • Cyclotrimethylene trinitramine (RDX)은 대표적인 니트라민 계열 고폭 화약으로 충격, 마찰, 열, 정전기 등 비의도적인 자극에 대한 둔감화를 위해 서브마이크론 크기 RDX 입자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rowning-out 결정화에 의한 서브마이크론 RDX 입자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RDX 농도, 반용매 온도, 반용매 질량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반응 표면 분석법의 일종인 중심합성회전설계에 의한 실험 계획이 수립되었다. 도출된 회귀 모델의 수정 결정계수(adjusted determination coefficient, adj. $R^2$)는 0.9984이며 p 값은 0.01 이하로 유의했다. 회귀 분석에 의해 독립 변수간 자기상관성은 없으며 교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중심합성회전설계에 의한 최적화로부터 도출된 최소 평균 입경의 RDX 입자 제조 조건은 RDX 농도 3 wt%, 반용매 온도 $0.2^{\circ}C$, 반용매 질량 266 g이었다. 회귀 모델에서 예측된 RDX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3{\mu}m$이며 실제 제조된 RDX 입자의 평균 입경도 $0.53{\mu}m$이었다. X선 회절 분석과 FT-IR 분석으로부터 RDX 입자의 결정형은 ${\alpha}$형이었다.

물놀이 안전사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Drowning Accident in South Korea)

  • 김정곤;임호정;김태환;이대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3-164
    • /
    • 2019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물놀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실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현황 파악 및 민간안전요원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안전요원 및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물놀이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개선 사항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검토결과 물놀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IoT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CCTV 및 감시 장치 등 보조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현장 안전감시자의 제한적인 단속권한을 갖는 자격 부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효과적인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를 위해서는 안전요원에 대한 체계적 교육, 단속권한 부여 그리고 감시장비 도입을 통하여 사람과 장비가 융합된 종합적인 물놀이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익수자의 호흡이 가능한 최소 부력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Minimum Buoyancy for the Respiration of a Drowning Person)

  • 임정빈;박득진;강유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20-828
    • /
    • 2017
  • 익수자의 부력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나 장비는 익수자의 생명 연장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소 1분의 시간 동안 사람의 머리가 수면위로 부상하여 호흡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 최소 부력의 형성에 필요한 가스의 양과 뉴턴(newton) 단위의 부력을 추정함에 있다. 부력 실험 장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한 긴 고무풍선을 이용하였고, 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력측정 실험을 하였다. 부력의 정도는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한 데이터의 통계 값을 분석하여 최소 부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이산화탄소 8 그램은 72 %의 신뢰수준에서 최소부력 조건을 만족하고, 부력은 44.66 뉴턴으로 계산되었다. 이산화탄소 12 그램은 100 %의 신뢰수준에서 최소부력 조건을 만족하고, 부력은 66.99 뉴턴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저가이면서 휴대가 간편한 최소부력지원 장치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