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pout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8초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School Dropout)

  • 노승현;정재민;최은지;김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84-6594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구성하는 잠재적 변인과 각 변인의 조작적 정의에 입각한 문항들을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개발 및 수집하였다. 또한 학업중단 청소년을 경험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10요인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일 요인으로 묶인 문항들의 내용을 반영하여 외적태도, 내적태도, 부모태도 등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청소년과 교사들에게 학업중단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체 검출 컨벌루션 신경망 설계를 위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파라미터 추출 ((Searching Effective Network Parameters to Construc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 김누리;이동훈;오성회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7호
    • /
    • pp.668-673
    • /
    • 2017
  • 최근 몇 년간 딥러닝(deep learning)은 음성 인식, 영상 인식, 물체 검출을 비롯한 다양한 패턴인식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능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에 비해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신경망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이 신경망 내부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Faster R-CN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망의 과적합(overfitting)을 막는 드랍아웃(dropout) 확률과 앵커 박스 크기, 그리고 활성 함수를 변화시켜 학습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드랍아웃과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 방식을 비교해보았다. 드랍아웃 확률은 0.3일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앵커 박스의 크기는 최종 물체 검출 성능과 큰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드랍아웃과 배치 정규화 방식은 서로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화 함수는 음수 도메인의 기울기가 0.02인 leaky ReLU가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였다.

체육계열 학과 학생의 전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Dropout, Organizational Trust, and Intention to Transfe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김미숙;김복연;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53-463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중도탈락요인, 조직신뢰, 전과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 6개 대학교의 체육계열 학과 480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도탈락요인의 학문적 영역, 사회적 영역, 환경적 영역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중도탈락요인과 전과의도의 관계에서는 학문적 영역만이 전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영역 및 환경적 영역은 전과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조직신뢰는 전과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조직신뢰는 학문적 영역과 전과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사회적 영역 및 환경적 영역과 전과의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SVM을 이용한 DCT 기반의 디지털 드롭아웃 검출 (DCT-based Digital Dropout Detection using SVM)

  • 송기훈;류병용;김재면;안기옥;채옥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190-200
    • /
    • 2014
  • 전 세계적으로 방송사 및 영상 관련 기관들의 비디오 기반 시스템이 디지털로 전환되고 있다.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드롭아웃은 콘텐츠의 질을 낮추게 만든다. 게다가 디지털 드롭아웃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가 매우 미미하며 기존 방법들로 해결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상기 이유로, 우리는 디지털 드롭아웃 블록이 가지는 독특한 패턴들의 주파수 특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이산 코사인 변환 (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특징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분류를 위해 특징 벡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SVM 기반의 오류블록 분류방법을 활용한다. 더 나아가 이 방법은 기존 방법들의 프레임 간 연속성을 이용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였다. 단독 프레임의 정보만을 이용함으로써 빠른 물체의 존재하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특정 모델이나 추정이 필요하지 않아 최소의 복잡도 하에 오류 검출이 가능하다.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elf-Esteem Among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Parental Attachment of Peer Attachment)

  • 김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3-35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Performance Comparison of Neural Network and Gradient Boosting Machine for Dropout Pre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Hyeon Gy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49-58
    • /
    • 2023
  • 학생들의 중도 탈락은 대학의 재정적 손실 뿐 아니라, 학생 개개인 및 사회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학습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의 중도 탈락 여부를 예측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의 중도 탈락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DNN(Deep Neural Network)과 LGBM(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을 이용한 모델을 구현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학습 데이터로는 서울 소재 중소규모 4년제 대학인 A 대학의 20,0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학적 및 성적 데이터를 학습에 이용하였다. 원본 데이터의 140여개의 속성 중 중도 탈락 여부를 나타내는 속성과의 상관계수가 0.1 이상인 속성들만 추출하여 학습하였다. 두 모델의 성능 실험 결과, DNN과 LGBM의 F1-스코어는 0.798과 0.826이었으며, LGBM이 DNN에 비해 2.5% 나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Confounding of Time Trend with Dropout Process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 Kim, Ji-Hyun;Choi, Hye-Hy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9권3호
    • /
    • pp.703-713
    • /
    • 2002
  • In longitudinal studies, outcomes are repeatedly measured over time for each subject. It is common to have missing values or dropouts for longitudinal data. In this study time trend in longitudinal data with dropouts is of concern. The confounding of time trend with dropout process is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studies. Some simulation results are reported for binary responses as well as continuous responses with patterns of dropouts varying. It has been found that time trend is not confounded with random dropout process for binary responses when it is estimated using GEE.

정착시간과 레귤레이션 특성을 개선한 LDO(Low Dropout Regulator)의 설계 (A Design of LDO(Low Dropout Regulator) with Enhanced Settling Time and Regulation Property)

  • 박경수;박재근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0권3호
    • /
    • pp.126-132
    • /
    • 2011
  • A conventional LDO(Low Dropout Regulator) uses one OPAMP and one signal path. This means that OPAMP's DC Gain and Bandwidth can't optimize simultaneously within usable power. This also appears that regulation property and settling time of LDO can't improve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idea, a proposed LDO uses two OPAMP and has two signal path. To improve regulation property, OPAMP where is used in the path which qualities DC gain on a large scale, bandwidth designed narrowly. To improve settling time, OPAMP where is used in the path which qualities DC gain small, bandwidth designed widely. A designed LDO used 0.5um 1P2M process and provided 200mA of output current. A line regulation and load regulation is 12.6mV/V, 0.25mV/mA, respectively. And measured settling time is 1.5us in 5V supply voltage.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선택요인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Choice Factors on Intention to Dropout of First-year Undergraduates in STEM Majors)

  • 김송림;이병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26-3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choice factors on withdrawal intention of first-year undergraduates in STEM majo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national sample of 4-year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Collegiate Longitudinal Study fund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uring 2013-2014. The data included 1,484 students in STEM majors from 30 institutions, and this study used b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tic method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found that while the internal dimensions of college choic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dropout, external dimensions of college choice such as college environment, financial accessibility, admission poss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ollege choice for enrollment management to prevent first-year undergraduates in STEM majors from dropping out.

공학계 여학생의 중도탈락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Women Student's Dropout from Engineering College)

  • 윤종태;한현우;최송아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46-52
    • /
    • 2014
  • In order to aware the situation and factors of women students' dropout from engineering college, the factor analysis for women students in P university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responses that social cultural effects is more significant ones than social effect alone, and the effects of negative gender cognition in industrial circle and college to the women employees and coeds are more significant than effects of regional or positional ones. Also showed responses that the physical difference from man students, the ability for handling machine and tools, her parents' moral support, the gender cognitive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boosting for job recruiting are more significants effects than the scholastic ability or the ageism. This may lay the foundation to make a curriculum for women included engineering education that emphasize the gender cognitive approach and the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