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jujub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2초

UPLC-DAD-QTOF/MS를 이용한 대추나무(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잎과 열매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분석 (Profiling of flavonoid glycosides in fruits and leaves of jujube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using UPLC-DAD-QTOF/MS)

  • 이민기;김헌웅;김영진;이선혜;장환희;정현아;김숙배;이성현;최정숙;김정봉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04-10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대추나무의 잎과 열매의 flavonoid 배당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된 인용문헌을 바탕으로 대추나무, 묏대추나무, 야생대추나무 등 대추나무속(Zizyphus)에 따른 flavonoid의 화학적 정보 수집 및 정리하여 대추나무속의 flavonoid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각 flavonoid 개별성분은 UPLC-DAD-QTOF-ESI/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제작된 라이브러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국내산 대추나무로부터 총 6종의 flavonoid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산 대추나무 잎의 주요 성분은 quercetin 배당체인 rutin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quercetin 3-O-robinobioside 및 isoquercitrin는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대추나무 잎에서는 처음 확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대추나무속 flavonoid의 화합물 정보를 포함하여 제작한 라이브러리는 선행된 연구와의 차이점 판단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층면접을 통한 충북지역 종가(宗家) 음식문화 특성 연구 (Specialized Research on Food Culture of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In-Depth Interview)

  • 김미혜;한정인;정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4-593
    • /
    • 2015
  • This research's main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special qualities of food culture of the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a case study on the diversified types of meals that the Main Family cooked, such as courtesy food, normal food, and seasonal food. The research identifies traditional ingredients of specialties from Chung-Buk through old literature. According to "Sejongsillokjiriji", there are a myriad of ingredients:, including jujube, ginseng, pine mushroom, manna lichen, persimmon, mandarin fish, crab, sweetfish, lacquer, honey, and terrapin, which represent Chung-Buk's unique ingredients. Another reliable source, "Banchandungsok", does not provide a detailed list of traditional foods, but rather a simple list. The majority of food from Chung-Buk, in "Banchandungsok", consist of side dishes like kimchi and salt greens. Eventually, salt greens became diversified. As Chung-Buk is a landlocked province, people often used dried pollack. Kimchi and raw coaker were frequently used as well, and rice cakes encompassed multiple ingredients such as: jujube, mushroom, pine nut, and, dried persimmon.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diversity of food and amount of dishes used by the Main Families of Chung-Buk dependent on the ingredients and wealth of each Main Family. Chung-Buk has a landscape full of mountains, so potatoes were abundant and used to make potato Dasik. When cooking process was completed, people placed kelp on to the finished product. Seasonal food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especially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Backjoong, which was a day dedicated to laborers. These foods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the community to build stronger bonds by sharing rice cake and Yukgaejang with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It is apparent that "Jeobbingac" culture, or guest culture, flourished since people in Chung-Buk are traditionally taught to leave spare food for the guest at all times.

구기자와 대추 중 잔류농약의 건조에 따른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Pesticide Residues in Chinese Matrimony Vine and Jujube by Drying)

  • 이은영;노현호;박영순;강경원;이광헌;박효경;권찬혁;임무혁;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9-164
    • /
    • 2009
  • 구기자에 등록되어 사용중인 triadimefon과 triforine, 대추에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methoxyfenozide와 thiacloprid의 건조에 따른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분무와 침지방법으로 구기자와 대추에 농약을 처리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 전후의 구기자와 대추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GLC-ECD와 HPLC-DAD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건조에 의한 가공계수와 수분보정에 의한 감소계수를 산출하였다. 건조에 의한 구기자 중 triadimefon과 triforine의 가공계수는 각각 1.41-1.81와 1.70-2.28이었고, 대추 중 methoxyfenozide와 thiacloprid의 가공계수는 각각 3.35-4.20와 1.50-1.89으로 잔류농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구기자와 대추 중 시험농약의 건조에 따른 감소계수는 구기자의 triadimefon과 thiacloprid는 각각 0.29-0.35와 0.33-0.47, 대추의 methoxyfenozide와 thiacloprid의 경우는 각각 0.75-0.98과 0.68-0.87로써 건조에 의한 시험농약의 절대량은 감소하였다.

발효 흑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3-248
    • /
    • 2012
  • 본 연구는 하나의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그 재료 자체로써 소비되기 보다는 다른 식품에 부재료로 소량 사용되고 있는 건대추의 식품학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효 흑대추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의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건대추의 수분함량은 22.66%이었으며, 발효 흑대추의 수분함량은 10.36% 이었고, 당도는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가 각각 6.07, 7.23 brix로 측정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L)값은 건대추가 34.78, 발효 흑대추가 31.82 이었으며,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도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낮았다. 수분활성도는 건대추가 0.75, 발효 흑대추는 건대추보다 낮은 0.45의 수분활성도를 보였으며, 발효 흑대추의 환원당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이 건대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에서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의 함량은 발효 흑대추가 건대추에 비해 높았으며,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무기질 성분 중 칼륨의 함량이 90%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건대추가 51.00%, 발효 흑대추가 59.83%의 조성을 보였고,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id 3개의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 50% 정도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우수한 이화학적 특성과 많은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대추에 비해 우수한 식품학적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약(山藥), 당귀(當歸), 대추를 이용(利用)한 고형차(固形茶) 개발(開發) (Development of Granular Tea Using Dioscorea Rhizome, Korean Angelica and Jujube)

  • 정상환;강동균;민기군;김상국;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6-180
    • /
    • 1998
  • 국내 재배 산약 제품의 가공 이용방법개발의 일환으로 산약, 당귀, 대추 등 혼합약재를 이용한 고형차 개발시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산약, 당귀, 대추의 각 약재별, 추출시간별, 약재 혼합비율별 총 추출수액, 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하고 과립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악, 당귀 및 대추의 각 약재를 $130^{\circ}C$ 조건에서 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 약재의 총 추출 수액, Brix당도 및 엑스함량 모두 대추가 가장 높았고, 당귀, 산약의 순으로 나타나 산약의 단독이용보다는 흔합약재의 이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2. 혼합약재 이용시 $130^{\circ}C$조건에서 추출시간을 8시간과 12시간으로 달리 하였을 때 총 추출 수액의 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Brix당도 및 엑스함량은 12시간 추출이 8시간 추출보다 각 1.17%, 1.80%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산약, 당귀, 대추 각 약재의 혼합비율별 총추출수액, Brix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한바 산약 : 당귀 : 대추가 30 : 40 : 30 (750g : 1,00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40 : 30 : 30 (1,000g : 75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 엑스 20%, 포도당 70%, 유당 10%로 배합한 것이 외관상 양호하였다. 5. 과립 굵기는 직경 1.5mm로 하는 것이 제조, 건조가 능률적이였고 제형이 우수 하였다.

  • PDF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Doraji-apple juice mixed with jujube extracts)

  • 김자민;문용선;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9-2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으며,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즙, 대추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고 각각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3.90~4.15이었으며, 산도는 1.2에서 1.5 사이를 나타내었다. 당도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값(9.33 $^{\circ}Brix$)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85.05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B가 41.23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산비 수치의 경우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6.9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706 ${\mu}g/mL$)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제조를 위해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주스, 대추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례도감의궤(嘉禮都鑑儀軌)에 나타난 1600년대(年代)의 조선왕조(朝鮮王朝) 궁중(宮中) 가례상(嘉禮床)차림 고(考) -1651년(年) 현종(顯宗) 명성후(明聖后), 1696년(年) 경종(景宗) 단의후(端懿后) 가례동뢰연(家禮同牢宴)- (A Study of Wedding Feast Dishes in Gare Dogam Euigwae (1651, 1696))

  • 김상보;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58
    • /
    • 1990
  • To analyze wedding feast dishes of royal prince (1651, 1696) of Choson Dynasty, studied Gare Dogam Euigwae. Historic book 'Gare Dogam Euigwae' discribed wedding feast dishes of king‘s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Dishes were arranged in four kinds of table, the first one called the main table, the second the right side table, the third the left side table, the fourth the confronting side table. Dishes of main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fruits (pine nuts, orange, dried persimmon, torreya nuts, dried chestnut, jujube). Dishes of the second table and the third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small cake made of honey and rice with patterns pressed in it. Dishes of the fourth table were cooked vegetable (wild ginseng, platy-codon, radish, white gourd melon, ginger), dried slices of meat seasoned with spices (abalone, octopus, shark, pheasant), cooked meat (wild goose, fowl, egg, pheasant, abalone), and fried fish (roe deer, fish, duck, pigeon, sparrow). The main table (同牢大宴床) and the second table (右挾床) stand as a symbol for integrity. The third table (左挾床) symbolize longerity. The fourth table (面挾床) symbolize bearing many young and connubial felicity.

  • PDF

가온숙성온도와 기간에 따른 건대추의 성분과 항산화활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Jujube with Different Aging Temperatures and Durations)

  • 박혜진;이상훈;김현영;장귀영;황인국;우관식;권오성;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91-597
    • /
    • 2012
  • 숙성온도와 기간에 따른 대추의 성분변화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갈변도는 무처리구에 비해 가온숙성처리구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숙성 30일차 및 50일차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fructose와 glucose함량은 가온숙성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숙성온도 및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HMF 함량은 숙성온도 및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숙성 50일차 $80^{\circ}C$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도 숙성 온도와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가온숙성처리구에서 높았으며, 환원력은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지만 숙성일수에 따른 변화는 작게 나타났다. 숙성 온도 및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페놀성 화합물의 증가로 인하여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대추의 항산화활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숙성조건은 $70^{\circ}C$에서 15~30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하여 건대추의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켜 새로운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추의 활용도 제고 및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춘천지역 주부들의 제례음식 준비에 관한 연구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Ancestral Service Food in Chuncheon Area)

  • 김은실;함승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5-246
    • /
    • 2001
  •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the memorial ceremonial food in Chuncheon area showed it varied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of officiator, location(inland or seaside town) , and personal condition. The study included the foods prepared for the memorial services on the memorial day. New Year's Day and Chusok. 1. 40.4% of the subjects were in the thirties at their age, 46.6% were high school graduates, 57.3% were the first daughter-in-law, 40.4% had no religion, 30.9% were working at public administration and earned less than 1 to 1,5 million won monthly. 2. 71.7% of the subjects who replied that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had to be kept were Buddhists. 55.4%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58.8% of them ran independent businesses. They learned how to practice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from their mother before marriage or from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3. The older the officiators, the better they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format of the service, but the Christians and Catholics wanted to change the format to western style in the future. 4. 92.7% of them served cooked milled rice. They prepared the soup in the order of beef soup, radish soup and dried Alaskan pollack soup. 5. Among cooked vegetable dishes, bracken was used the most and balloonflower root, mung bean sprout and spinach followed. Among jeon(pan-fried foods). frozen Alaskan pollack was used the most and buckwheat, mung bean and meatball followed. 6. They served san-juk(beef kebab) mostly on the ceremony. Among the grilled foods, tofu was the favorite, and croaker followed. 7. Among the fried foods. squid was the favorite, and sweet-potato and shrimp followed. Among the dried foods. they used in the order of dried Alaskan pollack, dried beef and squid. 8. Among the rice cake and traditional confectionery, they used in the order of Yak-sik(sweet rice cake), Gang-jeong(fried glutinous rice cookie), Jeol-pyun and In-jeol-mee. Among a beverage, they served Sik-hye(fermented rice drink) mostly. 9. Among fruits, apples. jujube, chestnut and dried persimmon were served. Aong a liquor, Cheongju was served mostly. 10. Soy sauce, salt and salted fermented fish were served, too.

  • PDF

모해병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ㆍ텍스쳐 특성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ohaebyung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 이효지;임미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3-50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ohaebyung by the addition of chestnut, jujube, dried persimmon, pine nut, and codonopsis lanceolata flour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Mohaebyung, the acceptance for the color, moistness and sweetness was best with the addition of 25% mixed flour. The flavor, grain, chewiness and overall quality were best with the addition of 20% mixed flour. As a result of a textural analysis,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of Mohaebyung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addition of mixed flour. The redness, yellowness and lightness of Mohaebyung were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addition of mixed flour. A moisture content of 15% in the mixed flour added to the Mohaebyung was higher with 25% mixed fl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