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fish protei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1초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의 이화학적 성분 및 발효양상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f Sliced, Dried Radish Kimchi with Flying Fish Roe)

  • 장미순;박희연;남기호;김민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66-574
    • /
    • 2014
  • 날치알을 사용하여 무말랭이 김치를 제조하고 일반 무말랭이 김치와 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평가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35일간 저장하는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pH, 산도 및 젖산균의 변화를 측정하여 발효양상 비교 실험도 하였다. 일반 무말랭이 김치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각각 2.93% 및 0.16%이었고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경우는 각각 4.75% 및 0.36%로,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에서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철 및 칼슘 함량의 경우도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핵산 관련물질 중에서도 정미성분과 관련이 있는 AMP 및 IMP의 함량이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지방산 분석 결과,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일반 무말랭이 김치보다 낮았으나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 무말랭이 김치보다 5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DHA의 함량은 일반 무말랭이 김치보다 약 23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무말랭이 김치와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proline, alanine, leucine 및 valine 이었고, glutamic acid와 glycine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관능평가 결과에서 일반 무말랭이 김치보다 외관, 향미, 맛 및 질감 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pH 및 산도의 변화를 보면, 레몬즙에 침지 처리한 날치알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 무말랭이 김치보다 초기 pH는 낮고 초기 산도값은 높았으나, 저장 14일 이후부터는 동일한 발효양상을 보였다. Leconostoc sp. 및 Lactobacillus sp.의 경우는 저장 14일째에 최대값을 보인 후에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낸 것처럼,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는 조단백질 및 무기질 함량이 일반 무말랭이 김치에 비해 높고, 날치알의 첨가가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식품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무말랭이 김치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효기간 동안 일반 무말랭이 김치와 동일한 발효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때,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는 정상적인 발효가 진행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복원력이 좋은 정어리 단백질 농축물의 가공 -1. 정어리 단백질 농축물의 가공 및 제품의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Processing of Sardine Protein Concentrate with Good Rehydration Capacity -1. Processing and Product Quality of Sardine Protein Concentrate-)

  • 이승원;주동식;김진수;김풍호;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3
    • /
    • 1991
  • 정어리를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정어리육을 채취하여 autoclave$(121^{\circ}C,\;15Lbs)$에서 처리한 다음 압착 및 알칼리용액을 분무시킨 후 이를 건조 및 분쇄하여 정어리 어육 농축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고온가압처리 시간은 $121^{\circ}C$에서 1분, pH는 7.8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의 단백질함량은 $74.4\%$, 지방함량은$9.1\%$였다. 또한 수율은 $40.0\%$로 자숙처리한 제품이나 에탄올 처리한 제품보다 높았고, 유화성 및 보수력은 각각 $48.7\%,\;50.0\%$ 였다 포말성을 $44\%$로 낮았으며, 포말안정성도 $1{\~}2$시간으로 낮았다. 소화율은 $78.2\%$로 자숙처리제품(B) 및 에탄올처리제품(C)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소화된 성분의 관능검사 결과 고온가압처리제품(A)가 감칠맛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복어 육과 껍질 농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Concentrate Prepared by Puffer Muscle and Skin)

  • 김래영;성낙주;김원태;박재희;김연주;주종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73
    • /
    • 2010
  • 어육 단백질 급원식품으로서 복어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육과 껍질로 분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반성분은 복육과 복껍질에서 각각 조단백의 함량이 89.5와 82.7%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껍질에서 회분은 육에서 더 높은 함량이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IMP의 함량이 다른 성분에 비해 높았으며, 여타 성분은 $1\;{\mu}mol/g$ 미만으로 정량되었다.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각각 83.9%와 66.3%로 복육에서 더 높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는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25.9%로 복육 건조분말에 비하여 높은 비율이었다. 구성아미노산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17종,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함량도 복육 건조분말(83,739 mg/100 g)에서 복껍질 건조분말(75,361 mg/100 g)에 비해 더 높았다. 복육 건조분말에서는 glutamic acid가 13,707 mg/100 g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valine, glycine 순이었다. 복껍질 건조분말은 glycine이 14,843 mg/100 g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arginin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25종,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22종이 검출되었는데 taurine이 각각 554.4 mg/100 g과 153.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약 1.5배 더 높았으며 특히 cysteine의 경우 복껍질 건조분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복육 건조분말에서는 $159.3\pm1.8$ mg/100g으로 정량되었다.

명란 마늘 고추장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Garlic Gochujang with Alaska Pollock Therage chalcogramma Roe)

  • 황지영;정효빈;장종수;장석준;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5-242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dried Alaska Pollock Therage chalcogramma roe (D-AP-R) for preparing garlic gochujang with D-AP-R. We investigated the optimal preparation of garlic gochujang with D-AP-R by proximate composition, taste, color, and odor measurem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ash contents and water activity of garlic gochujang with D-AP-R decreased as the amount of D-AP-R increased, whereas other components, such as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taste value, yellowness of Hunter color, and odor intensity, increased as D-AP-R increased.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garlic gochujangs with 10 and 15% D-AP-R were superior to garlic gochujang without D-AP-R (control) in terms of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but inferior in terms of fish odo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nsual color of garlic gochujang with versus without D-AP-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quality garlic gochujang can be prepared by adding 10% D-AP-R.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garlic gochujang with 10% D-AP-R was 11.81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9.05 mg/100 g). The cholesterol content of garlic gochujang with 10% D-AP-R was 16.1 mg/100 g, which is below the acceptable daily cholesterol intake (300 mg/day).

Enhancement of Bromophenol Content in Cultivated Green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 Kim, Joo-Shin;Ma, Wing Chi Joyce;Chung, Hau Y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113-118
    • /
    • 2007
  • Bromophenols are a group of compounds found only in marine organisms. They accumulate and give a sea-like aroma to marine animals. Cultivated fishes generally contain low concentrations of bromophenols compared to wild fishes. Feeding cultivated fishes with bromophenol-containing seaweed could increase their bromophenol content and thus improve their flavor qualit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n experimental feed on the bromophenol content of green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during an 8-week feeding period. Green grouper individua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ed with conventional feed or experimental feed containing dried seaweed. Fish were collected biweekly for 8 weeks for proximate analyses and bromophenol content evaluations. Bromophenols were extracted,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Both moisture and lipid contents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controls; however, total weight and protein content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nly 2,4-dibromophenol and 2,4,6-tribromophenol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Throughout the 8 weeks, 2,4,6-tribromophenol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9.20-32.3 ng/g dry wt) than in the control group (7.33-18.79 ng/g dry w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4-dibromophenol concentration was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total bromophenol content reached a maximum at week 4 for the experimental feed and week 6 for the control. In short, experimental feed that incorporated bromophenol-containing seaweed increased the total bromophenol content in the green grouper.

광주시내 여중학생의 도시락 영양실태와 식품 기호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for Lunch-Box, the Taste of Food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Middle School Girls in Kwangju City)

  • 안순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3-68
    • /
    • 1988
  • This article concerned with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taste of the lunch box of 311 middle school girls in Kwangju City from May 18 to June 12 in 198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making materials to show direction of the education about nutrition by checking relationships among the nutritional status for the lunch box, the taste of food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observ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take of nutrition from the lunch box and the ratio betwee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and the contained nutrients in the lunch box as follows. Calorie(603 Kcal, 78.6%), protein (21.7g, 93.1%) Animal protein (10.3g, 132.1%) calcium (151.7 g, 56.9%) Ferrum 93.1 mg, 51.7%), Vitamin a (129.3 RE, 55.4%) Vitamin B1 (0.29 mg, 72.5%), Vitamin B (0.26 mg, 55.3%) Niacin (4.7 mg, 94.0%), Vitamin C 913.2 mg, 79.0%). Except animal protein, all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2. According to the intake of calorie, the ratio of taken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77.7 : 15.5 : 6.8. The intake of protein was desirable but most of calorie depended on carbohydrate. Among the total intake of protein, the ratio of animal protein was 47.5%, which was a high rate. 3. Most of calorie (75%), was taken from staples, protein (41.5%), vitamin B1 (48.3%) were taken at the same rate from staples and side dishes. Most of fat, calcium, ferrum, vitamin A, vitamin B, and vitamin C, was taken from side dishes. 4. In taking among the five basic food groups, proportion of the grain fourth food group was the highest, light color vegetable the third food groups, proportion of the grain fourth food group was the highest, light color vegetable the third food group was second, and Calcium food the second food group was the lowest. 5. As the staples, students liked tchajangmyon, mandu and ttokkuk as written order. They disliked Kongbap and Patpap. As the side dishes for the lunch box, they liked kimchi, ham, sausage, cuttlefish, dried slices of filefish, eggs and green seaweed as written order. As a side dishes they liked Laver, Cucumber, Squid, lettuce, Potatoes. They disliked pork fat, cow's intestines, cow's liver, Crussian carp, pickled fish. The favorite snack was fruits, ice cream, hamburger, Chocolate and milk. 6. In taking condition of the principal food, rice rate (65.6%) was the most, and mixed food was 5 or 10%. 7. Favorite cooking was frying, roasting and kimch. But disagreeable cooking was pickling. 8. Favorite food was what was pungent but disagreeable food was what was salty. 9.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higher their income was. Also the more various the information about the nutrition was, the better the intake of nutrition was. 10. The preference tendency influenced in choosing the side dish of the Lunch box. The higher the preference tendency of the girl students became, the better their nutrition condition became.

  • PDF

참전복 사료의 단백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9
    • /
    • 1998
  • 참전복 사료에 적합한 단백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육분, 우모분, 혈분, 대두박, 콘글루텐 밀, 면실박, 미역분을 첨가한 배합사료와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를 선정하여 그 이용성을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11 g인 치패를 실험수조마다 70마리씩 수용하여 18주간 사육한 결과, 생존률은 카제인, 북양어분, 육분, 우모분, 미역분과 소맥분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P>0.05) 타 실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구들의 최종평균체중은 0.27~0.74 g으로 북양어분을 첨가한 실험구가 0.7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박 및 미역분말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북양어분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없이(P>0.05)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카제인 첨가구는 0.64 g으로 북양어분 첨가구와는 유의차를 보였으나(P<0.05). 다음으로 면실박과 소백분 첨가구가 0.55~0.57 g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육분 첨가구는 0.44 g,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 공급구는 0.29~0.34 g, 우모분과 콘글루텐 밀 첨가구는 0.26~0.27 g으로 나타났으며, 혈분 첨가구가 0.19 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증체율과 각장 및 각폭도 평균체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78.5~79.6% 및 13.2~14.2%로 사료의 단백질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어분, 대두박, 면실박, 미역분말 또는 소백분은 참전복 사료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참전복 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키고, 사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송어 육포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and Dried Fish Slice Products Using Rainbow Trout (Onchorhynchus mykiss))

  • 허민수;김형준;함준식;박신호;김혜숙;강경태;지성준;이재형;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48-356
    • /
    • 2008
  • 송어의 용도 확대에 의한 어민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송어를 이용한 육포 유사제품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시판 참치 육포 및 돼지 육포에 비하여 송어 육포의 수분 함량은 낮았고 지질 함량은 높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참치 육포에 비하여는 높았고 돼지 육포에 비하여는 낮았다. 수분활성은 송어 육포가 0.65로 시판 참치 육포(0.72) 및 시판 돼지 육포(0.77) 보다 낮았다. 송어 육포의 색조는 시판 참치 육포 및 돼지 육포에 비하여 명도 및 육포 특유의 적색도의 경우 다소 낮았고 갈변도 및 색차의 경우 다소 높았으며, 조직감은 시판 참치 육포에 비하여는 딱딱한 감이 있으나 시판 돼지 육포에 비하여는 상당히 연한 느낌이었다. Taste value는 송어 육포가 60.57로 시판 참치 육포(92.62)보다는 낮았고, 돼지 육포(54.56)보다는 높았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송어 육포가 시판 참치 육포(28.0 g/100 g)보다는 높았고, 돼지 육포(49.7g/100 g)보다는 낮아 단백질 함량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송어 육포의 n-3/n-6 비율이 1.6으로 돼지 육포(0.1)는 물론이고, 참치 육포(0.9)보다도 높았으며, 칼슘, 인 및 철의 함량은 각각 71.9 mg/100 g, 314.8 mg/100 g 및 2.9 mg/100 g이었다.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을 기피(忌避)하는 일부(一部) 유치원(幼稚園) 아동(兒童)의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要因) (A Study on the Preference on Protein Rich Foods in Kindergarten Children in Gyeong Nam Area)

  • 윤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1호
    • /
    • pp.3-9
    • /
    • 1984
  • 경남 마산시, 진해시, 창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유치원 아동중 단백질(蛋白質) 급원(給源) 식품(食品)을 기피(忌避)하는 103명(名)에 대(對)한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남여비(男女比)는 1.2 : 1로서 남아(男兒)에 다소 높게 나타나고 생활(生活)은 중류(中流)이며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高卒), 그리고 첫째 아이가 많았고 대부분 $2{\sim}3$형제의 핵가족(核家族)이였다. 2)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 38개중 50%이상이 기피(忌避)하는 식품(食品)은 메주콩, 꽁치, 고등어, 멸치, 조개, 굴, 된장, 명태, 북어, 납세미, 미꾸라지, 도미, 민어, 조기, 곰국, 쇠간, 돼지고기, 칼치 등 18개 식품(食品)이였고 33%이상이 먹어보지 못한 식품(食品)은 쇠간, 쇠곱창, 쇠갈비, 뱀장어. 미꾸라지 등을 들고 있었다. 3) 기피(忌避) 이유(理由)는 맛이 좋지 않아서가 43.7%로 가장 많았고 독특한 냄새가 싫어서가 29.1%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생각으로는 몸에 좋다고 억지로 먹이려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30.1%) 보고 있었고 다음이 가족이나 친구의 영향 (29.1%) 으로 보고 있었다. 4)이의 교정을 위하여 아동은 맛있고 예쁘고 골고루 해주기를 원했고 어머니들은 이에 관한 구체적인 영양교육 실시를 원하고 있었다.

  • PDF

말쥐치 농축단백질(濃縮蛋白質)의 제조(製造)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2 보 : 제조방법(製造方法)에 의한 기능성(機能性)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Filefish Protein Concentrate (FPC) -II.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 양한철;임승택;손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2-261
    • /
    • 1983
  • 매년 200,000톤 이상이 어획되고 있으나 주로 단순한 어포로서만 이용되고 있는 말쥐치를 원료로 하여, isopropyl alcohol에 의해 지방이 제거된 filefish protein conceutrate(FPC)과, NaOH용액에 의한 가수분해에 이어 lactic acid용액으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얻은 filefish profein isolate(FPI)를 식품에 첨가이용하기 위하여, 제조공정 및 건조조건에 따른 기능성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영양적인 면에서 보면 FPI의 pepsin소화율은 FPC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lysine, leucine, alanine 등의 몇몇 아미노산 함량의 손실이 있었다. FPC의 단백질 분자조성은 어육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FPI의 단백질은 대부분 degradation되었다. FPC의 수용액상에서의 질소 용해도는 용액의 pH변화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FPI의 경우는 크게 변하였으며 pH7.0에서는 FPI가 FPC보다 높은 용해도를 나타냈다. 냉동 건조된 FPC와 FPI는 진공 또는 강풍건조로 제조한 것보다 용해도가 낮았다. 용해도, 보수력, 분산력, 유화 형성 능력, 보유력(保油力)등의 기능성을 비교해 본 결과, FPI가 FPC보다 대부분의 기능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기포 형성 능력과 emulsion의 점도는 FPC가 우수하였다. FPC와 FPI의 Emulsion의 형태는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FPC emulsion의 지방구는 FPI emulsion의 경우보다 훨씬 크고, 그 표면에 녹지 않은 단백질 입자를 포집하고 급속히, 유화에 관여하지 않은 수용액과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제조시 건조온도를 증가시킬수록, 변성에 의해 대부분의 기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나, 보수력은 단백질 구조상의 변화에 의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