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rate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9초

Ebstein 기형의 수술 -2례 보고- (Surgical Repair for Ebstein's Anomaly)

  • naf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289-296
    • /
    • 1979
  • For years, physicians and anatomist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heart that has one functioning ventricle. Various terms have been suggested for this entity including single ventricle, common ventricle, double-inlet left ventricle, cor biatriatum triloculare, and primitive ventricle. In this report, the term "single ventricle" is utilized as suggested by Van Praagh, and is defined as that congenital cardiac anomaly in which a common or separate atrioventricular valves open into a ventricular chamber from which both great arterial trunks emerge. An outlet chamber, or infundibulum, may or may not be present and give rise to the origin of either of the great arteries. This definition excludes the entity of mitral and tricuspid atresia. An 11 year old cyanotic boy was admitted chief complaints of exertional dyspnea and frequ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since 2 weeks after birth. He was diagnosed as inoperable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remained without any corrective treatment up to his age of 11 year when he suffered from aggravation of symptoms and sign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for 2 months before this admission. On 22nd of May 1979, he was admitted for total corrective operation under the impression of tricuspid atresia suggested by a pediatrician. Physical check revealed deep cyanosis with finger and toe clubbing, and grade V systolic ejection murmur with single second heart sound was audible at the left 3rd intercostal space. Development was moderate in height [135 cm] and weight[28Kg]. Routine lab findings were normal except increased hemoglobin [21.1gm%], hematocrit [64 %], and left axis deviation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on EKG.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graphy revealed 1-transposition of aorta, pulmonic valvular stenosis, double inlet of a single ventricle with d-loop, and normal atriovisceral relationship [Type III C solit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Van Praagh]. At operation, longitudinal incision at the outflow tract of right ventricle in between the right coronary artery and its branch [LAD from RCA] revealed high far anterior aortic valve which had fibrous continuity with mitral annulus, and pulmonic valve was stenotic up to 4 mm in diameter positioned posterolaterally to the aorta. Ventricular septum was totally defective, and one markedly hypertrophied moderator band originated from crista supraventricularis was connected down to the imaginary septum of the ventricular cavity as a pseudoseptum of the ventricle. Size of the defect was 3X3 cm2 in total. Patch closure of the defect with a Teflon felt of 3.5 x 4 cm2 was done with interrupted multiple sutures after cut off of the moderator band, which was resutured to the artificial septum after reconstruction of the ventricular septum. Pulmonic valvotomy was done from 4 mm to 11 mm in diameter thru another pulmonary arteriotomy incision, and right ventriculotomy wound was closed reconstructing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with pericardial autograft of 3 x 4 cm2. Atrial septal defect of 2 cm in diameter was closed with 3-0 Erdeck suture, and atrial wall was sutured also when rectal temperature reached from 24`C to 35.5`C. Complete A-V block was managed with temporary external pacemaker with a pacing rate of 110/min. thru myocardial wir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of 80/50 mmHg was maintained with Isuprel or Dopamine dripping under the CVP of 25-cm saline. Consciousness was recovered one hour after the operation when his blood pressure reached 100 /70 mmHg, but vital signs were not stable, and bleeding from the pericardial drainage and complete anuria were persisted until his heart could not capture the pacemaker impulse, and patient died of low output syndrome 320 min after the operation.

  • PDF

북한지역 평년의 경관규모 기온분포도 제작 (Mapping Monthly Temperature Normals Across North Korea at a Landscape Scale)

  • 김수옥;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남한 전역 기온기후도 제작에 활용된 소기후 모형을 북한의 885개 표준유역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평년(1971-2000) 및 10년 단위(1971-1980, 1981-1990, 1991-2000, 2001-2010) 월별 일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27개 및 남한 17개 기상대 기온자료의 단순내삽 기후도를 관측지점 고도값으로 산출한 기온감률을 통해 고도차 보정을 하였고, 최저기온의 온난대효과와 냉기침강효과, 도시열섬효과 및 최고기온의 일사효과, 바다효과로 인한 기온 추정오차를 보정하였다. 추정된 평년 월별 평균기온의 북한 전체 공간평균값은 한겨울의 경우 남한에 비해 $7^{\circ}C$, 여름에는 $3^{\circ}C$ 가량 낮았다. 북한의 1970년대와 2000년대 사이 기온 상승은 봄철과 가을철에 보다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의 4월 최고기온이 $15^{\circ}C$ 이상인 지역이 북한 전체의 36.9%인 것에 비해 2000년대에는 44.3%로 증가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평년 1월의 경우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 $10^{\circ}C$ 이상인 지역은 북한 전체의 13.4%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서 17%로 확장되었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강 생육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inger Growth)

  • 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94
    • /
    • 2013
  • 생강 재배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 생강의 양분 흡수 관계, 생강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과 생강 수확 후 토양 특성을 비교하면, 시험 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04{\sim}0.13g\;kg^{-1}$, 치환성 K는 $1.88{\sim}2.80cmol_c\;kg^{-1}$, 치환성 Mg는 $0.41{\sim}0.55cmol_c\;kg^{-1}$, 수확 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31{\sim}0.95g\;kg^{-1}$, 치환성 K는 $0.47{\sim}1.37cmol_c\;kg^{-1}$, 치환성 Mg는 $1.07{\sim}1.97cmol_c\;kg^{-1}$로서 전질소 함량과 치환성 Mg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치환성 K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식물 양분 중 K, Ca, Zn, Cu의 흡수량이 지상부에서, 망간의 흡수량은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K의 흡수량은 지상부에서 $63.9{\sim}72.3g\;kg^{-1}$, 지하부에서 $27.6{\sim}37.3g\;kg^{-1}$로서 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생강 중 K의 높은 흡수량으로 인하여 토양 중 치환성 K의 함량이 수확 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생강의 뿌리썩음병은 저지대 및 식양토에서 높은 병발생률을 보였는데, 저지대로의 수분이동과 저지대의 배수 취약성이 병발생을 증가시키고, 토양수분 보유력이 높은 식양토 또한 병발생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뿌리썩음병 발생률은 낮게는 26.7%에서, 높게는 88.1%로 나타났는데, 생강 성숙기인 8월과 9월의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도 높은 뿌리썩음병 발생의 원인으로 보인다. 생강 뿌리썩음병은 토양의 토성 및 지형 조건에 따른 토양수분의 증가,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 등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생강 재배지 선정시 지대의 경사, 토성, 배수 system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생태학적 기능을 이용한 광미 활용 전기 생산: 철산화박테리아를 이용한 황철석 산화 속도 증진을 통한 전류 밀도 향상 가능성 평가 (From Mine Tailings to Electricity using Ecological Function: Evaluation of Increase in Current Density by Increasing the Oxidation Rate of Pyrite using Iron Oxidizing Bacteria)

  • 주원정;조은혜;남경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1호
    • /
    • pp.19-24
    • /
    • 2014
  • 본 연구는 광산 지역 토착미생물인 철산화박테리아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를 이용하여 산성광산배수의 원인물질인 황철석을 함유한 광미로부터 전기를 생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예비실험으로서 철산화박테리아의 존재 여부가 배양액 내 $Fe^{2+}$과 총 철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철산화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초기 9,000 mg/L의 $Fe^{2+}$이 약 6,000 mg/L까지 감소하였으나, 철산화박테리아가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약 400 mg/L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철산화박테리아가 $Fe^{2+}$의 산화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황철석을 활용한 연료전지에 철산화박테리아를 적용하면 $Fe^{2+}$의 산화 과정에서 생기는 전자의 이동이 증가하여 전지의 전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광산 지역 토착미생물의 생태학적 기능을 활용해 광미로부터 전기를 생산해내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자연성 기흉의 수술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for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경훈;강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11-1116
    • /
    • 1997
  • 1994년 9월 부터 1996년 9월까지 본원에서는 38명의 환자가 비디오 흉강경수술로써 자연성 기흉질환에 대 해 치료를 받았다. 이 중 자연성 기흉 환자는 38명이었으며 남자가 31명 여자가 7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세 였다 사망은 없었고 비디오 흉강경을 통한 술후 합병율은 자연성 기흉의 경우에서 7.9%(3/38)였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자연성 기흉의 수술의 경우에 재발성 기흉은 없었고 창상 열개가 3례, 7일 이상의 지속적 공기 누출이 3례 있었고 동일한 환자였다. 같은 시기에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하여 자연성 기흉을 수술한 38 례의 A군과 개흉술을 이용한 21례의 B군과의 비교 분석을 하였다. A군에서는 평균 추적기간 14.3717.48개 월간 재발성 기흉은 없었으나, B군에서는 16.81$\pm$7.12개월간 1례의 재발이 있었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과 개 흉술에서의 마취 유도시간을 포함하여 수술시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술 후 입원 기간과 술 후 흉관 삽입 기간은 비디오 흉강경 수술시에 보다 적었다. 술 후 합병율은 A군에서 7.9%(3/38)로 B군 42.9%(9/21) 보다 훨씬 적었다. A군에서 동일한 환자에서 창상 열개와 7일 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ulcorner시에 있었던 경우가 3례였고, B군에서는 기흉의 재발 1례와 창상 열개 2례가 동반하는 7일 이상의 지속적인 공기 누출이 8례가 있었고 1례에서는 농흉이 발생하였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은 개흉술에 비해 자연성 기흉에 대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 PDF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and Empyema)

  • 김영주;차승익;권지숙;유승수;전희정;김은진;김창호;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1호
    • /
    • pp.24-30
    • /
    • 2007
  • 연구배경: 폐렴 환자 중 약 40%에서 흉막삼출이 동반되고 이 가운데 약 10%에서 배액이 필요한 합병부폐렴삼출 또는 농흉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 환자에서 치료성적과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으로 치료받았던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중 101예(87.8%)에서 치료성공을 보였는데 다변량분석에서 흉막액 LDH 수치(OR 7.37;95% CI, 1.63-33.37; p=0.009)가 치료성공 및 실패에 중요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해열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로는 흉막액의 농성여부(r=0.236;p=0.01)와 섬유소용해물질 사용빈도(r=0.257; p=0.01)가 확인되었고 입원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인자는 없었다. 결 론: 흉막액 LDH 수치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에서 치료성적과 연관된 예후인자로 생각된다.

지하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증가량 계산 및 유황 분석 (Analysis of Flow Duration and Estimation of Increased Groundwater Quantity Due to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 김종태;김규범;정일문;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91-98
    • /
    • 2014
  • 본 연구는 지하댐 건설에 의한 지하수 증가량을 계산하고 지표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면적과 지하수위, 유효공극률을 이용해 지하수량을 계산하였으며 영덕 오십천의 유황분석을 실시하여 지하수량 증가에 따른 지표수 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 증가량은 지하댐 유역 기준으로 최대 $91,746m^3$이며 지하댐 하류의 지하수 감소량은 최대 $11,259m^3$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지하수 확보량은 총 $80,487m^3$이며 지하수 감소량은 지하수 증가량에 비해 12.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댐 건설 후 하류지역의 유황곡선을 분석한 결과 댐건설로 인해 유출량의 변화가 최대 $3.00{\times}10^{-2}m^3/s$ 발생하였으나 댐 건설 전과 비교해 전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하댐이 지표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도천공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 박재홍;최창석;김대환;황상원;유병하;김한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14-219
    • /
    • 2006
  • 배경: 식도천공은 비교적 흔하지 않지만,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치료와 결과는 증상의 시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 저자들은 식도천공 환자들을 최근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하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식도 파열로 치료한 환자들을 후향적 분석하였다. 28명 환자들에서(남자 22명, 여자 6명: 평균나이 51세, 최소 17세에서 최고 82세)천공의 원인을 보면 이물질 9명, 외상 7명, 자연적 파열 7명, 의인성 5명이었다. 환자중 18명은 24시간 내 진단되었으며, 10명은 24시간 이후에 진단되었다. 21명($75\%$)에서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에서는 식도 절제술, 3명의 환자에서는 위루술과 배농술를 시행하였다. 결과: 병원 사망률은 $18\%$이며, 그리고 의인성에서 사망률이 증가하였다(p <0.05). 천공위치, 천공 후 시간, 치료방법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수술 후 누출은 4명의 환자에서 생겼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이 되었다. 결론: 식도 파열은 진단과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아직도 위험한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발현시간에 관계없이 일차 재건술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식도파열 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에 필수적이다.

자연기흉의 임상적 고찰(451례) (The Manage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Clinical Review in 451 Cases-)

  • 오태윤;장운하;배상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74-379
    • /
    • 1998
  • 1985년 3월부터 1997년 6월까지 강북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 치료한 자연기흉451례를 후향적으로 임상분석하였다. 대부분이 남자환자 였으며(8.2:1), 원발성 자연기흉환자의 평균연령은 26.8세, 속발성 자연기흉은 53.1세였다.속발성 자연기흉의 원인으로는 결핵이 87례(73%)로 가장 많았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19.2%, 그외 기관지 천식, 폐암, 진폐증, 폐렴 등이었다. 환자의 치료로는 안정 및 산소요법이 42례, 흉강 삽관술로 치료한것이 208례, 개흉하에 폐기포 절제술이나 폐엽절제술을 시행한경우가 156례, 그리고 45례에서는 비디오 흉강경수술을 시행하였다. 평균술후흉관보유기간은 개흉술이 8.3일, 비디오흉강경 수술의 경우는 4.7일이었고 흉강삽관술로만 치료한경우 평균흉관보유기간은 11.2일이었다. 본원의 경우, 최근 3년동안 비디오 흉강경 수술이 외과적 수술의 적응이 되는 자연기흉의 치료에 개흉술보다 더 흔히 적용되는 술식이 되었다(1994 33%, 1996 78%). 향후 비침습적 수술방법이 더욱더 발전함에 따라 비디오 흉강경 수술은 자연기흉의 일차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의 적절성을 평가 하기위한 다자간의 공동연구가 요구된다.

  • PDF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f the Challenges Inherent in Using Large Cell-Type Stents for Bilateral Stent-in-Ste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Hilar Biliary Obstruction

  • Yang, Min Jae;Kim, Jin Hong;Hwang, Jae Chul;Yoo, Byung Moo;Lee, Sang Hyub;Ryu, Ji Kon;Kim, Yong-Tae;Woo, Sang Myung;Lee, Woo Jin;Jeong, Seok;Lee, Don Haeng
    • Gut and Liver
    • /
    • 제12권6호
    • /
    • pp.722-727
    • /
    • 2018
  • Background/Aims: Although endoscopic bilateral stent-instent placement is challenging, many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promising outcomes regarding technical success and endoscopic re-interventi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echnical accessibility of stent-in-stent placement using large cell-type stents in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hilar biliary obstruction. Methods: Forty-three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hilar biliary obstruction from four academic centers were prospectively enrolled from March 2013 to June 2015. Results: Bilateral stent-in-stent placement using two large cell-type stents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88.4% of the patients (38/43). In four of the five cases with technical failure, the delivery sheath of the second stent became caught in the hook-cross-type vertex of the large cell of the first stent, and subsequent attempts to pass a guidewire and stent assembly through the mesh failed. Functional success was achieved in all cases of technical success. Stent occlusion occurred in 63.2% of the patients (24/38), with a median patient survival of 300 days. The median stent patency was 198 days. The stent patency rate was 82.9%, 63.1%, and 32.1% at 3, 6,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Endoscopic re-intervention was performed in 14 patients, whereas 10 underwent percutaneous drainage. Conclusions: Large cell-type stents for endoscopic bilateral stent-in-stent placement had acceptable functional success and stent patency when technically successful. However, the technical difficulty associated with the entanglement of the second stent delivery sheath in the hook-cross-type vertex of the first stent may preclude large cell-type stents from being considered as a dedicated standard tool for stent-in-stent pla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