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el-bar-desig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다웰바 거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wel-Bar Behavior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3-D FEM Analysis)

  • 홍성재;윤찬영;이승우;김연복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79-85
    • /
    • 2009
  • 국내의 줄눈 콘크리트 포장설계에 주로 사용되는 다웰바 설계 기준은 국외 기준과 검증되지 않은 경험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웰바의 설치는 길어깨나 하부층의 조건 등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서 슬래브 폭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다웰바를 합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웰바 거동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이를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다웰바의 거동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Timoshenko이론의 다웰바 거동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 도로에서 교통하중이 여러 개의 다웰바에 분산 전달하는 다웰바의 그룹작용(Dowel Group Action)을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다웰바 그룹작용 적용범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다웰바 그룹작용 범위는 Friberg의 그룹작용 범위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비교적 최근 연구 결과인 Tabatabaie의 그룹작용 범위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 PDF

플로팅 슬래브궤도 연결부의 강도 분석 (Strength Analysis of Joints in Floating Slab Track)

  • 권구성;정원석;장승엽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81
    • /
    • 2011
  • The passage of railway vehicles generates mechanical vibrations and noises. This problem can be mitigated by the 'floating slab track' that isolating from infrastructures by installing vibration isolator in the concrete slab track. In the previous researches, adjacent floating slab tracks are connected by dowel bar system.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y dowel bars with less diameter show better load transfer efficiency (LTE) compared to small number of dowel bars with larger diameter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dowel area. In this study, dowel system is further considered as a concrete anchorage system and the design strength of the dowel system was evaluated based on ACI code 318-08 Appendix D. The design strength of dowel system is then verified against failure load test of floating slab system.

  • PDF

비내력벽의 손상제어를 위한 Steel Plate와 Dowel Bar 이격시스템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tical Study of Steel Plate and Dowel Bar Systems Designed for Damage Reduction of Non-Bearing Walls)

  • 임창규;문교영;이홍석;김승직;김용남;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3-130
    • /
    • 2020
  • Generally the non-bearing walls in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are not considered as a lateral force resisting members for the design consideration. This engineering practice caused large crack damages and brittle fractures of the non-bearing walls when subjected to Pohang earthquakes in 2017 since those have not been designed for seismic loading.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slot type non-bearing wall connection system to reduce damages and concentrate damages to the designated damping device through separation from the structural wall members. Steel plate and dowel bar systems designed for the dissipation of seismic energies were model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amage reductions. Finally, the test result and the analysis result were compared and verified.

콘크리트궤도 슬래브의 다웰 연결부 파괴 거동 (Fracture Behavior of Dowel Joint of Concrete Slab Track)

  • 권구성;장승엽;정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2125-2133
    • /
    • 2013
  • 최근 콘크리트궤도 공법이 증가함에 따라 인접한 슬래브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슬래브의 연결부는 효과적인 하중전달, 변형 연속화, 응력 분산을 위해서 다웰 시스템이 다수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 다웰연결부를 효율적으로 이상화할 수 있는 연결부의 집중 전단스프링 (Lumped shear spring) 모델을 제안한다. 전단 스프링 모델의 강성은 다웰바의 강성과 유격을 고려하였으며, 강도는 연결부의 전단파괴에 근거한 Concrete Capacity Design(CCD) 방법에 의해 산정되었다. 해석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웰로 연결된 슬래브 실험체를 제작하고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해석모델은 다웰과 콘크리트 간의 유격으로 인한 초기 비선형성 및 콘크리트 재료 비선형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슬래브 다웰 조인트로 연결된 콘크리트궤도의 파괴 시까지의 비선형 거동을 합리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철도 궤도의 설계 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재-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보의 일축 전단 및 전단마찰 거동에서 장부철근의 영향평가 (Evaluation of Dowel Bar on the One-way Shear and Shear Friction Behaviors of Hybrid Beams Composed of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 권혁진;양근혁;홍승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93-100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시공성이 단순한 연성형 절점을 갖는 HSRC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의 콘크리트 보 영역에서의 일축 전단 및 연결절점 영역에서의 전단마찰 거동을 평가하였다. 일축 전단의 실험은 내민보 시스템으로써 파괴경간의 전단경간비는 1.6이다. 연결절점 영역에서의 전단마찰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상부 2점 집중하중으로써 순 전단경간비는 0.1이다. 실험 결과, 연결절점에서 배근된 장부철근이 HSRC 보의 균열 진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지만, 부재의 전단내력은 약 25% 향상시켰다. HSRC 보의 일축 전단 및 전단마찰 내력은 장부철근의 유무와 상관없이 ACI 318-14 및 EC2 설계식을 이용하여 안전 측에서 평가될 수 있었다.

대형 콘크리트 판넬구조의 수직접합부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Strength of the Vertic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tructures)

  • 서수연;이원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119
    • /
    • 1994
  •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 시스템의 수직접합부 저항요소는 접합부 충전 그라우트의 부착과 전단키에 의한 맞물림작용, 철근을 장부작용으로서, 이들 요인의 상관관계에 의해 그 내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수직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이들 요인에 관한 연구로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수직접합부의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는 국외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여러 실험식이 제시되어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수직접합부에 관한 일련의 실험연구가 진행되어 설계식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설계식은 국부적인 실험결과만을 대상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실험결과를 근거로한 설계식이 요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험된 총 94개의 수직접합부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수정된 Mohr-Coulomb의 항복선이론을 적용하여 적합한 설계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설계식은 전단키의 효과와 횡보강근의 효과를 고려한 식으로서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를 그라우트로 사용하며 횡보강근으로 루프철근을 사용한 수직접합부에 적용된다. 실험결과의 희구분석과 항복선 이론을 이용한 수식의 전개로부터 제안된 설계식의 정확성과 경제성을 평가 한 결과, 본 제안식이 실험결과를 안전측으로 평가할 뿐만아니라 기존식에 비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가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위한 래티스 전단보강 (Lattice Shear Reinforcement for Earthquake-Resistance of Slab-Column Connection.)

  • 김유니;박홍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26-29
    • /
    • 2006
  • A flat plate-column connection is susceptible to brittle punching shear failure, which may result in the necessity of shear reinforcement. In present study,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capacity of slab-column connections strengthened with lattice, stud rail, shear band and stirrup under gravity and cyclic lateral load. Among them, the capacity of the specimens with lattice are superior to the others due to the truss action of the lattice bars and dowel action of the longitudinal bars as well as the shear resistance of the web re-bar.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s of the specimens with stud rail, shear band and stirrup are lower than the estimated strength by the ACI, therefore design formulas of the ACI are needed to revise.

  • PDF

결함 상세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수치 모델에 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Assessment of Numerical Models for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with Deficient Details)

  • 전성하;박지훈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211-222
    • /
    • 2016
  •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with deficient reinforcement details a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deficiency of reinforcement details includes insufficient splice length in U-stirrups at the ends of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boundary column dowel bars found in existing low- to mid-rise Korean buildings designed non-seismically. Three test specimens have rectangular, babel and flanged sections, respectively. Flexure- and shear-controlled models for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specified in ASCE/SEI 41-13 are compared with the flexural and shear components of force-displacement relation extracted separately from the top displacement of the specimen based on the displacement data measured at diverse locations. Modification of the shear wall models in ASCE/SEI 41-13 is proposed in order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bar slip, cracking loads in flexure and shear. The proposed modification shows better approximation of the test results compared to the original models.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 for precast concrete frames with high ratio of the continuity tie bars

  • Sergio A. Coelho;Sergio A. Coelho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1권1호
    • /
    • pp.53-69
    • /
    • 2023
  • The rotational stiffness of a semi-rigid beam-to-column conne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the second-order effects in the precast concrete skeletal fram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etailed nonlinear finite element study to reproduce the experimental response of a semi-rigid precast beam-to-column connection composed by corbel, dowel bar and continuity tie bar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A parametric study was carried using four arrangements of the reinforcing tie bars in the connection, including high ratio of the continuity tie bars passing around the column in the cast-in-place concrete. The results from the parametric study were compared to analytical equations proposed to evaluate the secant rotational stiffness of beam-to-column connections. The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was obtained, demonstrating that the finite element model can accurately predict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 despite its complex geometric configuration. The secant rotational stiffness of the connection was good evaluated by the analytical model available in the literature for ratio of the continuity tie bars of up to 0.69%. Precast beam-to-column connection with a ratio of the continuity tie bars higher than 1.4% had the secant stiffness overestimated. Therefore, an adjustment coefficient for the effective depth of the crack at the end of the beam was proposed for the analytical model, which is a function of the ratio of the continuity tie bars.

철근(鐵筋)콘크리트 벽부재(壁部材)의 실제적(實際的)인 변형해석(變形解析) (Realistic Deformation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Walls)

  • 오병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0
    • /
    • 1983
  • 평면내력(平面內力)을 받는 철근(鐵筋)콘크리트슬래브, 판(板) 및 쉘 등(等)의 벽부재(壁部材)의 정확한 변형해석(變形解析)을 위하여 균열의 마찰일팽창거동(摩擦一膨脹擧動), 인장증강효과(引張增剛効果) 및 철근의 연결작용(連結作用)을 고려한 실제적인 해석모델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理論)에 입각한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作成)하여 포괄적인 변형해석이 수행되었으며, 새로운 개념의 마찰평형설계(摩擦平衡設計)와 종래(從來)의 무마찰평형설계(無摩擦平衡設計)에 입각한 철근설계에 대하여 각각 균열폭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마찰설계개념에 의해 철근을 설계했을 경우 종래의 무마찰설계보다 변형량이 상당히 감소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철근직경과 균열간격이 균열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硏究)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된 해석모델로 철근콘크리트부재(部材)의 좀 더 실제적이고 정확한 변형해석(變形解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