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ing weigh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3초

WEKGHTED WEAK TYPE ESTIMATES FOR CERTAIN MAXIMAL OPERATORS IN SPACES OF HOMOGENEOUS TYPE

  • Yoo, Yoon-Jae
    • 대한수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25-31
    • /
    • 1999
  • Let $\nu$ be a positive Borel measure on a space of homogeneous type (X, d, $\mu$), satisfying the doubling property. A condition on a weight $\omega$ for whixh a maximal operator $M\nu f$(x) defined by M$mu$f(x)=supr>0{{{{ { 1} over {ν(B(x,r)) } INT _{ B(x,r)} │f(y)│d mu (y)}}}}, is of weak type (p,p) with respect to (ν, $omega$), is that there exists a constant C such that C $omega$(y) for a.e. y$\in$B(x, r) if p=1, and {{{{( { 1} over { upsilon (B(x,r) } INT _{ B(x,r)}omega(y) ^ (-1/p-1) d mu (y))^(p-1)}}}} C, if 1$infty$.

  • PDF

블록 이동용 러그의 안전사용하중 결정에 관한 구조 평가법 (Structural Evaluation Method to Determination Safe Working Load of Block Handling Lugs)

  • 권오현;박주신;서정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3-371
    • /
    • 2023
  • 한 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블록(block)들을 이동 및 탑재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블록의 체결 방법 및 각 조선소 설비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기능에 부합하는 러그를 사용하고 있다. 블록 구조의 중량 및 형태에 따라서 러그의 크기와 형상이 다양하며, 샤클(shackle)이 체결되는 홀 주변에 부족한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덧판(doubling pad)을 용접하여 구조를 보강한다. 리프팅(lifting) 조건별 러그의 설계를 하는 방법은 보 이론(beam theory)에 의한 수계산 방법과 유한요소해석 모델링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있다. 해석적 방법의 경우, 요소의 종류와 모델링 방법에 따라서 결과 차이가 발생하여 표준화된 평가법의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모호한 방법론 적용 시 블록의 이동 및 반전(turn-over) 과정 중에서 심각한 안전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그의 실제 탑재공정에 따른 구조 응답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링 조건, 평가법을 확정하고자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수치 구조해석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러그 홀(hole) 주변 덧판부와 용접 비드(bead)를 표현한 모델링 기법이 가장 실제적인 거동 결과를 주고 있다. 실제 러그와 동일한 조건(용접부 비드만 주재료와 연결)의 모델링에 등가하중을 적용한 결과는 MPC 하중 적용 결과보다 낮은 최종강도를 나타낸다. 더불어 해석 시간 단축을 위해서 2차원 쉘(shell) 요소를 적용한 경우, 덧판 두께를 85% 수준으로 감소시켜서 안전사용하중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문에서 검토한 다양한 변수의 영향들 결과는 러그 설계 및 안전사용하중 예측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척지(干拓地)에서 수도(水稻) 및 기타작물(其他作物)의 내염성(耐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6. 염분간척지(鹽分干拓地)에서 수도(水稻)에 대한 N, P, K,의 증비효과에 관(關)하여 (Study on the Salt Tolerance of Rice and Other Crops in Reclaimed Soil Areas. -6. On the Effects of Increased N. P. K. Applications for Rice Plant in Reclaimed Salty Areas)

  • 임경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1
    • /
    • 1970
  • 10a 당(當) N 10, 15, 20kg, 인산(燐酸) 8, 12, 16kg 및 가리(加里) 8, 12, 16kg의 각각(各各) 3수준(水準)의 조합(組合)인 삼요소증비(三要素增肥) 요인실험(要因實驗)을 농광(農光)을 공시(供試)하여 숙답구(熟畓區), 저(低) 및 고염분구(高鹽分區)(4월말(月末) 각염분농도(各鹽分濃度) 0.5%와 1%)에서 적기재배(適期栽培)로 실시(實施)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인산(燐酸)과 가리시비(加里施肥)를 10a 당(當) 8kg으로 고정(固定)하고 N시비(施肥)를 1.5배(倍)와 2배(倍)로 증가(增加)시켰을 때 숙답구(熟畓區)와 염분구(鹽分區)들에서는 다 같이 시비량(施肥量)에 비례(比例)하여 N 흡수(吸收)가 증가(增加)되었다. 그리고 이때의 N 흡수(吸收)는 대체(大體)로 염분구(鹽分區)에서 더 많았다. N 증비처리(增肥處理)를 하거나 삼요소(三要素) 증비처리(增肥處理)를 하면 염분구(鹽分區)에서는 Ca와 Si의 흡수조해(吸收阻害)가 보였다. 2. 숙답구(熟畓區)에서는 N, P, K의 증비(增肥)는 증수(增收)를 가져오지 못하였고 가리(加里) 2배비(倍肥)는 유의(有意)하게 감수(減收)를 가져왔다. 3. 저염분구(低鹽分區)에서 N 증비(增肥)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로 증수(增收)에 효과가 있었으며 N 1.5 배비(倍肥)는 12%, N 2배비(倍肥)는 21% 증수(增收)되었다. 인산(燐酸)과 가리(加里)의 증비(增肥)로는 증수(增收)되지 않았다. 4. 고염분구(高鹽分區)에서도 N 증비(增肥)는 유의(有意)하게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인산(燐酸)과 가리(加里)의 증비(增肥)로 증수(增收)되는 것 같으나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5. N 증비(增肥)는 숙답구(熟畓區)에서 1.5배(倍)까지는 수수(穗數)가 증가(增加)되었으나 2배비(倍肥)에서는 더 증가(增加)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低) 및 고염분구(高鹽分區)에서는 시비량(施肥量)에 비례(比例)하여 늘었다. 인산증비(燐酸增肥)는 각(各) 실험구(實驗區)에서 수수증가(穗數增加)의 경향(傾向)이 보였으나 가리증비(加里增肥)는 증가(增加)에 효과가 없었다. 6. 수중(穗重)에 대(對)한 N 증비(增肥)의 효과는 숙답구(熟畓區)에서는 감소(減少)로 나타났으며 양염분구(兩鹽分區)에서는 1.5배비(倍肥)까지는 증가(增加)되나 2배비(倍肥)는 1.5배비(倍肥)와 거의 같았다.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증비(增肥)는 어느 실험구(實驗區)에서도 수중(穗重)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천립중(千粒重)에 대(對)한 N, P, K의 증비효과는 숙답구(熟畓區)와 염분구(鹽分區)에서 모두 뚜렷하지 않았다. 수당립수(穗當粒數)에 대(對)한 N 증비효과는 숙답구(熟畓區)에서 감소(減少)의 경향(傾向)이었으나 양염분구(兩鹽分區)에 있어서는 증가(增加)되었다. 수당립수(穗當粒數)에 대(對)한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증비효과는 없는것 같았다. 7. 임실율(稔實率)에 대(對)한 N 증비(增肥)의 효과는 숙답구(熟畓區)에서 감소(減少)되었으며 저(低) 및 고염분구(高鹽分區)에서는 N 증비효과가 없었고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증비(增肥)는 어느 실험구(實驗區)에서도 효과가 없었다. 8. 정현비율(精玄比率)에 대(對)한 N, P, K의 증시효과는 각각(各各) 어느 실험구(實驗區)에서도 없었으나 설미(屑米)는 N 증비(增肥)에 의하여 숙답구(熟畓區) 및 염분구(鹽分區)들에서 다 같이 증가(增加)되었으며 숙답구(熟畓區)에서는 더 현저(顯著)하였다. 9. 고중(藁重)에 대한 N 증비(增肥)의 효과는 숙답구(熟畓區)와 고(高) 및 저염분구(低鹽分區)에서 다같이 증가(增加)되었으며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증비(增肥)는 효과가 없었다. 정조중(精租重)/고중(藁重)에 대(對)한 N 증비(增肥)의 효과는 숙답구(熟畓區)에서는 감소(減少)되었으나 저(低) 및 고염분구(高鹽分區)에서는 증가(增加)되었고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증비효과는 없었다.

  • PDF

Effect of Vitamin Levels and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Growing Pigs

  • Zhang, Z.F.;Li, J.;Park, J.C.;Kim, I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41-24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vitamin levels and stocking densitie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growing pigs. A $2{\times}3$ factorial (two vitamin levels, three regimens of stocking densities) arrangement was utilized with 96 pigs ($23.10{\pm}0.95$ kg initial body weight and 63 d of age) for 36 d. The pigs were allocated to pens with different stocking density (0.64, 0.48, and 0.38 $m^2/pig$, respectively). The diets used in this study were a normal diet (based on NRC) and a high level of vitamin diet (2-fold higher than normal diet). The ADG and ADFI of pigs were decreased as the stocking density increased (p = 0.03 and p = 0.01, respectively). The G/F of pigs was 5% lower in the high vitamin treatment (p = 0.03)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M and N digestibility was negatively affected by the high level of vitamin in diets (p = 0.05 and p = 0.04, respectively). Moreover,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ATTD of N was detected in the large groups (linear, p = 0.02).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cking density (linear, p = 0.05), and was decreased by high level of vitamin (p = 0.04)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Stocking density also caused a linear reduction in WBC concentration (p = 0.05). Our data indicated that the principal effect of stocking density was not reliant on dietary vitamin levels. In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vitamin supplementation did not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pigs in high density. However, the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ut the ATTD of N digestibility was impaired by high level of vitamin diet.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Two Rice Cultivars to Ozone Treatment under Different Nutrient Supply

  • Lee, Sang-Chul;Hwan, Cho-Jeong;Park, Shin-Young;Son, Tae-K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8-83
    • /
    • 2001
  • Two rice cultivars of the japonica type, ozone-resistant Ilpumbyeo (IL) and ozone-susceptible Keu-mobyeo#l (KM) were exposed to ozone ($O_3$) at 0.15 ppm for 30 days. The available nutrient regimes were varied by doubling the supply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within a basic fertilizer status (N, P, K; 15, 12, 12 kg l0$a^{-1}$).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plant height between ozone-treated and nontreated plants. The most significant ozone stress on tiller number was shown on the 30th day of ozone exposure. Slight recovery from ozone stress was noted on the 60th day. On the 30th day, tiller number was greatly decreased by 40.8% in IL and 64.6% in KM, whereas at a high nitrogen supply regime (2N), it was decreased by 21.4% in IL and 42.7% in KM as compared to the control not treated with ozone at basic fertilizer status. The inhibition of tiller production caused by ozone exposure was alleviated on the 60th day. In both cultivars, number of spikelets per plant and weight of 100 grains were affected little by the ozone treatment irrespective of nutrient regime. However, the number of panicles per plant and yield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both cultivars, yield of ozone-treated plants with 2N status was 12.4-16.1 % higher than that of the ozone-treated plants with basic nutrient status. A significant yield decrease of 47.8% and 33.4% was observed for IL and KM, respectively, in ozone-treated plants with higher potassium (2K) status.

  • PDF

Response of colchicine for the efficient chromosome doubling in Codonopsis lanceolata

  • Kwon, Soo-Jeong;Lee, Ui Gun;Moon, Young Ja;Cho, Gab Yeon;Boo, Hee Ock;Lee, Moon Soon;Woo, Sun Hee;Kim, Hag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3-273
    • /
    • 2017
  • Polyploidy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selection to sculpt a variety of new gene functions, traits, and lineag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colchicine concentration, temporal changes, and suitable material for inducing effective tetraploid plants of Codonopsis lanceolata. A total of 180 individuals from 16 treatment groups were germinated, and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olchicine. The plant height of the diploid (18.1 cm) was slightly shorter than that of the tetraploid (13.4 cm). The fresh weight of the main root in the diploid (0.5 g) was 4-fold higher than the tetraploid (2.2 g). The colchicine-treated plant regeneration rate in C. lanceolata was decreased at the elevated concentration of colchicine. A total of 126 individual plants were regenerated in the entire treatment group and tetraploid (2n=4x=32) plants were obtained. In particular, 5 individuals of the tetraploid plant were induced in the 0.05% colchicine for 6h, which is a higher rate (29.4%) than other regenerated plants. As in the seed treatment result, the plant height of the diploid was significantly higher (10.4 cm) than tetraploid. The root length of the tetraploid (10.1 cm) was longer than the diploid, and the root was also thicke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may be helpful for the efficient recovery of such polyploid plants through the in vitro application of colchicine, and may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breeding of C. lanceolata.

  • PDF

Suspension Culture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Cell for Production of Yellow Pigment

  • Kim, Sang-Hwa;Park, Young-Goo;Lee, Y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42-149
    • /
    • 1991
  • Gardenia callus was induced in MS medium containing $10{\;}{\mu}M$ of 2,4 diphenoxy acetic acid (2,4-D), $1{\;}{\mu}M$ kinetin, and 3% sucrose in the dark. $B_5$ medium was identified to be the most adequate medium for cell growth. Indole-3-acetic acid (IAA) was better growth regulator than 2,4-D not only for cell growth but slso for carotenoid production. Ligt also played a critical role on synthesis of carotenoid. Gardenia cells grown in $B_5$ medium could utilize a polysaccharide, soluble starch, as a carbon source. The cell growth was stimulated in $B_5$ medium fortified with 0.2% yeast extract. The optimum pH for cell growth was 5.7. High density cultures can be maintained by increasing inoculum size and medium concentration accordingly. Specific growth rate and mass doubling time were 0.095 $day^{-1}$ and 7.3 days, respectively. The cell immobilized in alginate tends to formulate more enlarged vacuoles containing yellow pigment compared with those of suspended cell. Carotenoid content of immobilized cell was about $264.4{\;}{\mu}g/g$ fresh weight (F.W.) corresponding twice of the content of suspended cell ($112.08{\;}{\mu}g/g$ F.W.). The color of gardenia cell was shifted from yellow to red when carbohydrase-secreting fungus, Trichoderma reesei, was co-cultivated with gardenia cells.

  • PDF

GF(p) 상의 다중 체 크기를 지원하는 고성능 ECC 프로세서 (A High-Performance ECC Processor Supporting Multiple Field Sizes over GF(p))

  • 최준영;신경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19-426
    • /
    • 2021
  • NIST FIPS 186-2에 정의된 GF(p) 상의 5 가지 체 크기 (192, 224, 256, 384, 521 비트)와 8 가지의 산술연산 동작모드 (ECPSM, ECPA, ECPD, MA, MS, MM, MI, MD)를 지원하는 고성능 타원곡선 암호 프로세서 HP-ECCP를 설계하였다. HP-ECCP가 부채널 공격에 내성을 갖도록 만들기 위해, 타원곡선 점 스칼라 곱셈에 사용되는 개인키의 해밍웨이트에 무관하게 점 덧셈과 점 두배 연산이 균일하게 수행되는 수정된 left-to-right 이진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설계했다. 또한, 타원곡선 점 연산에 핵심이 되는 모듈러 곱셈 연산의 고성능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Karatsuba-Ofman 곱셈 알고리듬, Lazy 축약 알고리듬, Nikhilam 나눗셈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설계했다. HP-ECCP를 180 n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한 결과 67 MHz의 동작 주파수에서 620,846 등가 게이트로 구현되었으며, 체 크기 256 비트의 ECPSM이 초당 2,200회 계산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의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이병우;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5-671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Lentinus edodes SR-1) 균사체를 액체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추출, 정제한 PBP의 항암효과 및 면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PBP의 항암효과는 in vitro 배양에서 암세포의 배수시간을 2배로 연장하는 활성단위 1 unit은 mouse leukemic cell인 $P_{388}$$L_{1210}$의 경우 1 mg 정도였으며, 인체의 장암세포인 HCT-48, HRT-18, HT-29 및 간암세포인 Hep G2의 경우 각각 4.4, 3.6, 6.6, 2.6 mg이었다. 그리고 $P_{388}$$L_{1210}$의 경우 배지 1 mL당 4 mg 정도, HRT-18 및 HT-29, Hep G2의 경우 9 mg의 PBP를 첨가했을 때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_{388}$$L_{1210}$, HCT-48, Hep G-2의 PBP 처리에 따른 암세포의 크기 분포도 변화는 PB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리고 PB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적은 쪽으로 이동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 대조군보다 PBP를 첨가한 군에서 비장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용혈반 형성실험에서 PBP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항체 형성세포가 2배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