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ation inten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수사학적 관점에서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기부의사에 관한 연구 (User's Willingness to Donate to a Personal Broadcasting Creator From a Rhetorical View)

  • 문윤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83-104
    • /
    • 2019
  • Purpose Recently,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has been widely spreaded as a new media type by replacing traditional legacy media such as TV. Considering this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ristoteles' persuasion factors on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rom a rhetorical view. The reason why users watch th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that they are persuaded by creator's expertness, empathy, or content usefulness. These factors can be regarded as persuasion factors. Therefore, with Aristoteles' rhetorical persuasion factors composed of ethos, pathos, and logo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how persuasion factors affect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voluntary donation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rhetorical factors,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donation intention. Specifically, ethos is regarded as creat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and pathos refers to creator's empathy and social interaction. Last, logos refers to content usefulness and credibility. For testing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this study collected 468 surveys and empirically tested hypothes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rhetorical factors (ethos, pathos, and logos) and emotional attachment further influence user's donation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rhetorical factors of ethos and pathos enhances emotional attachment, followed by donation intention. Contrary to an expectation, however, logo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attachment. Creators of Internet personal media and MCN providers should focu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rhetorical factors and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emotional attachment to encourage user donation.

사용자의 기부 의도 증진을 위한 비주얼 노벨 게임 개발 및 효과 검증 (A Study of Development and Effects of Visual Novel Game for Promoting User's Donation Intention)

  • 김민정;이한가람;오규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51-1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소액 기부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부 캠페인 전략으로 비주얼 노벨 게임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1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주얼 노벨 게임을 개발하였고, 연구 2에서는 게임이 기부 의도 및 기부 의도에 선행하는 정서인 개인적 고통과 공감적 염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게임은 효과적으로 각 정서와 기부 의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적 염려는 비주얼 노벨 게임과 기부 의도 사이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주얼 노벨 게임이 사용자의 이타적 동기를 자극하여 기부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Consume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The Effect of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 Kim, Moo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1호
    • /
    • pp.64-69
    • /
    • 2022
  •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consumers'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i.e.,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vs.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differs according to their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for consumers with high (vs. low)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thei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will be higher, while preference for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will not be different between low and high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groups. An online survey (N = 487)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respondents with high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had highe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and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between high and low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groups. We suggest an important insight into how credit card companies approaching ESG issues can increase their consumers'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evant to green life, considering consumers'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of Related towards Intention to Organ Donation by the Citizens of Busan)

  • 황병덕;임복희;정웅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41-350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여 장기기증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본 조사로 인하여 장기기증에 관한 국민의식을 제고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7월 14일부터 8월 31까지 47일 동안이었다. 자료의 수집방법은 설문조사로 총 2,200부를 배부하여 2,04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한글 SPSS 17.0을 사용 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요인분석 후 T-test 와 ANOVA 분석을 하였고, 장기기증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중 장기기증에 대하여 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71.6%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성별, 본인이나 가족의 만성병 또는 불치병여부, 종교, 수용적태도요인, 배타적태도요인 그리고 권유적태도요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를 높이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방송과 같은 대중적인 매스미디어를 통한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활동이 중요하며,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수술실 의료진의 뇌사자 장기기증 태도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in an Operating Room)

  • 조은정;신기수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1호
    • /
    • pp.49-5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in an operating room.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was used. The participants included 90 nurses and 30 doctors who had experience of operating organ transplantation for brain death organ do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2 to May 23, 2020 in the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The outcome measures wer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eath and attitude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Results: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was influenced by type of occupation, intention of organ dona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addi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otal variance was 52.1%.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terven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brain death and the brain death organ donation.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 개인적 특성 및 가치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Organ Donation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Message: Focus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 Factors)

  • 선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70-181
    • /
    • 2017
  • 이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개인적 특성과 가치요인에 기반한 공중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설득력 있는 장기기증 캠페인을 수행해나가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2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는 공중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및 가치요인 (장기기증 태도, 장기기증 지식, 자기효능감, 내세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이 장기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 성별, 연령, 종교 등 개인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포함시켰으며, 가치요인으로는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내세관을 설정하여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잠재요인들을 밝히려 했다. 연구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장기기증 지식, 자기효능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장기기증 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뇌사자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Will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손민서;강인순;전정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91-202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factors university students' will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Methods: Data from 250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Factors influencing will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were announcing to decision to engage in brain death donation(Confidence interval(CI)=3.02-32.14, p<.001), experience of having discussed brain death organ donation with others(CI=1.26-5.72, p=.011), intention to make advance directives(ADs)(CI=1.90-9.57., p<.001),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ADs(CI=1.05-1.29, p=.004).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will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were making an informed decision regarding organ donation, intending to make an AD, having engaged in organ donation conversation,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s.

장기기증희망자의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among the Organ Donation Candidates)

  • 서영심;이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95-1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among the organ donation candidates. Methods: The subjects were 91 candidates who are enrolled in organ transplantation center in general hospitals for organ donation or transplantati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instruments abou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by Matten, et al. (1991) were utili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4.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9.61{\pm}3.47$, out of 21.0). The mean score of attitude was relatively high ($4.24{\pm}0.97$, of max score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knowledge according to academic career, registered period as a candidat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n organ donation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attitude according to occupation, family's consent, and recommendation to famil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was not stylistically significant (r=.043, p=.683).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rses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모바일 기부 앱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Empirical Research on Types and Service Attributes of Mobile Donation Applications)

  • 김민경;최의주;최보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7-125
    • /
    • 2016
  • 모바일 앱 시장이 발달하면서 사용자들이 앱을 사용한 만큼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기부 앱이 등장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기부 앱은 모바일 앱의 기능과 기부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부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앱 시장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종류의 모바일 기부 앱 서비스가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증대시킬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익연계 마케팅 이론을 바탕으로 어떠한 형태의 모바일 기부 앱이 사용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직접적 혹은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이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를 매개로 하여 모바일 기부 앱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을 모바일 앱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이 직접적 모바일 기부 앱보다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며 PLS 경로 분석을 통하여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가 높을수록 모바일 기부 앱 사용 의도를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추가연구에서는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의 실용적, 쾌락적 속성이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용적 속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기부 앱 활성화를 위해 실증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기부금 사용 내역 피드백과 기부인식이 기부지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nations Feedback and Donation Awareness to Donation Continuity Intention)

  • 서문식;오대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9-143
    • /
    • 2018
  •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의 마케팅 활동에서 지속적인 기부를 위해 기부금 사용내역의 효과와 기부금 사용내역의 공개에 따른 인식 전환의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2(기부금 사용 내역 피드백: 유vs무) ${\times}$ 2(기부인식: 지출vs교환)를 $2{\times}2$ 집단 간 요인 설계에 따라 구성하였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부금 사용내역을 공개한 상황(M=5.125, SD=0.437)에서 더욱 높은 기부만족을 보였고, 기부금 사용내역을 공개한 상황(M=5.328, SD=0.459)에서 보다 높은(p<0.01) 관계지속 의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주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전체모형 검증 결과 만족과 신뢰(${\gamma}=0.843$, p<0.01), 만족(${\gamma}=0.267$, p<0.01)과 신뢰(${\gamma}=0.691$, p<0.01)가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 단체들이 기부자들의 기부금 사용 내역을 투명하고 자세하게 공개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기부자들로 하여금 신뢰를 쌓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방법 유형 등에 따라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