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weed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6초

경북지역 벼재배답에서 발생하는 잡초 분포 (Weed Occurrence in Lowland Rice Field in Gyeongbuk Province)

  • 김세종;김영효;이외현;최충돈;김칠용;최부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97
  • 경북지역 벼재배지에서 잡초분포현황을 조사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활사별 잡초 분포에 있어서 일년생이 56.5%로서 다년생 43.5% 보다 많았으며 형태적 분포는 화본과 25.2%, 사초과 12.3%, 광엽잡초 62.5%로 분포하였으며 화본과 잡초의 발생이 1971년, 1981년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지대별 잡초 분포에서 평야지, 중간지, 냉조풍지에서는 피, 벗풀, 올방개, 물달개비가 우점초종이었으며 답종류별로는 보통답과 습답은 우점초종이 서로 비슷하게 발생하였으나 사질답에서는 잡초 발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3. 손이앙답과 건답직파에서는 피의 우점이 가장 높았으나 기계이앙묘에서는 벗풀, 여뀌바늘 등이 우점잡초였고 이앙기별로는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피의 발생이 많았다. 4. 경북지역의 주요 우점잡초는 피, 벗풀, 여뀌바늘, 올방개, 물달개비 순으로 나타났다.

  • PDF

Weed Flora and Management Practices in Peach Orchard Fields in Korea

  • Jia, WeiQiang;Hwang, Ki Seon;Won, Ok Jae;Lee, In-Yong;Lee, Jeongran;Roh, Suk-Won;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09-116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wo surveys in 2015 to monitor weed occurrence and determine the most troublesome weeds in peach orchards of Korea. The first survey identified 56 taxa belonging to 23 families including 27 annuals, 11 biennials, and 18 perennials. Based on importance values, Conyza canadensis (5.12%), Plantago asiatica (4.17%), and Trifolium repens (3.86%) were the dominant weeds in the first survey (from April to June). Seventeen exotic weeds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survey, including Conyza canadensis, Trifolium repens, and Chenopodium ficifolium. The second survey (from September to October) identified 42 weeds belonging to 19 families including 23 annuals, 5 biennials, and 14 perennials.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s, Digitaria ciliaris (8.00%) was the most dominant weed, followed by Echinochloa utilis (6.61%) and Rorippa palustris (6.48%). There were 12 exotic weeds, including Taraxacum officinale, Rumex crispus, and Trifolium repens. Additionally, according to Braun-Blanquet's scale showed that the dominance value was level 1 (41.98% and 46.43%, respectively) in two surveys. Currently, 40% of the total surveyed peach orchards applied herbicides for weed control. Thes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data to assist orchardists in selecting the most suitable weed management methods; thereby, reducing labor inputs and effectively lowering costs while improving fruit yields in peach orchards of Korea.

우리나라 평창, 서산,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변화 (Occurrence of Weed Flora in Pasture of Jeju, Pyeongchang and Seosan Region, Kore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 이인용;김창석;이정란;황경준;김일준;김동민;서현아;장형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26-135
    • /
    • 2016
  • 제주, 강원 평창, 충남 서산을 중심으로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목초지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2014년, 2015년 3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52과 275종으로 국화과 48종, 화본과 44종, 마디풀과 21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75종, 월년생 56종, 다년생 144종이었다. 지역별 발생잡초를 보면, 제주에는 49과 207종, 평창은 14과 62종, 그리고 서산은 36과 136종이 발생되었다. 우점 잡초로는 돌소리쟁이, 쑥, 토끼풀, 바랭이, 애기수영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83종으로 전체의 29.1%이었고, 돌소리쟁이, 토끼풀, 애기수영, 개망초, 유럽점나도나물, 도깨비가지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목초지잡초 군락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망초, 쑥, 양지꽃이 우점하였으나, 2004년에는 쑥, 토끼풀, 애기수영 등에서 2015년에는 돌소리쟁이, 쑥, 토끼풀로 발생 초종이 변하였다. 이와 같이 목초지내에서 잡초군락 변화는 계속 진행될 것이고 적절한 약제방제가 수반되어야 한다.

논에서 잡초 방제방법에 따른 제초효과 (Aspect of Weed Occurrence by Methods of Weed Control in Rice Field)

  • 김윤하;강상모;압둘라티프칸;이준희;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9-95
    • /
    • 2011
  • 본 연구는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논 포장내 잡초발생과 다양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은 3개월(7월~9월)동안 무제초제, 제초제 처리 및 왕우렁이 처리로 잡초방제방법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무제초제구에서는 5~7종류의 잡초종이 발견된 반면, 제초제 처리구 및 왕우렁이 처리구에서는 2~4종류의 잡초종이 발견되었다. 무제초제구 및 제초제 처리구에서는 실험기간동안 물달개비가 우점종 이었으나, 왕우렁이 처리구에서는 좀개구리밥과 여뀌가 우점종이었다.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우점도 지수는 0.96으로 무제초제구(0.27) 및 제초제 처리구(0.51)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유사성 계수는 무제초제구와 제초제 처리구에서 50.31%, 무제초제구와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4.65% 및 제초제 처리구와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0.38%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잡초종 다양성, 우점도 지수 및 유사성 계수는 잡초방제방법에 따라 확연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기 남부지역 논잡초 발생분포 및 군락변화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in Paddy Field of Southern Gyeonggi Region)

  • 박중수;원태진;노안성;장재은;김희동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86-94
    • /
    • 2014
  • 2013년에 경기 남부지역 벼 재배면적 64.9천ha를 대상으로 약 325 ha당 1점씩을 기준으로 하여 200개 지점에서 답유형, 이앙시기, 농업지대 등으로 구분하여 논잡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생 논잡초 초종은 화본과 3종, 사초과 5종, 광엽 및 기타 잡초가 11종 등 총 19종으로 2005년 17종에 비해 2종이 증가하였다. 논잡초의 우점도는 올방개> 피> 벗풀>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가막사리> 순이었으며, 2005년 대비 올방개($30{\rightarrow}21%$), 가막사리($10{\rightarrow}6%$)는 감소하였고, 물달개비(815%), 올챙이고 랭이($2{\rightarrow}9%$), 벗풀($14{\rightarrow}16%$), 피($16{\rightarrow}18%$)는 증가하였다. $m^{-2}$ 당 논잡초 발생량은 2005년 2.83 g 에서 2013년에는 3.51 g으로 0.68 g 증가하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잡초의 생활형 비율은 2005년 각각 45.2%: 54.8%에서 2013년에는 각각 45.8%: 54.2%로 나타났다. 논유형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보통답, 습답, 사질답에서 올방개, 염해답에서는 새섬매자기가 최우점 잡초로 나타났다. 이앙기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5월 중순은 올방개, 피, 5월 하순은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6월 상순은 물달개비, 올방개가 우점하였다. 경운방법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추경은 올방개, 피, 춘경은 올방개, 벗풀이 우점하였으며, 농업지대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남부평야는 올방개, 피, 서부해안은 물달개비, 가막사리, 동부내륙은 올방개, 벗풀이 우점하였다. 농가의 제초제 처리횟수는 2회 이상이 96%로 2005년 62%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적기처리 농가는 89%로 2005년 86%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앞으로 전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 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증가가 예상되므로 주기적인 논잡초 발생 모니터링과 아울러 효율적인 방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무농약재배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Weed Control Methods on Growth and Weed Occurrence of Pesticide-Free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 임경호;김선국;김도익;서윤원;양승구;김용순;김홍재;김정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1-517
    • /
    • 2009
  • 노지재배 케일의 재배 포장 조건과 재배 작기에 따른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케일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재배 포장은 밭토양과 논토양에서 수행하고, 재배 작기는 봄 작형과 가을 작형에서 수행하였다. 밭토양에서의 가을재배 작형의 멀칭재료에 따른 지온은 멀칭처리가 $0.9{\sim}2.0^{\circ}C$ 높았다.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91%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슷하였다. 밭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종이멀칭 처리는 기온이 비교적 낮은 4월은 무멀칭대비 지온이 높았고 온도가 높아지는 5월과 6월에는 낮았다. 우점잡초는 명아주가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52%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 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5%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34% 증수되었다. 논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우점잡초는 둑새풀이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43% 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8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26% 증수되었다.

  • PDF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Weed Control

  • Kim, Jin-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Responses of weed community and soil biota to cessation of fertilization

  • Eo, Jin-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317-323
    • /
    • 2010
  • Nutrient availability is a critical component of agroecosystems, and is relevant to both above- and below- ground interaction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ffects the communities of weeds and soil organisms in a corn/wheat field. Changes in dominant weed species, substrate-induced respiration,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nematodes and microarthropods were evaluated. Microbial substrate-induced respiration (SIR)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arthropods decreased following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nd were partly correlated with the aboveground weed biomass. The cessation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but continuing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 reduced the population density of nematodes. In response to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weed communities were dominated by species with little dependency on fertilization. Amaranthus retroflexus was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orn field; however, it was replaced by Digitaria ciliaris after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In the wheat field,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led to a rapid reduction in the biomass of most weeds, except for Vicia angustifolia, supposedly as the result of symbiotic nitrogen fixation. Additionally, the fact that weed biomass was partially correlated with SIR or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arthropods may reflect a mutual feedback between soil organisms and wee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lters communities of weeds and soil organisms through changes in weed biomass and interactions with symbiotic microorganisms.

강원지역(江原地域) 지대별(地帶別) 논잡초(雜草) 분포(分布) (Weed Flora Changes in Lowland Rice Field in Gangweon Province)

  • 김기식;김재록;고종한;사종구;장진선;김두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8-264
    • /
    • 1994
  • 본 조사연구(調査硏究)는 1992년도(年度) 기상조건(氣象條件)이 서로 다른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 15개군(個郡)의 농가포장(農家圃場) 잡초무방제답(雜草無防除畓)에서 지대별(地帶別)로는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평야지(平野地), 표고(標高) 101-400m인 중산간지(中山間地), 표고(標高) 401-600m인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동해안지(東海岸地) 등(等) 4개지대(地帶)와 답유형별(畓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 습답(濕畓), 사질답(砂質畓)과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移秧), 재배이앙(栽培移秧), 중묘(中苗), 어린모 건답직파(乾畓直播) 등(等) 59개소(個所)에서 논 잡초(雜草)의 발생상태(發生狀態), 발생(發生) 변천(變遷) 및 시기(時期)를 조사(調査)하여 연대별 잡초(雜草) 변이(變異)에 따른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구명하고자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대별(地帶別) 논 잡초(雜草)의 분포(分布)는 평야지(平野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는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가,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다. 화본과(禾本科)는 평야지(平野地)와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는 중산간지(中山間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에서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다. (2) 지대별(地帶別) 우점잡초(優點雜草)로서는 평야지(平野地)는 나도겨풀 등(等) 4과(科) 5종(種), 동해안지(東海岸地)는 올미 등(等) 4과(科) 5종(種),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는 피 등(等) 3과(科) 5종(種)이었다. (3) 연대별(年代別) 우점도(優點度)는 1971년대(年代)에는 1년생(年生) 잡초(雜草)가, 1981년대(年代)와 1991년대(年代)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이 절대적(絶對的)으로 많았지만 대체적으로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주종(主種)을 이루었다. (4) 논 유형별(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습답(濕畓)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고 보통답(普通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습답(濕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화본과(禾本科) 잡초가 주종(主種)을 이루고 있었다. (5)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답(移秧畓)과 중묘(中苗)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어린모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과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비율(比率)이 높았고, 손 이앙(移秧)과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경운시기별(耕耘時期別)로는 춘경(春耕)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 추경(秋耕)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화와 인간(IV) -잡초를 활용한 제방 비탈면의 식생관리- (Revegetation and human(IV) -The weed management of levee controlled the weed in the weed-)

  • 에자키 츠지오;이와모토 토루;염규진;문진희;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82-92
    • /
    • 2004
  • 제방 비탈면의 잡초관리는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풀베기 작업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잡초라고 불리고 있는 식물을 활용하여 "잡초로 잡초를 제어한다" 라는 개념 하에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방 비탈면의 식생에는 (1) 침식 및 붕괴방지, (2) 풀베기 작업시의 작업성 등과 같은 식물자체에 요구되는 조건, (3) 숲을 기본으로 한 농촌풍경의 향상 유지 및 (4) 걷기 편함 등이다. 황폐지나 제방 비탈면의 우점종인 식물에 대하여 이 4가지 조건에 맞추어 검토를 실시한 결과, Imperata cylindrica Beauv., Shibataea kumasaca Nakai, Sasaella kogasensis Nakai var. gracillima S. Suzuki 및 Hedera canariensis Willd.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