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ain-generality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INFORMATION SEARCH BASED ON CONCEPT GRAPH IN WEB

  • Lee, Mal-Rey;Kim, Sang-Ge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0권1_2호
    • /
    • pp.333-351
    • /
    • 2002
  • This paper introduces a search method based on conceptual graph. A hyperlink information is essential to construct conceptual graph in web. The information is very useful as it provides summary and further linkage to construct conceptual graph that has been provided by human. It also has a property which shows review, relation, hierarchy, generality, and visibility. Using this property, we extracted the keywords of web documents and made up of the conceptual graph among the keywords sampled from web pages. This paper extracts the keywords of web pages using anchor text one out of hyperlink information and makes hyperlink of web pages abstract as the link relation between keywords of each web page. 1 suggest this useful search method providing querying word extension or domain knowledge by conceptual graph of keywords. Domain knowledge was conceptualized knowledged as the conceptual graph. Then it is not listing web documents which is the defect of previous search system. And it gives the index of concept associating with querying word.

A Web-Based Domain Ontology Construction Modelling and Application in the Wetland Domain

  • Xing, Jun;Han, 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54-759
    • /
    • 2007
  • Methodology of ontology building based on Web resources will not only reduce significantly the ontology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enhance the quality of the ontology.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achieved in this regard, but they encounter similar difficulties, such as the Web data extrac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This paper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ontology construction data, including dynamics, largeness, variation and openness and other features, and the fundamental issue of ontology construction - formalized representation method. Then, the key technologies used in and the difficulties with ontology construction are summarized. A software Model-OntoMaker (Ontology Maker) is designed. The model is innovative in two regards: (1) the improvement of generality: the meta learning machine will dynamically pick appropriate ontology learning methodologies for data of different domains, thus optimizing the results; (2) the merged processing of (semi-)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data. In addition, as known to all wetland researchers, information sharing is vital to wetland exploitation and protection, while wetland ontology construction is the basic task for information sharing. OntoMaker constructs the wetland ontologies, and the model in this work can also be referred to other environmental domains.

  • PDF

저압 배선 이상 진단을 위한 지능형 차단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Intelligent Diagnosis System for Detecting Fault of Transmission Line)

  • 성화창;박진배;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18-5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저압 배선 진단 시스템 개발에서 핵심 파트 중 하나인 지능형 차단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진단 시스템은 TFDR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전압이 흐르는 배선에 대해 이상 거리 측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배선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배선 이상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이 지능형 차단 시스템의 목표이다.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퍼지-베이시안 (Fuzzy-Bayesian)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실제 저압 배선에서 실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Peak Factors for Bridges Subjected to Asynchronous Multiple Earthquake Support Excitations

  • Yoon, Chong-Yul;Park, Joon-Seok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13
    • /
    • 2011
  • 지진에 대한 장대 교량의 정확한 반응 해석은 지진 방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비동기 다지지점 지진입력에 의한 교량의 반응을 진동수 영역방법과 시간 영역방법으로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동기 입력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간영역방법에서는 선형모드 중첩 법으로 최대반응 값을 계산하였다. 진동수영역방법에서는 선형랜덤진동 이론을 사용하여 교량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모드와 다지지점 지진입력의 상호상관관계를 고려한 반응의 제곱평균근(RMS값)을 계산하였다. 교량 성능 반응 중, 변위 및 부재의 내력에 대한 시간 영역해석 결과와 진동수영역 해석 결과로부터 최대반응 값과 RMS값의 비로 정의된 최대반응 계수의 실용적인 값과 계산 방법을 요약하였다. 신뢰 있는 최대 반응계수가 있으면, 교량의 성능기반설계에서 구체적인 임의의 입력을 고려한 시간영역방법보다 결과의 일반성 및 수치적인 장점을 갖은 진동수영역방법이 더 효율적이다.

일반성 향상을 위한 가변성 설계 기법 및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 (A Variability Design and Customiz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Generality)

  • 김철진;조은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76-1085
    • /
    • 2006
  •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완전하게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의 설계는 매우 어려우며 또한 도메인의 특정화된 업무 로직을 완전하게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블랙 박스보다는 화이트 박스 컴포넌트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가변성 설계 기법과 이런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커스터마이제이션 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가변성은 컴포넌트 개발 과정에서 초기 가변성이 설계되며 가변성 적용을 위해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기능 변경을 위한 행위 가변성 설계 기법과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가변성이 적용된 컴포넌트는 이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변성이 재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컴포넌트의 가변성이 진화되고 컴포넌트의 일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 PDF

(4+n)-noded Moving Least Square(MLS)-based finite elements for mesh gradation

  • Lim, Jae Hyuk;Im, Seyou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5권1호
    • /
    • pp.91-106
    • /
    • 2007
  • A new class of finite elements is described for dealing with mesh gradation. The approach employs the moving least square (MLS) scheme to devise a class of elements with an arbitrary number of nodal points on the parental domain. This approach generally leads to elements with rational shape functions, which significantly extends the function space of the conventional finite element method. With a special choice of the nodal points and the base functions, the method results in useful elements with polynomial shape functions for which the $C^1$ continuity breaks down across the boundaries between the subdomains comprising one element. Among those, (4 + n)-noded MLS based finite elements possess the generality to be connected with an arbitrary number of linear elements at a side of a given element. It enables us to connect one finite element with a few finite elements without complex remesh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elements is demonstrated via appropriate numerical examples.

3차원(次元) 전류좌표(電流座標)에 의한 능동전력(能動電力)필터의 보상성능(補償性能) 평가(評價)를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開發) (Simulator Development for Evaluating Compensation Performance. of Active Power Filter using Three-Dimensional Space Current Co-ordinate)

  • 임영철;정영국;나석환;최찬학;장영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37-341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an effort to develop a simulator of Active Power Filter (APF) by three dimentional(3-D) space current co-ordinate. System current is represented by 3-D vector composed of three current components - active, reactive and distorted. %THD (%Total Harmonics Distortion) can be converted to height-angle of system current vector and power factor can be defined on 3-D space current co-ordinate without loss of generality. Current of APF and power system can be analyzed by 3-D visualization of current vector trajectory. So,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by 3-D space current co-ordinate make up for disadvantages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time / frequency domain.

  • PDF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7-69
    • /
    • 2000
  • 개인의 창의력이 특정 영역에만 한정되는가 아니면 여러 영역에 걸쳐 두루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는 최근 창의력 연구에 있어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 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는 창의적 아동의 올바른 판별 및 교육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 문제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가지 영역(언어, 미술, 산수)에서의 아동의 창의성은 이야기 만들기, 콜라주 만들기, 창의적 산수 문제 만들기 등으로 측정되었고, 9명의 각 영역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은 Wallach-Kogan Creativity Test와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등 두 가지 창의성 검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한정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한정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한 영역에서의 창의성은 그 아동의 다른 영역에서의 창의성이나 일반적으로 유용 되고 있는 창의성 검사 등을 통해서 신뢰성 있게 예측되거나 판별되기가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창의성 검사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상당히 크다 할 수 있다. 끝으로 필자는 창의성을 영역 한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아동의 창의적 특성에 관한 보다 유용하고 건설적인 정보를 제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창의성 검사에 의존하는 영역 보편적 견해보다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재 판별과 영재 교육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 3-year follow-up)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4
    • /
    • 2005
  •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1에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1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하였던 학생의 일부 (71명)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창의적 수행평가가 3년이라는 기간동안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내는가의 문제와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창의성의 영역문제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의 수행평가를 사용할 경우와 자기보고 형식을 사용할 때에 창의성의 영역 문제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특수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특수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함께 이 연구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아동의 창의적 수행평가가 적절한 신뢰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이고 타당한 창의성 평가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창의성에서의 영역문제가 어떠한 접근 방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제기되었고 그에 따른 논의가 전개된다.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Normal Students in the Aspects of Creativity?)

  • 신지은;한기순;정현철;박병건;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8-175
    • /
    • 2002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different measures of creativity in 135 gifted and 161 normal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reativity and to propose the guideline for measuring creativity.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creativity in this study are th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TCT), the Tes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Finding in Science (CPFS), and the Creative Behavior Checklist in Science (CBCS). The TTCT is the most widely used divergent thinking test and measures creativity in the aspect of domain-generality. The CPFS and the CBC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measure domain-specific creativity in the area of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are significantly more creative compared to normal students in all measures of creativity used in the stud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and normal students was found in the aspect of CPFS. This study implies that creativity, which is considered less useful to identify gifted students compared to achievement or IQ scores, is the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for judging giftedness. The low correlations revealed among the TTCT, CPFS, and CBCS imply that the three measures of creativity address relatively different aspects of creativit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multiple criteria of creativity not to overlook potential creative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