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al rang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개업 치과의사의 의료수익과 소득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Revenue and Income of Self-Employed Dentist by Using a Quantile Regression Method)

  • 최형길;김명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0-251
    • /
    • 2015
  • Background: Dentist's income is quite variable. We investigate the factors underlying the distribution of dental revenue and dentist income. Methods: Financial and structural variables of private dental practices(N=13,967) were examined with 2010 Economic Census microdata which include non-insurance revenue. We conducted quantile regression method(QRM) and ordinary least square(OLS) in treating skewness and heteroskedasticity of distributions. The effective estimation for the upper and lower range of distribution becomes possible by QRM. Results: Mid-career dentists are shown to have higher revenue and income. Male dentists achieve the higher revenue and income than female dentists in all quantiles. Group practices show lower income per owner than solo practices significantly. The revenue and income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ize of clinics. The high cost in renting the clinic office is found to have a big positive effect on the revenue but a little positive effect on the income. Interestingly the density of dentists shows negative effect on the lowest quantile of the revenue but positive effect on the highest quantile. The lowest quantile of the revenue in the capital areas have the relatively high revenue. The lowest quantile of the income in metropolitan city show higher income than those in other areas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uggested QRM is shown to hav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ool in finding out determinants of dentists' revenue and income of our conc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mployed for dentists preparing for the opening practices in their organizational settings and locational selections. The distributional efficiency of dental human resources could be accomplished if policy makers guide dentists with this knowledg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Salurnis marginella (Hemiptera: Flatidae)

  • Choi, Hyun-Seok;Jeong, Su Yeon;Lee, Keon Hee;Jeong, Jun Seong;Park, Jeong Sun;Jeong, Na Ra;Kim, Min Jee;Lee, Wonhoo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3권2호
    • /
    • pp.67-77
    • /
    • 2021
  • Salurnis marginella Guérin-Méneville, 1829 (Hemiptera: Flatidae) is an invasive species first reported in 2003 in Iksan, which is located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and subsequently found in the nearby regions in 2005. However, molecular-perspective reports on their invasive characteristics are not yet available. In this study, population ge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 marginella were evaluated using the mitochondrial COI region and sequencing 124 individual samples collected in 11 Korean localities. A total of 12 haplotypes were identified with a maximum sequence divergence of 1.368% (9 bp). Haplotype divers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insect species invaded into Korea, providing 2-6 haplotypes per populations, indicating that introduction to Korea may have happened rather extensively and consistently. Nucleotide diversity (π) was the highest in Iksan but owing to the limited sample size (three individuals) from this locality,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for drawing conclusive inference regarding the place of entry to Korea. Ulsan, the easternmost population in the present study, revealed nearly the lowest diversity estimates, such as the lowest H and the second-lowest π; a unique haplogroup with a higher frequency; and an independent genetic cluster, suggesting that the introduction of S. marginella to Ulsan was an independent event. Further collection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the original distributional range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invasive dynamics of S. marginell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Rotunda rotundapex Miyata & Kishida 1990 (Lepidoptera: Bombycidae), which was named as Bombyx shini Park & Sohn 2002

  • Park, Jeong Sun;Kim, Min Jee;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4권2호
    • /
    • pp.55-64
    • /
    • 2022
  • Bombyx shini Park & Sohn, 2002 (Lepidoptera: Bombycidae), which was listed as an endemic species in South Korea has recently been renamed as the East Asian silk moth Rotunda rotundapex Miyata & Kishida, 1990 (Lepidoptera: Bombycidae). In this study, we sequenc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R. rotundapex to announce genomic characteristics and to clarify its validity with a new name. The 15,294-bp long complete mitogenome comprises a typical set of genes [13 protein-coding genes (PCGs), 2 rRNA genes, and 22 tRNA genes] and one major noncoding, A + T-rich region, with an arrangement identical to that observed in most lepidopteran mitogenomes. The A/T content of the whole mitogenome was 79.22%; however, it varied among the regions/genes as follows: A + T-rich region, 91.62%; srRNA, 84.67%; lrRNA, 83.01%; tRNAs, 81.43%; and PCGs, 77.46%. Phylogenetic analyses of 35 species in the Bombycoidea superfamily showed the sister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ies Sphingidae and Bombycidae s. str., with the higher nodal support [bootstrap support (BS) = 78%]. The Saturniidae was placed as the sister to the two families, but the nodal support for this relationship was low (BS = 53%). Current R. rotundapex was placed together with previously reported con-species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 forming a separate clade from Bombyx, validating that B. shini can have a new genus name, Rotunda. However, the Korean R. rotundapex showed a substantial sequence divergence at 5.28% to that originated from an individual of type locality Taiwan in 1,459-bp of COI sequences. Considering such a high sequence divergence an additional study, which includes morphological and DNA barcoding data from further extensive distributional range maybe is needed for further robust taxonomic conclusion.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Cause-specific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of Forest Fire in Korea)

  • 곽한빈;이우균;이시영;원명수;구교상;이병두;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59-266
    • /
    • 2010
  • 우리나라에서 산불 발생 공간분포는 인간 활동과 큰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지역별 군집형태의 강한 공간의존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존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점자료 분석법을 통한 산불발생의 공간분포패턴을 분석하였다. Ripley의 K 함수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원인별 공간분포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Kernel 함수를 통해 산불발생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도는 상이하지만 모든 원인의 산불이 임의(random) 분포가 아닌 군집화(clustered)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 발생의 군집성을 원인별로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전국적 발생 패턴을 가지는 원인으로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지적 군집성을 가지는 원인으로 담뱃불이나 어린이 불장난, 방화이다. 그 군집성의 범위는 30 km내외로 나타났으며, 그 범위 밖에서는 임의 분포하고 있었다. Kernel 함수에 의한 원인별 집중도 분석에서는 강한 군집도를 나타냈던 3가지 원인(담뱃불, 어린이 불장난, 방화)의 경우 대부분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5만톤/일 이상 대규모 정수장 원수에서 크립토스포리디움 및 지아디아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Raw Water of Large Water Treatment Facility in Korea)

  • 박상정;김종민;김태승;정동일;이목영;남세희;윤종호;정종문;조은주;전현숙;장은숙;정미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1-267
    • /
    • 2010
  • In order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level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drinking water resources, distribution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was studied in intake water of main water treatment facility with treatment capacity over 50,000 ton/day in Korea. 10 L samples from each study sites were collected quarterly for 2 years between Oct. '04 and Dec. '07. Cryptosporidium and Giardia were filtered and concentrated by capsule filter and centrifugation, and analyzed by immunomagnetic separation process and fluorescent assay.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were detected in 7.0% and 9.3%, respectively, of a total 776 samples from 97 study sites. And mean detection number of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in total 776 samples was 0.11/10 L, 0.16/10 L, detection range of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was 0~7/10 L, 0~4/10 L, respectively. In seasonal distribution, Cryptosporidium was more frequent in spring as 9.2% than other season, Giardia was more frequent in winter as 14.6% than other season, but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seasonal characteristics. In correlation analysis with total 776 data, Cryptosporidium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o total coliforms at the 0.05 level, but correlation value was too low as 0.07 (r=0.07). In case of Giardia, wh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t the 0.05 level wa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but correlation value was too low as 0.26, 0.27 respectively.

토양 중 중금속(Ba, Cr)의 분포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a, Cr) Distribution in Soil)

  • 윤정기;김록영;김지인;노회정;유순주;김태승;이명규;윤대근;이홍길;김인자;박경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7호
    • /
    • pp.61-6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the new soil pollution standards and the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plans in a rational manner.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ew soil contaminants such as barium (Ba) and chromium (Cr) in soils (n=140)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land-use classification and geological features. Also, the sequential extraction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fate and mobility of new soil contaminants. The soil samples taken from 140 sites were analyzed to survey distribution levels of selected new soil contaminants. The average concentration and range for hazardous metals (Ba, Cr) were Ba 128.946 (26.757~489.587) mg/kg, Cr 30.121 (2.579~132.783) mg/kg. Based on land use classification, the highest Ba concentration was found in factory soils, followed by dry field and park soils, while Cr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rice paddy soils, followed by dry field and factory soils. Within 10 geological units investigated the highest Ba and Cr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the soils from Okcheon group and metamorphic rocks, respectively. The BCR (European Community Bureau of Reference) sequential extrac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chemical distributional existence of 2 elements of soils from each geological unit. Ba in soils is mainly assumed to exists as reducible form (such as BaSO4, BaCO3) and Cr in soils mainly is assumed to exist as residual form (such as Cr2O3, CrxFe1-x(OH)3(x < 1)).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Endangered Plant, Paeonia obovata Maxim.)

  • 김영철;채현희;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8-675
    • /
    • 2016
  • 분포지의 환경특성, 개체군구조, 생태적지위, 생활사 특성 그리고 개체군 통계적 연구는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다. 우리는 12년간의 분포조사를 통해 총 37개의 분포지를 확인하였고 그중 12개 지역에 있는 25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생육지의 환경과 개체군 구조를 조사하였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8개 집단을 대상으로 4년간에 걸친 개체군동태를 조사하였다. 4년간의 재배실험과 화분매개곤충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조사결과 산작약은 비교적 넓은 식생환경에 걸쳐 분포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25개 집단의 개체군 구조는 비교적 안정적인 집단과 극단적으로 성체만이 존재하는 집단 등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상층식생에 생성된 숲 틈이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추정되었다. 재배실험에서 유묘는 토양의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에서 잘 성장하였다. 화분매개곤충의 방문이 결실한 종자의 수와 결실률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산작약의 분포는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분포에 관여하는 다른 요인의 연구가 필요하며 그 중에서 종자의 운반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산작약 개체군은 과거 급격한 분포지의 감소 이후 확대되는 과정으로 평가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시공간적 확장을 통한 종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를 제안하였다.

함평만 갯벌의 저서규조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Benthic Diatoms in Tidal Flats of Hampyeong Bay, Korea)

  • 이학영;정명화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11
  • 함평만 갯벌에 출현한 저서규조류는 총 45종이었으며 Paralia sulcata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종 분포에서는 전 지점에서 4월에 가장 다양했고 1월에 가장 단순한 종조성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고온기의 높은 다양도는 볼 수 없었다. 표층 퇴적물 시료의 chlorophyll a 농도는 19.7~35.2 mg $m^{-2}$이었고 평균 28.7 mg $m^{-2}$로 나타났다. 표층 퇴적물 내 pheopigment의 농도 범위는 25.3~45.2 mg $m^{-2}$이었고 평균 36.2 mg $m^{-2}$로 다른 지역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저서규조류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는 지점별, 조사시기 별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전 조사지점에서 4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 밀도를 나타냈고 1월, 2월, 10월에 상대적으로 낮은 출현개체 밀도를 나타냈다. 생물량의 분포는 개체수 밀도의 분포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물량은 4월에 함평만 갯벌의 전 조사지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월과 2월, 그리고 10월의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냈으며, 4월 이후에는 뚜렷한 감소의 경향을 나타냈다. 생물량과 출현종 다양도는 온도와 2차원의 회귀에 적합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중간교란가설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과 유사한 모델로 나타났다. 그러나 함평만 갯벌 저서규조류의 분포가 온도에 의존적이며 중간교란가설의 패턴을 따른다고 판단할 수는 없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rd Community in Hallasan National Park)

  • 전병선;유재평;백인환;오홍식;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60
    • /
    • 2007
  • 한라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서 2006년 4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38종 2,323개체였다. 이 중 텃새가 27종이었고, 여름철새가 6종, 겨울철새가 2종, 통과새가 3종이었다. 최우점종은 큰부리까마귀(14.81%)였으며, 다음은 직박구리(12.66%), 방울새(10.33%), 까마귀(8.44%), 곤줄박이(6.72%) 등의 순이었다. 산록도로지 역(A지역)에서는 31종 1,630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탐방로지역(B지역)의 27종 693개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1.34{\sim}2.56$의 범위에서 봄 조사시 A지 역에서 종다양도 2.56으로 가장 높았고. 겨울 조사시 B지역에서 1.34로 가장 낮았다. 고도별로 각 종들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고도에 따른 기상요건과 먹이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식생 및 환경변천사(홀로세 이전 시대를 중심으로) (The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Pre-Holocene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 Kong, Woo-Seok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
    • /
    • 1992
  • 본 연구는 석탄기 이래 플라이스토세 말기까지 한반도가 겪어온 식생사와 환경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식물화석 자료가 주로 이용되었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최고의 식물화석은 고생대 석탄기에 출현한 Neuropteris이지만 우리가 오늘날 볼 수 있는 식물상의 원형은 신생대 올리고세부터 발견되었다. 특히 올리고세에는 난지를 선호하는 상록활엽수가 오늘날에 비해 위도상으로 $4^{\circ}$정도 북상했던 사실로 미루어 당시의 기후는 오늘날보다 온난했던 것으로 간주된다. 마이오세 중기에는 난지를 선호하는 상록활엽수가 현재의 분포역에 비해 $6^{\circ}$정도 북으로 진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이오세 중기는 신생대 이후 한반도에서 난지선호 식물이 최대로 북상했던 때이고 기후 또한 가장 온난했던 시기임을 암시한다.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한반도는 상록침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재하는 온대기후가 냐타났으며 인간에 의해 식생이 간섭받은 흔적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플라이스토세 말기에는 한지선호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들의 분포역이 신생대 이래 한반도 식생사상 가장 남하했던 때로 당시의 기후는 한냉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플라이스토세가 끝나는 10,000년전 부터 한지선호 식생은 점차 감소하여 기후 온난화 경향이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