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lled water

검색결과 2,429건 처리시간 0.032초

영지추출물(靈芝抽出物)이 효모(酵母)의 증식(增殖)과 생리(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on Physiolog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주현규;김성조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0-267
    • /
    • 1987
  • 영지추출물이 효모의 증식과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영지의 용매별 추출물을 0, 0.1, 0.5, 1.0%되게 첨가한 Henneberg 액체배지에 S. cerevisiae를 접종하고, 5일간 발효$(30^{\circ}C)$과정중 균체생산, Alcohol 발효, $CO_2$ 발생 등을 조사하였다. 1. 발효과정중 72시간후 효모 세포수는 증류수추출물(Dw) 1.0% 첨가구>에탄올추출물(Et) 1.0% 첨가구>증류수추출물(Dw) 0.5% 첨가구>에탄올추출물(Et) 0.5%첨가구>증류수추출물(Dw) 0.1% 첨가구>에탄올추출물(Et) 0.1% 첨가구>대조구의 순이고 특히 1.0%구는 대조구보다 5.3배 많았다. 2, 건조균체량은 각 시험구 모두 대조구보다 많았고, Dw 1.0%구와 Et 1.0%구는 120시간 발효 후 대조구에 비해 약 1.7배였다. 3. 알코올 발효과정중 알코올 함량은 영지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다. 4. 발효과정중 효모의 단위 시간당 $CO_2$ 발생 속도는 영지추출물을 증량할수록 대조구보다 빠르다.

  • PDF

쇄양(鎖陽)의 농도별(濃度別) 투약(投藥)이 수컷 생쥐 생식능력(生殖能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ynomorii Herba Extract Solution on Reproductive Capacities in Mice)

  • 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한지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2-76
    • /
    • 2006
  • Purpose :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ynomorii Herba (CH) on the spermatogenic abilities such as the concentration, motility and morphological normality of sperm from the testis, and the activities of sperm hyaluronidase, testicular peroxidase and testicular catalase. Materials and Methods : We used the 2-month-old mice and administered 0.2ml extract solution of CH in the 0.1mg/ml, 1mg/ml, 10mg/ml and 100mg/ml once a day for 60days.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the distilled water in the same wa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xtract solution, we examined the number of total, motile and normal sperm from the cauda epididymis, the activities of sperm hyaluronidase, testicular peroxidase and testicular catalase. We observed the histological changes of isolated testis and compared to the testicular tissue especially seminiferous tubules between control and CH groups by histochemical method. Results : The concentration of total sperm and the motility of spermatozo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mg/ml, 10mg/ml and 100mg/ml CH groups, especially in 10mg/m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ormality of spermatozoa of the C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histolocal analysis of the testicular tissues, the enlargement of testicular lobe diameter and apparent vasculogenesis between testicular lobes were observed in the C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activity of hyaluronid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the activities of testicular peroxidase and testicular catal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CH has the beneficial effect on the concentration, morphology and motility of sperm, the activities of sperm hyaluronidase, testicular peroxidase and testicular catalase. We can suggest that CH extract solution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ale sexual dysfunctions and infertility.

  • PDF

왕불유행, 목통, 통초가 산후 생쥐의 유즙분비량과 유즙분비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landrii Herba, Akebia Quinata Decaisne, and Tetrapanax Papyriferus on Milk Secretion and Lactation Related Factors in Postpartum Mice)

  • 이가위;이은희;이창현;김홍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landrii Herba (MH), Akebia Quinata Decaisne (AQ), and Tetrapanax Papyriferus (TP) on milk secretion and aquaporin (AQP) expression in lactating mice. Methods: For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orally administered MH (2,720 mg/kg), TP (400 mg/kg) and AQ (2,800 mg/kg) extracts respectively for 3 weeks from Day 1 after the birt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distilled water. A group consisted of six infantile mice per postpartum mouse. For comparison with the C group, non-pregnant SKH-1 mice were used as the virgin group. Results: 1. When it comes to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actin receptors in the mammary glands, the AQ and MH groups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to the secretory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while the TP group represented a weaker immune response. 2.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AQP in the mammary glands, AQP1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in the walls of capillaries and venules around the mammary alveoli, and AQP3 in the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and AQP5 in some tissues between the mammary alveoli.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 and AQ group>TP group=C group, and AQP5 was MH group>C group>AQ group and TP group. 3. In the Western blot,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AQ group>C group>TP roup, and AQP5 was MH group>TP Group>C group>AQ group. All of AQP1, 3, 5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 group than in the Virgin group.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Akebia Quinata Decaisne, Tetrapanax Papyriferus and Melandrii Herba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lactin levels in postpartum mice and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rolactin receptor and AQPs in the mammary glands, suggesting that lactation might be enhanc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mmary glands.

개 외이염에 대한 Enrofloxacin과 Silver Sulfadiazine 국소제제의 치료효과 (Efficacy of Enrofloxacin and Silver Sulfadiaznine Topical Otic Suspension for the Treatment of Canine Otitis Externa)

  • 배슬기;김병목;최성원;신희주;이영주;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2-177
    • /
    • 2013
  • 본 연구는 개 외이염에 대한 enrofloxacin-silver sulfadiazine (Baytril$^{(R)}$ otic, Bayer, USA)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24두의 외이염 이환견을 대상으로 처치군에는 바이트릴 오틱을,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이도내 7일간 국소투약한 후 7일후에 임상증상, 미생물 및 효모균수를 통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외이염에서 분리된 세균 및 효모균에 대한 바이트릴 오틱의 최소억제농도를 산출하였다. 주요 분리균으로는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Pseudomonas aeruginosa, Proteus spp and Malassezia pachydermatis.이었다. 임상증상의 경감은 81%, 미생물수는 87% 감소하였다. 바이트릴 오틱은 분리된 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충분하였고 국소투약에 대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바이트릴 오틱은 개의 외이염 감염에 대한 효과적이며 안전한 제제로 판단된다.

계두예방약(鷄痘豫防藥)의 실험적연구(實驗的硏究) (Exper mental Studies of Fowl Pox Vaccine)

  • 임영문;변은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6-53
    • /
    • 196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fowl pox embryo vaccine for the production immunity, and stability, using an attenuated fowl pox virus (Nakano strin). Burnet's window method was applied, that is, 0.1 ml. of seed virus was inoculated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of 12-day old chicken embryos, and incubated for 5 to 6 day, and then the result were read. Four kinds of suspensions of different embyo tissue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the infectivity in chickens. Finally the suspension of chorioallantoic membrane was used as the vaccine throughout the experiment.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f embryo tissue infected with the vaccine virus, chorioallantoic membrane had the highest virus titer of $10^{-5.4}$ $EID_{50}$, and albumen the lowest titer of $10^{-0.7}$ $EID_{50}$. (2) Suspensions of infected whole embryo with or without saline, and de-embryonated whole egg had about the same virus titer of $10^{-4.4}$ $EID_{50}$, whereas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had $10^{-5.7}$ EID 50 or higher. The virus titer droped one log from $EID_{50}$ when inoculated into chickens. Takes were observed 35.6% of 500 chickens by stick method and 89% of 500 chickens by brush method. (3)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conferred almost perfect immunity for chickens by 10 days after vaccination. (4) Satisfactory immunity was observed in the chickens when eruption in a single follicle. (5) Eight of 10 vaccinated chickens revealed durable immunity for 307 days following vaccination. (6) The vacuum-dried vaccine maintained its infectiviy for 899 days at $5^{\circ}C$ or below and maintained the vius titer of $10^{-3.6}$ $EID_{50}$. On the other hand, non-desiccated wet vaccine maintained the titer of $10^{-3.0}$ $EID_{50}$ for 50 days of preservation period at $5^{\circ}$. However, in 50% glycerin-saline the infectivtiy of the same wet vaccine dropped to $10^{-1.5}$ $EID_{50}$ (7) The vartation of virus titer of the vaccine before and after desiccation was $10^{-0.5}$ $EID_{50}$ on the average. (8) As suspending media, 0.85 per cent saline and distilled water showed nearly the same effect on the infectivity of the vaccine by retaining the titer $10^{-3.0}$ $EID_{50}$ after 50 days of preservation both at $5^{\circ}C$ and $20^{\circ}C$, while 50 percent cent glycerine-saline dropped the titer to $10^{-2.5}$ EID and $10^{-1.5}$ $EID_{50}$ respectively at $5^{\circ}C$ and $2^{\circ}C$ after the same period.

  • PDF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FDEIA)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분석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이원준;곽이섭;유병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2-5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운동 강도(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달리하여 훈련한 서로 다른 그룹에서 운동 유발성 알러지 아나필락시스의 차이를 규명하고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 유발성 알러지 질환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군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강도 훈련군(S30, n=25), 중강도 훈련군(S50, n=25) 및 고강도 훈련군(S80,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강도별 알러지를 유도하였을 때, 알러지 아나필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림프구 증식반응, 싸이토카인(IL-4, INF-${\gamma}$), 항체 및 복강과 비장의 ROS를 함께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운동강도의 증가와도 밀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OVA반응에 대한 림프구 증가가 현저하게 일어나는 원인과 복강활성산소의 증가 및 알러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싸이토카인인 IL-4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INF-${\gamma}$의 감소도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추후 운동 강도뿐만이 아니라 운동빈도에 따라서도 FDEIA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쌀의 취반 중 Phenthoate 농약 잔류분의 제거 (Elimination of Phenthoate Residues in the Washing and Cooking of Polished Rice)

  • 김남형;이미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90-496
    • /
    • 1996
  • 인위적으로 phenthoate 농약성분을 부착시킨 쌀의 취반(炊飯), 즉 수세 및 가열조리시 농약잔류분의 제거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에서의 세척방법에 준하여 3회 반복 수세한 쌀에서 phenthoate는 49%가 잔존하였으므로 수세에 의해 51%가 제거되었다. 수세과정에서는 첫 번째 세척액(뜨물)에서 37.3% (여과액 7.8, 잔사 29.5%), 두 번째 세척액에서 14.3% (여과액 6.2%, 잔사 8.1), 세 번째 세척액에서 8.9% (여과액 5.8. 잔사 3.1%)가 제거되었다. 세척액 중 phenthoate 잔류분은 뜨물 여과액보다 뜨물 잔사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전기밥솥에서 가열조리한 쌀밥에서 phenthoate 잔존율은 41%이었으므로 수세 및 가열조리에 의해 오염된 phenthoate의 595가 제거되었다. Phenthoate 성분은 열에 안정해 취반시에도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쌀 중에 잔류하는 phenthoate 성분은 취반과정시 주로 수세과정에 의하여 제거되므로 가열조리전 수세과정을 반드시 3회 이상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는 쌀 중 phenthoate의 잔류 허용기준 설정시 감소계수(0.4)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에 있어서의 간 기능에 미치는 칡 카테킨의 효과 (The Effects of Puerariae Radix Catechins Administration on Liver Function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Rats)

  • 이치호;한석현;김종배;민상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13-719
    • /
    • 1995
  • 본 연구는 3주간 $CCl_4$를 투여한 랫트를 이용하여 각 장기 및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를 조사, 과산화지질가를 감도가 좋은 형광발광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측정, 간세포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 등의 방밥으로 간기능에 미치는 PRC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PRC투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은 감소하고, 상대적 간장 중량의 감소경향, GOT 및 GPT의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과산화물가가 유의하게(p<0.001) 감소하였다. 이로 인한 결과를 명확히 뒷받침해 주고 있는 간세포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관찰의 결과는 RPC투여의 효과를 간세포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간세포에 대한 PRC의 효과를 나타내 주었다. 이 결과는 칡 카테킨이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장의 과산화지질의 형성을 방지해서 간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하겠다.

  • PDF

동전기제염장치에서 발생한 폐액의 재사용을 위한 개선된 처리기술 (Improved Treatment Technique for the Reuse of Waste Solution Generated from a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System)

  • 김완석;김승수;김계남;박욱량;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14
  • 우라늄으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 실규모의 동전기제염장치로 제염하는 과정에서 많은 산폐액이 발생한다. 발생한 산폐액에 CaO를 가해 우라늄수산화물을 침전시켜 여과한 다음, 방사성 폐액을 줄이기 위하여 이 용액을 재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용액을 동전기에 재사용할 경우, 높은 농도의 칼슘 때문에 양극실에서 음극실로 용액이동 속도가 감소하여 여과포의 약화, 전선 부식, 음극면에 산화물 부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액에 황산을 넣어 $CaSO_4$로 침전시켜 칼슘을 제거하였다. 칼슘이 제거된 재생액을 사용하여 소형 동전기 장치에서 20 일간 토양제염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세척후 토양내 우라늄 잔류 농도가 0.35 Bq/g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증류수 제염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제제방법별(製劑方法別) 혼합입제(混合粒劑) 농약(農藥)의 특성(特性)과 약효(藥效)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of Combined Pesticide Granules Formulated by Different Ways)

  • 오병열;박영선;심재완;강창식;이형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90-95
    • /
    • 1986
  • 입제농약(粒劑農藥)의 제제방법(製劑方法)에 따른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과 병해충 방제효과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습식법(濕式法)과 피복법(被覆法)으로 제조(製造)한 probenazole + carbofuran(6%+3%)입제(粒劑)를 공시약제供試藥劑)로 하여 실내(室內)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는 습식법(濕式法)에 의한 입제(粒劑)보다 주성분(主成分)의 경시안정성(經時安定性)이 양호(良好)하였으며 수중(水中) 주성분(主成分) 용출속도(溶出速度)도 완만(緩慢)하였다. 2. 약제처리초기(藥劑處理初期)의 추청(秋晴)벼 지상부중(地上部中) 농약잔류(農藥殘留) 농도(濃度)는 습동법(濕東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피복법(被覆法)에서 보다 높게 유지(維持)되었으나, 약제처리(藥劑處理) 8일후(日後)에는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3. 도열병(稻熱病)의 방제효과는 입제(粒劑)의 제제방법조간(製劑方法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벼멸구의 방제효과는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우수(優秀)하였다. 4.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probenazole+carbofuran 입제(粒劑)의 생산비(生産費)는 습식법(濕式法)의 경우(境遇)보다 약(約) 6%의 절감(節減) 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