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l extensio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5초

엇갈린 교합에서 implant와 magnetic attachment를 이용한 국소의치 증례 (Implant supported removable dental prosthesis with magnetic attachment in crossed occlusion: A case report)

  • 이유진;이성복;이석원;박수정;안수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0
    • /
    • 2017
  •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위한 보철 계획을 수립할 때, 잔존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대합 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지지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발치 후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악 전치의 돌출과 하악 입술 지지도가 부족한 것을 개선하고 싶어한 환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악 전치부 보철적 수복 및 하악 의치를 통해 심미적 안모를 회복하였다. 5개월 정기검진 결과,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하였고 의치의 안정성 또한 잘 유지되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배구 스파이크시 신체분절의 각도와 각속도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al Analysis of Angle and Angular Velocity of the Body Segment on Spike in Volleyball)

  • 조필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1-19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open spike in the volleyball to improve the technique of the volleyball spike. The subjects were six male college and high school athletes. The motions of volleyball spike were filmed by using two Sony VX 2000 Video Cameras. The mechanical factors were angle and angular velocity of body segments in the upper and the lower limb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angle of the shoulder joint of the skilled showed larger than that of the unskilled in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2. The angle of the elbow joint of the skilled showed larger than that of the unskilled in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3. The angle of the wrist joint of the skilled showed smaller than that of the unskilled in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4. The angle of the hip joint of skilled showed larger than that of unskilled in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5. The angle of the knee joint of the skilled and the unskilled showed same in take off and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and that of the skilled showed smaller than that of the unskilled in take-off touchdown and touchdown after impact of the volley ball spike. 6. The angle of the ankle joint of skilled showed larger than unskilled in take-off of the volley ball spike. 7.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houlder joint, elbow joint, wrist joint of the skilled showed faster than that of the unskilled in impacting of the volley ball spike. Taken together the result of them, I have come to conclusion that knee joint angle in touchdown of the take off should be decreased and knee joint angle in take off should be increased, and then stability of the take off should be made and, and that extension of the elbow joint should be made and wrist joint angle decreased and shoulder and hip joint angle increased, and then C.O.G of the arm and hand should be positioned ahead C.O.G of the body in impacting for effective impact of the spike, and that the transfer of the angular velocity of body segments for effective impact of the spike make from the proximal segment to the distal segment at spike in volleyball.

국부의치 제작을 위한 보철의뢰 서식의 기록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Study of Prosthetic Prescriptions sent to the Laboratorie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Framework)

  • 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prescriptions including surveyed crowns and design of component parts sent to the laboratory technician. A total of 351 casess with prescription forms and master cast in maxillary and mandibular semi-edentulous situations collected from dental laboratory by random sampling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evaluation and study observed here involved the classification of edentulous situations, status of abutment splinting,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s, location of maxillary major connectors and tripodig marks on the master casts. Removable partial denture prescriptions contained (1) general request (upper and lower cast framework), (2) types of metal, (3) location of retainer(retention, lingual bracing, rest area, guiding plane surface), (4) location and type of major connector, (5) relief area and amount, (6) and other specific instructions. The following informations based on the classified groups such as Group I was those cases sent with no real prescriptions. They say 'make a partial.' No prescriptions, no thought beforehand, Group II was those cases sent with a minimal prescriptions. They say 'make a partial with clasps on May be some preparations, usually inadequate. Group III was those cases sent with a moderately good prescription. Adequate but could be much better. No tripoding but it tell what clasps go where. Still not good prescriptions. Group IV was good cases, tripoded with adequate prescriptions and a prescription which exactly describes what is expected from the laboratory.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ormal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ns in Class. I and Class. II edentulous situations on the maxillary cast were observed 31.9% and 27.89%, respectively. The abutment teeth and retainer without occlusal rests of Class. I and Class. II were showed 11.58% and 8.86%, respectively. In mandibular cases, the normal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ns showed 27.54% and 8.82% in Class. I and Class. II situation. The abutment teeth and retainer without rest seats were showed 15.19%, respectively. 2. The splinted surveyed crowns of Class. I and Class. II maxillary edentulous situations in distal extension cases were showed 34.51% and 28.85%, but 28.52% and 10.29%, respectively. 3. The location and type of maxillary major connector delineated on the master cast were 66 cases (44.89%). 4. The results of 351 cases were classified as Group I 146(41.59%), Group II 115 (32.76%), Group III 57 (16.23%), and Group IV 33 (9.48%). 5. The delineation of abutment tooth for clasping were 176 cases (50.14%) among total of 351 cases. 6. The delineation of height of contour line were showed 45 cases (12.8%) in Group II, 14 cases (3.98%) in Group III and 33 cases (9.40%) in Group IV with total 92 cases (26.21%). 7. In surveying procedure, the delineation of tripoding marks and reference line were showed 17 cases (4.84%).

  • PDF

양측성 후방연장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의 합병증과 관리: 증례보고 (Complication and management of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distal extension: a clinical report)

  • 최정윤;이정진;송광엽;박주미;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38-344
    • /
    • 2016
  •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는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의 생체역학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어 무치악 환자의 유용한 치료로 활용된다. 기계적, 생물학적 합병증을 예방하고 장기간 적절한 예후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내원을 통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보고에서 치유 지대주를 이용한 양측성 후방연장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에서 발생한 기계적 합병증 및 관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 국소의치 장착 36개월 후 치유 지대주의 마모 및 파절이 발생하였고, 이에 임플란트 유지 국소의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치유 지대주를 $Locator^{(R)}$로 교체하였다. 환자는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주관절 골절 혹은 탈구의 실패한 수술적 치료 후 시행한 주관절 전 치환술의 결과 (Total Elbow Arthroplasty after Failed Surgical Treatment for Elbow Fracture or Dislocation)

  • 이진웅;노준하;송종훈;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90-198
    • /
    • 2007
  • 목적: 주관절 골절이나 탈구로 인해 일차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후 불량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반구속형 인공 주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하여 그 임상적 결과 및 효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주관절 부위 골절 혹은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반구속형 인공 주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상시 진단은 상완골 원위부 골절이 8예, 주관절부 골절 및 탈구가 4예였다. 첫 수술 후 평균 12개월 후에 반구속형 인공 주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하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43개월 이었다. 결과: 술후 환자의 평균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술전과 비교하여 신전은 14.2도에서 5.4도로, 굴곡은 96.7도에서 122.1도로, 회외전은 50.8도에서 63.3도로, 회내전은 53.3도에서 67.5도로 향상되었다(p<0.05). 환자 중 3예에서는 상완골에서 방사선학적 투과선이 관찰되었으며 각각 제 3형 1예, 제 4형 2예가 있었다. 이들은 모두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Mayo 주관절 기능 평가 점수는 평균 79점이었다. 최우수는 6예, 우수 2예, 불량 4예였다. 결론: 주관절부 골절 및 탈구로 인한 손상에 대해 일차적인 수술적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 인공 주관절 전 치환술을 시도하여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방십자인대의 전내측 다발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는 새로운 수술 수기 (New Technique for the Reconstruction of Both Anteromedial & Posterolateral Bundles of ACL)

  • 하철원;어수익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5-199
    • /
    • 2002
  •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수술 수기가 크게 어려워지지 않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고 별도로 긴장시켜 고정할 수 있는 수술 수기를 고안하여 재건슬을 시행한 결과,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보다 정상에 가까운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의 긴장도를 갖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이 가능하였기에 그 수술 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인 관절 내시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경골 및 대퇴골에 골터널을 만든다. 이때 경골부위의 골 터널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약간 타원형이 되면서 약 $5\~7$ mm 정도 앞뒤 족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이식을 위한 동종 아킬레스건을 다듬을 때, 대퇴골 터널 내에 들어갈 골 부위는 고식적인 경우와 같도록 하고, 경골부 터널에 들어갈 건 부위는 가능한 한 두껍게 준비하고, Y자로 두 개의 다발로 만들어 각각 봉합사를 이용하여 마무리, 준비한다. 두 개의 다발을 함께 준비용 수술용 탁자의 터널 내로 통과시켜보면서 두께를 확인하고 대퇴골 터널 내에 동종 아킬레스건의 골 부위를 관절경 시야에 삽입시킨 후 고정한 다음, 경골 터널의 원위부 바깥쪽에서 두 개의 다발을 봉합사와 함께 당기면서 슬관절을 굴곡-신전을 반복하여 신장시킨다. 슬관절을 약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전내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 후 다시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후외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후 2개의 다발사이로 끝이 둥근 유도핀을 삽입하여 관절경 시야에서 경골 터널 근위 입구에서 2개의 다발사이에 위치한 것을 최종 확인한 후, 흡수성 간섭나사를 이 핀을 따라 삽입하여 경골 터널 근위부 입구 직하부까지 전진시켜 좀더 견고한 고정을 얻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 측 다발을 더욱 해부학적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치료에서는 스테로이드 의존성 혹은 재발율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MP 요법은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 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1차성 또는 2차성 신증후군의 치료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