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ussion and discours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Focused on an Analysis of Discourses

  • Chen, Xiaoying;Shin, Bom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0
    • /
    • 2022
  •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highligh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arious studies. To disclose teachers' discourse thread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developing their knowledge, this paper adopted two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nd "time-sequential analysis" of learning analytics. Such analyses were implemented for mining teachers' updated knowledge and the discourse threads in the discussion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The materials for analysis involved two aspects: one was from the video-tape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teachers before and after discussing, and the other was from their discourses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The results proved that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the centroid of a triangle was updated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eriod, and also revealed the discourse threads of teachers' collaboration contained "requesting information or opinions", "building on ideas", and "providing evidence or reasoning", with the emphasis on "challenging ideas or re-focusing talk"

건축 표절 논의를 위한 미학의 차용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bility of Aesthetics of Appropriation for the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 김영선;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11-22
    • /
    • 2020
  • It is the juristocracy in architecture to judge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by copyright law.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should judge by architectural criticism. From the point of the criticism to discuss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on artistic imitation should be preceding. The current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doesn't consider artistic imit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only focused on whether the building is plagiarizing or not. From the point of architectural criticism, there should be three considerations, which are creation, imitation, and plagiarism. In the study of Aesthetics, it theorized artistic imitation as the appropri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ppropriation, contemporary art is developing the discourse on plagiarism beyond the boundary of plagiarism fundament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appropriation to the discussion of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introduces the discourse on architectural plagiarism rather than judging it with copyright law. There 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esthetics standard of appropriation art, then apply it to the architecture cases. The architecture cases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glasshouse by Philip Johnson,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by Howard Raggatt, and the Meiquan 22nd Century in China. At the point of the appropriation theory, the glasshouse is the only architectural appropriation, and others need to appl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lagiarism.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탐색적 논의 (Exploratory discussions on an integrated approach to mathematics education)

  • 유충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291-300
    • /
    • 2016
  • The integr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s required Fundamentally discussion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fter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at, Practical approach of that can be correctly realized. However, It is the impression that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action about the current discourse about integr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are the wrong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ction for the integrated approach in mathematics education,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integrated approach of mathematical education is properly required.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가족 및 가족정책 담론 (A Study on the Discourse of Family and Family Poli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Strong Family Act)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253-280
    • /
    • 2007
  • 이 연구의 분석결과 "건강가정 진영"의 가족담론은 사적 도덕률의 중시, 탈제도화에 대한 거부감, 가족문제를 개인적, 도덕적 문제로 바라봄, 가족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존재로서의 국가 배치 등이었고, "비판 진영"의 가족담론은 정상가족으로서의 건강가정, 사회적, 구조적 문제로서의 가족문제, 가족을 지원하는 보조적 위치로서 국가를 바라보고 있었다. 가족정책 담론은 "건강가정 진영"은 "사회적(인과적) 효용"이라는 정당화의 논리, 국가주의적 사고와의 결합, 가족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가족정책, 이분화된 가족정책을 견지했고, "비판진영"은 간주관적 합의로서의 정당화 논리, 양성평등의 도구이자 복지국가 확장의 지룃점으로서의 가족정책, 이분화된 아젠다에 대한 비판으로 가족정책 담론을 끌고 나갔다. "건강가정" 담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어갔고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와 신자유주의라는 체계담론과 접합되었다.

  • PDF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Analysis of Argumentation in the Inquiry Discourse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이봉우;임명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39-751
    • /
    • 2010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과학탐구에 대한 비판적 토론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약 3개월 동안 24명의 예비교사들은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개방적 탐구를 수행하였고, 이후 10회의 비판적 토론을 실시하였다. 모든 토론과정은 녹화하여 전사하여 분석되었다. 툴민의 논증분석틀과 인지적 논증분석틀을 이용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토론에 나타난 논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단위별 논증요소 분석에서 주장, 정당한 이유, 자료, 반박, 지원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둘째, 대화 단위별 논증 구조에서 CW, CD, CDW, CWR, CR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비판적 탐구토론에서는 다른 토론활동보다 반론의 비율이 많이 제시되었다. 넷째, 두 번째 논증활동이 첫 번째 논증활동보다 질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근대 초 조선민족성과 조선미의식 담론의 논리화 방식 : 안확(安廓)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ourse about Chosǒn national character and Chosǒn aesthetic consciousness : focusing on the An Hwak and Yanagi Muneyoshi's discourse)

  • 이선이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267-2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a circulation and conflict of concepts and logics of the $Chos{\check{o}}n$-ness by analysing the $Chos{\check{o}}n$ national character and $Chos{\check{o}}n$ aesthetic consciousness. As entering the modern period, we understood the nations as a unit of the artistic awareness. So, national art is defined as a national character expression from this period. The $Chos{\check{o}}n$ aesthetic consciousness by raising in this period, which is connected with the discourse of national character, carry out a discussional practice defining the Korean originality. However, there is a circulation and conflict of concepts and logics about the $Chos{\check{o}}n$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a discussion. For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white-clad folk' and 'the beauty of sorrow'. An Hwak and Yanagi Muneyoshi are representative debaters who try to establish the $Chos{\check{o}}n$-ness and their discussion supports these facts. As An Hwak regressing of the respect for high antiquity, he demolished the historical character from the $Chos{\check{o}}n$-ness and overlooked aesthetic differences by a periodical change. Yanagi Muneyoshi totally separates arts from politics and disposes of Korean arts in an abstract timeless-space. The function of such an early-modern period's discourse about $Chos{\check{o}}n$ aesthetic consciousness is that $Chos{\check{o}}n$ national character makes the dehistoricization and depoliticization.

한국 한문고전 번역의 가치담론과 번역자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An Approach to Value Discourse on Translation of Korean Chinese written Classics)

  • 남지만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445-473
    • /
    • 2018
  • 본고는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가치에 대한 담론과 그 번역을 수행하는 번역자상을 다루었다. 연구의 범위를 한국(남한)에 한정하여, 민족문화추진회 등 관련 기관이 창설되고 국가지원을 통해 고전번역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인 1960년대 이후를 연구범위로 하여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번역가치담론의 변천을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화 담론과 한학(漢學) 담론이 주조를 이루었다. 민족문화 담론은 근대화와 짝을 이루는 것이었으며, 한학 담론은 근대화 담론에 일정 정도 길항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의 번역자상은 한글을 구사할 수 있는 한학자상에 가까웠다. 민족문화 담론은 정신문화 담론과 짝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설립을 이끌어 내기도 하였으며, 이후 1980년대에 한국학 담론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80년대 중반 이후 김용옥에 번역학 이론이 소개되어 반향을 일으켰다. 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왕조실록"의 번역은 고전번역 현장의 고전번역 담론을 사업 담론으로 기울게 하였다. 이러한 대형번역사업은 전문역자군을 산출하여, 번역자상으로 전업적 고전번역자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으로 고전번역사업의 안정적 기반이 마련되자 고전번역 담론은 사업 담론의 영역에서 고전번역학을 중심으로한 학술 담론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게 되었다. 고전번역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고전번역대학원이라는 학문기구의 설립 문제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이 시기의 학문 담론과 짝하여 고전번역자는 고전학자이자 번역자여야 한다는 연구 번역자상이 요청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고전번역 가치담론은 시대흐름에 따라 변화하였고, 그에 따라 고전번역자상도 변화하였다.

"아버지 초서," 민족국가의 수사 ("Chaucer the Father," Rhetoric of the Nation)

  • 김재철
    • 영어영문학
    • /
    • 제58권1호
    • /
    • pp.143-161
    • /
    • 2012
  •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essay is to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ucer's fatherhood and English nationalism. Chaucer as a nationalist poet with essential Englishness is a product of the pre-modern nationalist project initiated between the late thirteenth century and early fourteenth century. In this period, as Turville-Petre regards, the English nationalist identity started to rise in language and literature. Thus this essay surveys the pre-modern nationalist discourse before Chaucer and how it influenced Chaucer to spawn his own nationalist discourse. The latter half of this project, as a reception study, surveys the nationalist receptions of Chaucer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Chaucer studies and jingoistic nationalism was highly circumstantial. In terms of Chaucer's reception, the nineteenth-century was a crucial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nationalist discourse and Chaucer studies firmly combined and Chaucer was envisaged as a boastful nationalist poet. The essay's discussion generally revolves around Chaucer's fatherhood and his exclusive Englishness; "Chaucer the father" is nationalist rhetoric which mediates thirteenth century post-colonialism and nineteenth-century colonialism.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 분석 (Discourses of Korean Newspaper Articles about Digital Education)

  • 허신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99-805
    • /
    • 2023
  •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었던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디지털 역량은 더욱 강조되었고, 이는 교육 정책의 변화에 반영되었다. 많은 정책은 대중 담론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일간지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가 정점이던 2020년에 디지털교육에 대한 담론은 급증하였는데, 이는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과 학생에 대한 효율적 관리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담론은 디지털 역량의 문제를 주로 새로운 기술 습득의 문제와 관련지어 논했고,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다. 셋째, 디지털교육 담론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보다는 현재적인 관점의 담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지 새로운 기술 습득이나 기능 함양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전부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교육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