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rete curvatur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부드러운 $C^2$확장 곡면 생성 (The Generation of a Smooth C Extension Surface)

  • 김회섭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43-147
    • /
    • 2004
  • To design parts satisfying physical property in the continuous region, we do it in the discrete rectangular mesh points. Then we obtain points data from parts design and usually construct the surface using least squares method. In such case, that surface has an oscillation in the ineffective region which is inadequate for physical phenomena or NC machining. To solve both problems simultaneously, we extend the surface smoothly to have small curvature in the extended region. Up to now, we use the least squares method for the parts design in Color Picture Tube or Color Display Tube but in this paper, we use functions which is easily controllable. This surface has no error within the effective region compared to the least squares method.

3D NURBS 곡선의 해석적 및 이산적 순정 (Analytic and Discrete Fairing of 3D NURBS Curves)

  • 홍충성;홍석용;이현찬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27-138
    • /
    • 1999
  • For reverse engineering, curves and surfaces are modeled for new products by interpolating the digitized data points. But there are many measuring or deviation err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ndle errors during the curve or surface modeling. If the errors are ignored, designer could get undesirable results. For this reason, fairing procedure with the aesthetics criteria is necessary in computer modeling. This paper presents methods of 3D NURBS curve fairing. The techniques are based on automatic repositioning of the digitized dat points or the NURBS curve control points by a constrained nonlinear optimization algorithm. The objective function is derived variously by derived curved. Constraints are distance measure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modified digitized data points. Changes I curve shape are analyzed by illustrations of curve shapes, and continuous plotting of curvature and torsion.

  • PDF

Geometrically exact initially curved Kirchhoff's planar elasto-plastic beam

  • Imamovic, Ismar;Ibrahimbegovic, Adnan;Hajdo, Emina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8권6호
    • /
    • pp.537-553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geometrically exact Kirchhoff's initially curved planar beam model. The theoretical formulation of the proposed model is based upon Reissner's geometrically exact beam formulation presented in classical works as a starting point, but with imposed Kirchhoff's constraint in the rotated strain measure. Such constraint imposes that shear deformation becomes negligible, and as a result, curvature depends on the second derivative of displacements. The constitutive law is plasticity with linear hardening, defined separately for axial and bending response. We construct discrete approximation by using Hermite's polynomials, for both position vector and displacements, and present the finite element arrays and details of numerical implementation.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in order to illustrate an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beam model.

삼각형 메쉬 모델의 효율적 이산 곡률 근사 (Efficient Approximation of Discrete Curvature of Triangular Mesh Model)

  • 전성환;권영수;서정근;최유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6-71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메쉬 모델의 형태 분석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 이산 곡률 근사 방법을 제안한다. 메쉬 이산 곡률을 계산하는 기존 방법들의 경우, 각 정점(vertex) 별로 인접면(face)에대한 인접 순서등 인접 정점과 인접면과의 관계에 대한 사전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인접 정점과의 관계 분석을 위하여 고유치 분석 등 높은 계산 비용을 요구한다. 이에 비해, 제안 방법은 각 정점별로 정렬되지 않은 인접 정점의 위치 정보만으로 이산 곡률을 계산함에 따라 계산 부담이 적은 반면, 기존에 Taubin의 방법을 적용한 결과에 비해 정확한 곡률 계산 결과를 보여 주었다. 곡률 계산의 정확성은 다양한 형태의 메쉬 모델들에 대한 기존 방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일방향 순차층위 스네이크 모델에 의한 디지털영상의 특징점 추적 (Feature Points Tracking of Digital Image By One-Directional Iterating Layer Snake Model)

  • 황중원;황재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86-92
    • /
    • 2007
  • 2D 영상의 특징점을 추적하는 이산동적 모델을 고안한다. 종래의 스네이크 접근은 내외 추진력으로 구성된 에너지함수를 최소화하도록 구획을 변형시켜가면서 영상 내의 원하는 특징에 밀착시켜간다. 이 때 스네이크화소를 중심한 인접화소군은 사각형 같은 평면 2차 행렬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 특성점들을 상호 연결하는 모델 구조를 제시한다. 에너지모델은 그 국부최소점이 활성처리에 유용한 교차 해법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추적시 선 형태의 1차 행렬 블록을 사용한다. 진행 방향의 반대 끝 라인으로부터 굴곡상태를 만족하는 시발점들을 선정하고 에너지 최소처리를 통해 이웃 라인으로 순차 자동 이동한다. 추적 경로는 상승 하강점 또는 극대 극소점과 같은 굴곡 한계에 의존한다. 이와 같은 층위적 접근은 인접데이터 라인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일방향 특성이 있는 디지털 영상의 특징점 추적에 유용하다. 그리고 인체 경동맥초음파영상에서 그 내 외막 시점을 추적하는 실험으로 알고리즘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Damage assessment based on static and dynamic responses applied to foundation beams

  • Orbanich, Claudio J.;Ortega, Nestor F.;Robles, Sandra I.;Rosales, Marta B.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2권5호
    • /
    • pp.585-595
    • /
    • 2019
  • Foundations are a vital part of structures. Over time, the foundations can deteriorate due to unforeseen overloads and/or settlements, resulting in the appearance of cracks in the concrete. These cracks produce changes in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the affected foundation, which alter its load carrying capacity. In this work, non-destructive techniques of relative simplicity of application are presented for the detection, location, and quantification of damage, using numerical models, solved with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Power Series. For this, two types of parameters are used: static (displacement and elastic curvature) and dynamics (natural frequencies). In the static analysis, the damage detection is done by means of a finite elements model representing a beam supported on an elastic foundation with a discrete crack that varies in length and location. With regard to dynamic analysis,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model are presented and a method based on Power Series is used to obtain the solution for a data set, which could be the Winkler coefficient, the location of the crack or the frequency.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ologies,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to data obtained from laboratory tests.

복합지형상에서 비정상 박리흐름에 의한 확산 (Dispersion in the Unsteady Separated Flow Past Complex Geometries)

  • 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12-527
    • /
    • 2001
  • 복합지형을 지나는 박리흐름(separated flows)들이 와도 이론에 의해 모델링 되었다. 흐름은 비회전성 및 비점성으로 가정하였으며, 선형 시어흐름에 대한 유선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 기술되었다. 지형지물의 형태로는 snow cornice과 backward-facing step을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지형지물의 후미에는 유체의 박리현상과 역류현상(reattachment)이 생긴다. 유체의 박리현상이 지형지물의 가장자리에 발생되게 하기 위해 점 와도를 흐름에 발생시켰고, 지형지물의 가장자리에 있는 뾰족한 부분을 완화하고 최대곡률 부근에서의 섭동운동에 중요한 박리흐름 발생지점의 구속조건을 없애기 위해 conformal mapping을 수정하였다. 와도 발생지점에서 와도를 평형으로부터 이동시키거나, 또는 임의의 섭동을 초기흐름에 가하는 방식으로 섭동을 가하여 비정상흐름을 발생시켰다. 박리지점의 풍상측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고, 또한 bubble의 이차순환에 의해 변형된 물질의 궤적들이 수치적으로 적분되었으며, 시간에 대한 농도누적이 역류지점의 풍하측 고정된 지점에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방출물질의 확산형태와 간헐성을 제대로 다룰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산적인 방법에 의한 다중-와도모델 및 수치모델의 결과들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박리 및 역류현상이 있는 유체의 흐름 속에 순환하는 bubble들의 비정상상태(unsteadiness)는 풍하측에서 대규모의 고농도 누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 PDF

초점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유체 렌즈 (Digital Variable Focal Liquid Lens)

  • 이동우;조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5호
    • /
    • pp.557-56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4 비트 디지털구동기를 가변초점 유체렌즈에 적용하였다. 4 비트 디지털구동기는 총 16 단계로 렌즈곡면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을 변화시킨다. 본 가변초점 유체렌즈는 별도의 정밀 압력 및 유체량 제어기 없이 디지털구동기의 On/Off 제어만으로 렌즈곡면을 ${\pm}200nm$ 의 정밀도로 제어하여 초점거리를 3.63mm에서 38.6mm 까지 조절할 수 있다.

얼굴 특징을 고려한 대칭적인 형상 변형과 호감도 향상 (Symmetric Shape Deformation Considering Facial Features and Attractiveness Improvement)

  • 김정식;신일규;최수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9-3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3차원 스캔 데이터로부터 특징을 고려하여 비대칭적인 요소를 완화시키는 대칭적 변형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얼굴의 전체 윤곽뿐만 아니라 세밀한 영역까지 다룰 수 있는 얼굴의 특징점과 표면 곡률에 기초한 새로운 3차원 형상 기술자(shape descriptor)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형상 기술자는 이상적인 대칭 평면을 정의하여 정확한 대칭쌍 정점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교하게 3차원 얼굴의 대칭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을 위한 모든 단계에서 처리를 쉽게 하도록 포인트 기반 표현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대칭적 변형 기법을 통해 얼굴의 비대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얼굴에 대한 호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강화 학습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횡 방향 제어 (Lateral Control of An Autonomous Vehicle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이정훈;오세영;최두현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5C권11호
    • /
    • pp.76-88
    • /
    • 1998
  • 강화 학습은 이산적인 공간을 가상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졌지만, 많은 실제적인 제어 문제는 연속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평가 함수와 행동 함수를 연속함수로 하면 강화 학습 구조를 연속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두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하나는 어떤 종류의 함수 표현 법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고, 다른 하나는 첨가하는 잡음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다. 평가 함수와 정책 함수(제어기)에는 신경회로를 사용하였다. 강화 예측기로 다음 순간의 강화 신호를 예측하고, 아울러 첨가하는 잡음의 양도 결정하였다. 제안된 강화 학습 구조를 사용하여 차량의 횡 방향 제어 모의 실험에서 온라인 학습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구조를 실차 실험에도 적용하여 유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