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isk diagnosi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A Trial of Disaster Risk Diagnosis Based on Residential House Structure by a Self-Organizing Map

  • Wakuya, Hiroshi;Mouri, Yoshihiko;Itoh, Hideaki;Mishima, Nobuo;Oh, Sang-Hoon;Oh, Yong-Su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
    • /
    • 2015
  • A self-organizing map (SOM) is a good tool to visualize applied data in the form of a feature map. With the help of such functions, a disaster risk diagnosis based on the residential house structure is tri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some computer simulations with actual residential data, it is found that overall tendencies in the developed feature map are acceptable. Then,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n effective means to estimate disaster risk appropriately.

  • PDF

홍수피해저감지수(FDRRI) 개발 및 시범적용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69
    • /
    • 2014
  • Community-based disaster preparedness approach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elements of vulnerability reduction and disaster strategies.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licy trend that values the knowledge and capacities of local people.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the community diagnosis method and develop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FDRRI) for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FDRRI is composed of four indicators such as Flood Exposure Indicator(FEI), Sensitivity Indicator(SI), Risk Reduction Indicator(RRI), and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We anticipate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selection national preparedness projects and uplift community's preparedness capacity.

사회재난 지표별 등급화 기법 비교: 가축질병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ating Methods by Disaster Indicators)

  • 이효진;윤홍식;한학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19-328
    • /
    • 2021
  • 연구목적: 최근 대형 사회재난이 발생하면서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며 행정안전부에서 지역 안전지수, 국가안전대진단 등 지역의 안전도 등급을 계산하여 매년 공표하고 있다. 기존의 안전도 진단 시스템은 등간격 혹은 정규분포를 이용해서 획일화된 방법으로 등급화를 진행하여 위험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연구방법: 하지만 등간격 기법은 위험등급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분포가 한쪽에 치우쳐있는 경우 위험등급을 분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z-score 기법은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으면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지표별로 통계 데이터의 분포가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포별로 가장 적합한 등급화를 적용해야한다. 연구결과: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지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지표마다 최적화된 등급화를 진행하고자 기존의 등간격 기법과 네츄럴브레이크 기법을 비교 및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 그 결과 기존의 등급화 기법과 다르게 적용된 것은 6새 지표 중 3개에 해당하였다.

설문을 활용한 지역사회 홍수 대비능력 진단 (Diagnosis of Flood Preparedness in Community Using Questionnaires)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2-88
    • /
    • 2014
  • Recently, the concepts of community adaptation and ability to restore have been emphasized in order to evaluate disaster vulnerability and risk exposure level.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that voluntarily takes measures prior to disaster situations has been introduced based on participatory disaster management that the communit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one's own safety. This study diagnosed the community response capability on four model areas such as Goseong-gun and Gimhae-si, Gyeongsangnam-do and Gimcheon-si and Bonghwa-gun, Gyeongsangbuk-do and represented the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for each region as a result.

여유고만으로 추정된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의 지진시 파괴확률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Estimated by Considering Freeboard Only)

  • 하익수;이수권;임정열;정영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451-46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필댐의 지진시 파괴확률을 산정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하고, 지반공학적 정보가 부족한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의 지진시 파괴확률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로 지정된 저수지 중 지반공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7개 저수지에 대해 사건수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지진에 대한 파괴확률을 평가하였으며, 그 방법 및 절차를 예시하였다. 안전진단보고서를 확보한 84개 재해위험 저수지의 댐높이와 여유고와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미공병단 평가도구로 이용되는 파괴확률 산정식을 이러한 댐높이와 여유고와의 관계에 연관시켰다. 이러한 연관관계로부터, 지진시 파괴확률이 '0'이 되는 댐높이-여유고 임계곡선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임계곡선과 7개 저수지에 대해 산정한 지진시 파괴확률로부터 물성확보가 어려운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의 개략적인 지진에 대한 파괴확률을 추정하였다.

자연재해 지역위험성평가 방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in the Method of Local Risk Assessment for Natural Disasters)

  • 최성조;강휘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12
    • /
    • 2022
  • 전국 시·도 및 시·군·구의 안전 관련 주요통계를 기반으로 사회재난은 지역안전지수 6개 분야(화재, 범죄, 교통사고,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에 대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관리하여 개선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으며 자연재난은 자연재해 안전도 진단을 통해 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적용하고 있는 자연재해 지역안전도 평가는 읍면동 지역 단위까지 자연재해 지역위험성 평가를 하기에는 내용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지나치게 공학적이고 어렵게 표시되어있어 일반인들이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선진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혼합된 지역위험성평가 모형을 원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자연재난 지역위험성평가를 읍면동 하위 단위까지 확장된 개선 모형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 개발과 지역간 위험성 비교·분석 - 서울시 사례 -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Diagnosis Index for Disasters in Declining Areas and Comparison of Risks between Regions: A case of Seoul)

  • 임효진;안민수;이창효;이상민;이재수
    • 지역연구
    • /
    • 제37권4호
    • /
    • pp.33-47
    • /
    • 2021
  • 도시 쇠퇴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고, 건축물과 시설물 등 건조환경은 노후화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재해 발생 시 취약하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AHP 분석으로 유형, 구성요소, 평가지표를 포함한 계층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중치로 유형별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고, 도시쇠퇴 수준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를 사례지역으로 분석한 결과 서초구, 동작구, 금천구, 강서구 등 남부지역에서 재난·재해 종합 위험도가 높고, 서울시 도심지와 북부지역 그리고 공원 및 녹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포함해 재난·재해 유형별 종합진단지수 평가체계와 기법을 제시한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대형 싱크홀 재난 현장 조사용 3차원 형상화 장비 구현 (Fabrication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System for Inspection of Massive Sinkhole Disaster Sites)

  • 김수로;윤호근;김상욱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41-349
    • /
    • 2020
  • Recently, interest in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s has increased after a large sinkhole occurred near the high-story building area in Jamsil, Seoul, Korea, in 2014. If a massive sinkhole occurs in an urban area, it is crucial to assess its risk rapidly. Access to humans for on-site safety diagnosis may be difficult because of the additional risk of collapse in the disaster area. Generally, inspection using drones equipped with high-speed lidar sensors can be utilized. However, if the sinkhole is created vertically to a depth of 100 m, similar to the sinkhole in Guatemala, the drone cannot be applied becau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limit and turbulence inside the sinkhole.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3D) scanning system was fabricated and operated using a towed cable in a massive vertical sinkhole to a depth of 200 m. A high-speed lidar sensor was used to obtain a continuous cross-sectional shape at a certain depth. An inertial-measuring unit wa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error owing to the rotation and pendulum movement of the measuring unit. A reconstruction algorithm, including the compensation scheme, was developed. In a vertical hole with a depth of 180 m in the mining area, the fabricated system was applied to scan 0-165 m depth. The reconstructed shape was depicted in a 3D graph.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H건설사 중심 (A Study o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 Focused on H Construction Company)

  • 최광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72-382
    • /
    • 2023
  • 연구목적: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건설사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H건설사에서 이행 중인 중대 재해 처벌 법 대응 방안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안전보건진단을 통해 실무중심의 재해 예방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연계로 재해율 감소 효과 및 안전보건경영 체계의 고도화 등이 분석되었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전·후의 안전 활동 종합결과 분석을 통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사업주의 의식 개선, 재해예방을 위한 투자 확대, 재해예방활동의 정량화 등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측정의 효과가 발현되었다.

건설공사 발주 공공기관의 안전점검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a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Public Institutions Ordered Construction Projects)

  • 박응호;이수동;정기효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5-62
    • /
    • 2023
  • Public institutions have a responsibility to ensure the safety of their employees and the public. One way to do this is to implement a systematic safety inspection system based on risk assessments and continuous improvements.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atic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public institutions that are ordered construction projects. The proposed system in this study consists of a three-step process: (1) developing safety grade evaluation tables, (2) preparing and conducting safety inspections, and (3) evaluating and improving safety management grades. The first step is to develop safety grade evaluation tables by analysis and diagnosis of the construction site's work type, disaster statistics, and related laws. The second step is to conduct safety inspections using the developed evaluation tables. The third step is to determine the safety management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afety inspection, and to improve risk factors found during the safety evaluation.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in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carried out by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ystem has two major effects: (1) reducing accident-related deaths and injuries, (2) improving safety management levels by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The proposed system can be utilized in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by public institutions to improve the level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